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7 (금)

  • 흐림동두천 6.0℃
  • 맑음강릉 8.3℃
  • 박무서울 9.2℃
  • 박무대전 8.0℃
  • 박무대구 8.4℃
  • 박무울산 11.0℃
  • 박무광주 10.7℃
  • 맑음부산 14.5℃
  • 맑음고창 8.3℃
  • 구름많음제주 17.0℃
  • 구름많음강화 6.9℃
  • 구름많음보은 4.5℃
  • 구름많음금산 5.2℃
  • 맑음강진군 8.2℃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10.9℃
기상청 제공

경제

[마감시황]코스피, 2600선 턱걸이 마감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코스피가 24일 1%대 하락하며 2600선 턱걸이로 마감했다. 오는 26일 새벽 5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의사록 공개를 앞두고 관망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 성장률 하향 조정 등으로 외인과 기관의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647.38)보다 41.51포인트(1.57%) 내린 2605.87에 장을 닫았다. 전 거래일(2647.38)보다 8.44포인트(0.32%) 내린 2638.94에 출발한 뒤 하락세를 키워갔다. 오후께 접어들면서 하락폭은 1%대로 커졌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대중 관세 완화 검토 발언에도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동반 하락했다"며 "글로벌 IB(투자은행)이 올해 중국 성장률을 하향 조정하며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 같다"고 말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의사록 공개를 앞두고 관망세가 이어진데다 미국의 스냅(SNAP)이 실적 컨센서스 하회 경고로 시간외 거래에서 급락했다"며 "최근 상승했던 전기전자 업종에서 중국발 서버 수요가 급감한다는 소문이 돌았던 것도 증시에 부담을 준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이 나홀로 5823억원 어치를 사들였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282억원, 2813억원을 팔아치웠다.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1.72%)과 섬유의복(1.41%), 건설업(0.80%), 운수창고(0.62%) 순으로 올랐다. 반면 비금속광물(-2.86%)와 종이목재(-2.22%), 전기전자(-2.15%), 운송장비(-1.46%), 유통업(-1.41%) 순으로 떨어졌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LG에너지솔루션(0.11%)을 제외하고 일제히 하락했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2.06%(1400원) 하락한 6만6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삼성SDI(-4.26%)와 NAVER(-4.14%), SK하이닉스(-3.98%), 카카오(-2.77%) 순이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883.59)보다 18.52포인트(2.10%) 하락한 865.07에 거래를 종료했다. 지수는 2.04포인트(0.23%) 하락한 881.55에 거래를 시작한 뒤 하락세가 점차 커졌다. 오후께 접어들면서 하락폭은 1%대를 넘어갔다.

코스닥시장에서 개인이 나홀로 1900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52억원, 1310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종목은 일제히 하락했다. 리노공업(-3.67%)과 HLB(-3.64%), 에코프로비엠(-3.61%), 위메이드(-3.43%), 천보(-2.50%) 순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윤상현 의원, 흉기 이용 스토킹범죄는 벌금 삭제하고 최고 5년 징역 법률안 대표발의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흉기 이용 스토킹범죄는 벌금형을 삭제하고 최고 5년 징역형에 처하게 히는 법률안이 발의됐다.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을,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5선, 사진)은 5일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는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스토킹행위’란 상대방의 의사에 반(反)하여 정당한 이유 없이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 상대방에게 불안감 또는 공포심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가. 상대방 또는 그의 동거인, 가족(이하 ‘상대방등’이라 한다)에게 접근하거나 따라다니거나 진로를 막아서는 행위. 나. 상대방등의 주거, 직장, 학교, 그 밖에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장소(이하 '주거등'이라 한다) 또는 그 부근에서 기다리거나 지켜보는 행위. 2. ‘스토킹범죄’란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스토킹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18조(스토킹범죄)제2항은 ”흉기 또는 그 밖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거나 이용하여 스토킹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