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17.1℃
  • 맑음강릉 17.7℃
  • 맑음서울 17.7℃
  • 구름많음대전 14.8℃
  • 흐림대구 13.9℃
  • 흐림울산 15.9℃
  • 흐림광주 13.1℃
  • 흐림부산 16.0℃
  • 흐림고창 13.1℃
  • 흐림제주 16.8℃
  • 맑음강화 14.2℃
  • 흐림보은 14.7℃
  • 흐림금산 14.5℃
  • 흐림강진군 14.4℃
  • 흐림경주시 15.1℃
  • 흐림거제 14.6℃
기상청 제공

문화

앤디 워홀부터 짐 다인까지, 인사동에 사상 최대 국내외 팝아트 전시

URL복사

‘아메리칸 팝아트 거장전’, 9월 18일까지 인사센트럴뮤지엄
하정우 유나얼 찰스장 아트놈 함도하 등 국내작가도 주목
자폐스펙트럼 작가 윤진석 김경두 작가도 눈길

 

팝아트(Pop Art)가 궁금하다면 서울 인사동을 찾으면 된다?

골동품이나 전통문화예술의 거리로 유명한 서울 인사동이 요즘 팝아트로 뜨겁다. ‘아메리칸 팝아트 거장전’이 850평 규모의 인사센트럴뮤지엄에서 9월 18일까지 열리고 있는 것.

 

미국 팝아트의 거장인 앤디 워홀과 로이 리히텐슈타인, 재스퍼 존스, 로버트 라우셴버그, 제임스 로젠퀴스트, 로버트 인디애나, 짐 다인, 톰 웨셀만 등 미국 팝아트 거장 8인의 예술세계를 즐길 수 있는 장이 열렸다.

 

단 한 명으로도 미술계의 화제가 될 만한 작가들 8명의 전시회는 역대 최대 규모, 사상 최대 블록버스터라 할 만하다. 전시 현장에 들어서면, 예술이 엘리트 기득권층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을 타파하고자 했던 팝아트의 특징처럼 <아메리칸 팝아트 거장 展>은 전 연령대가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품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미장센 연출과 다양한 포토 스팟 등으로 풍성하게 구성되었다.

그뿐 아니다. 하정우, 유나얼, 찰스장, 아트놈, 임태규, 위제트, 알타임죠, 함도하, 모어킹, 코코림 등 한국 팝아티스트 10인의 작품 세계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 미국 팝아트와 한국 팝아트를 비교 평가하며 즐길 수 있는 흔치 않은 자리다. 미국 팝아트는 모두 180여점, 한국 팝아트 작품은 60여점이다.

 

팝아트(Pop Art)는 1950년대 중반 영국과 1950년대 말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붐을 일으킨 미술의 한 양식이다. 당시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가 최고치에 이르면서 사람들이 자연, 환경이 아니라 광고판, 대중매체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된 것에 착안해 등장했다. 당시 유행하던 추상주의에 식상함을 느낀 화가들이 TV나 잡지, 광고에 등장하는 이미지를 작품 미술에 반영해 대중적으로 확대한 장르이다. 파퓰러아트(Popular Art)의 줄임말이다.

 

전시장에는 앤디워홀(1928~ 1987)의 캠벨수프 캔, 마릴린 먼로, 코카콜라 등 유명 작품 외에도 미발표 잡지의 일러스트 등 다수의 작품도 볼 수 있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멀티 아티스트로 활동했던 앤디워홀 외에도 2008년 삼성 비자금 사건과 연루되어 널리 알려졌던 ‘행복한 눈물’의 작가 로이 리히텐슈타인(1923~1997)의 팝 아트 회화 작품도 만난다. 또 미국 성조기를 작품화해 유명해진 제스퍼 존스(94), 또 케네디 대통령 등 유명인사의 얼굴과 신문, 사진을 프린팅한 작품, 또는 공산품 쓰레기들을 화폭에 그대로 붙이는 콜라주 기법, 실크스크린 등으로 시대의 문화를 대변했던 ‘콤바인 회화’의 창시자 로버트 라우센버그(1925~2008), LOVE 작품으로 유명한 로버트 인디애나(1928~2018), 여성의 몸을 비인격화된 성적 상징으로 표현한 톰 웨셀만(1931~2008), 대중에게 익숙한 소재를 중첩을 통해 작품에 표현한 제임스 로젠퀴스트(1933~2017), 하트와 공구 등 일상 소비생활 속의 키치한 것들을 예술에 끌어들인 짐 다인(88)의 팝아트 작품을 볼 수 있다.

 

㈜컨텐츠로드의 임정규 대표는 “동시대를 살았던 팝아트 거장들이 총 출동한 전시는 처음일 것”이라며, “예술을 귀족의 문화에서 대중의 문화로 가지고 왔다”는 점에서 이들이 특권 계층으로부터 모든 인류에게 되찾아주고 싶었던 예술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번 전시를 통해 분명한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 전시에서는 해외의 미술관에서도 쉽게 접하기 힘든 ‘1 Cent Life’를 통해 1960년대 뉴욕 정취를 감상할 수 있다. 시인 겸 화가인 왈라스팅은 1960년대에 61편의 시를 집필한 뒤, 중요 미술 작가 28명의 삽화를 함께 싣는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김용배 팬커뮤니케이션 대표는 “당대 예술가들을 하나의 집단 지성으로 연결하려는 의도가 그대로 반영되어 ‘수백 개의 꽃밭과 같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 전시에는 씨앤블루 강민혁이 오디오 가이드로도 참여했다. 전시 마지막 부분에는 자폐스펙트럼(오티즘) 화가들의 특별전도 마련되어 있다. 윤진석, 김경두 등 작가들의 인상적인 작품을 만날 수 있다. 관계자에 따르면 오티즘 작가 특별전은 후원의 차원이다. 판매대금은 고스란히 작가들에게 돌아간다.

 

 

이 전시는 세계적인 이탈리아 전시 기획사인 코메디아팅(COMEDIARTING)과 국내 주최 컨텐츠로드(임정규 대표), 갤러리 이너스페이스(김용배대표/임금주대표관장), 주관사인 컨텐츠로드, 팬커뮤니케이션(김용배대표)이 ‘미국 팝아트의 진수를 공개한다’는 의도로 아시아와 미주, 유럽, 오세아니아 4대륙을 수년에 걸쳐 여행하는 월드 투어로 기획되었다. 노루표페인트가 공간채색을 기획해 공간을 흑백, 노랑 등 9가치 고채도 컬러로 관람객의 동선을 꾸몄고, 미디어 아트 컬러사운드도 상영하고 있다. 전시는 9월 18일까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김종민 의원, 관세협상에 “지금은 버틸 때...도장 빨리 찍을수록 손해...미국 사정 여의치 않다”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무소속 김종민 의원(세종특별자치시갑,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기후위기 특별위원회, 3선, 사진)이 한미 관세협상에 대해 속도보다 방향이 중요함을 강조하며 최대한 시간을 벌 것을 촉구했다. 김종민 의원은 11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한미 관세협상에 대해 “지금은 서두를 때가 아니다”라며 “지금 상태로는 도장 빨리 찍을수록 손해다. 우리 사정이 어렵지만 그래도 가능한 한 시간을 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종민 의원은 “미국도 사정이 여의치는 않다. 연방대법원 판결도 남아 있고 새로 당선된 뉴욕시장은 (도널드 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입장이 다르다”라며 “미국도 불확실성이 생겼다. 그럴수록 우리 협상력은 높아진다고 본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번 협상은 본질적으로 부담이 크다. 매년 200억 달러 투자 그중 150억 달러는 외환운용수익, 50억 달러는 정부 보증채로 충당한다는 구조다”라며 “그런데 외환운용수익이 작년에 90억 달러에 불과하다. 심지어 이것은 놀고 있는 돈이 아니다. 환율과 금리를 지탱하는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다. 그런데 200억 달러씩 10년을 내보내면 환율이 흔들리고 거시경제 전반에 큰 부담이 생긴다”고 설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