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광주 버스 운송 노동자들이 사측과 임금 인상 등에 대해 막바지 교섭에 나서지만 입장 차가 커 타결 여부가 불투명하다.
2일 전국자동차노동조합 연맹 소속 광주 노조 등에 따르면, 광주 버스 노조는 사측과 이날 오후 광주지방노동위원회에서 사측과 3차 조정 회의를 벌인다.
앞서 노조는 지난달 26일 총파업을 예고했으나 사측과의 2차 조정 회의에서 일부 진전이 있다고 판단, 무기한 보류했다.
현재 광주 버스 노조는 최근 수년 간 인건비 동결 등을 지적하며 ▲임금 8.5% 인상 ▲정년 연장 ▲중형 버스 기사 비정규직 차별 금지·철폐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2차 조정부터 협의에 나서, 1.5% 임금 인상을 제시하고 있다. 노사 간 입장 차이가 커 접점을 찾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노조는 이날 열릴 조정회의를 사실상 마지막 교섭 기회로 판단하고 있다.
광주 버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이 그동안의 무대응으로 일관하다, 총파업 예고에 겨우 교섭에 응한 격이다. 현장 운수 노동자들 사이에선 분노가 크다"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운영하는 수도권과 비교해 임금 격차가 날로 커지고 있다. 사측에서 진정성 있는 안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파업 강행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어 "마지막까지 접점을 찾아보겠다. 만약 파업에 돌입해도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투쟁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노조는 교섭이 결렬되면 오는 3일 첫차부터 파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현재 광주 시 전역에는 101개 노선, 시내버스 999대가 운행 중이다.
조합원이 아니거나 비정규직인 운수 노동자를 제외해도, 주요 버스 노선 대부분의 운행 차질이 불가피하다.
전남 22개 시·군 중 지난달 20일부터 파업에 돌입한 순천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타협점을 찾았다. 다만 구례의 경우 버스 노사가 아직 접점을 찾지 못해 교섭 기간을 연장, 협의가 이어지고 있다.
한편, 광주시는 버스 노조 파업 현실화에 따른 교통 대란을 막기 위해 전세 버스 투입 등 대책을 준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