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미현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의 무기한 총파업(집단운송거부)이 이어지면서 산업계의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28일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주요 반도체 기업들은 물류대란으로 부품이나 원재료 조달·수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면서 "현재까지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피해 최소화 위해 사태를 예의주시 중"이라고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반도체용 고순도 황산 등을 생산하는 단지 내 일부 기업이 파업으로 인해 제품을 반출하지 못해 피해가 커지는 상황이다.
고순도 황산은 반도체 웨이퍼 생산 과정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제로 사용되는 필수 화학제품이다.
이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계는 장비와 소재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위기 대응력을 확대한 상태다. 이에 업계는 파업으로 인한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긴장을 유지하며 촉각을 세우고 있다.
삼성전자는 경영지원실 지원팀 산하에 사업위기관리(BRM) 조직을 통해 대외 리스크를 관리·대응하는 실정이다.
코로나19 이후 지속된 공급난은 물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원자재·물류 가격 상승 ▲미국 금리 인상 ▲달러화 강세로 인한 경기 불확실성 등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올해 초 BRM 조직을 신설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6월 노종원 사업담당 사장 직속으로 GSM(Global Sales & Marketing)과 GPO(Global Planning Office)를 배치했다. 사업 불안정성을 최소화하고,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반도체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가전을 비롯해 반도체가 탑재되는 다양한 제품·장비의 생산에도 연쇄적으로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완제품 가격이 상승해 소비자 피해로 돌아갈 가능성까지 나온다.
이에 전국경제인연합회·대한상공회의소 등 경제 6단체는 공동성명서를 통해 "현재 우리 기업이 유례없는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즉각 운송 거부를 철회하고 차주·운송업체·화주 간 상생 협력에 나서길 바란다"고 밝혔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현재 이번 파업으로 반도체 생산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지만 향후 파업이 장기화하거나 파업 수위가 강화하는 등의 집단 행동이 이어질 경우 차질이 발생할 수 있어 공급망 관리를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상황에 정부도 '업무개시명령'을 내리기 위한 구체적인 요건 검토에 들어가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섰다.
'업무개시명령'은 화물 운송에 큰 차질이 생겼을 때 국토교통부 장관이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화물차주들에게 업무 복귀를 강제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이다. 운송 사업자나 운수 종사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운행을 거부할 경우, 사업 허가나 운송 면허가 취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