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

수원시, 국내 최초로 「정리의궤」13책 복제본 제작

URL복사


[시사뉴스 수원=우민기 기자] 수원시가 프랑스 국립도서관과 국립동양어대학 언어문명도서관이 소장한 한글본 「정리의궤」(整理儀軌) 13책의 복제본을 국내 최초로 제작했다고 밝혔다.

2016년 7월 언론보도로 한글본 「정리의궤」 13책이 세상에 알려진 직후부터 정리의궤 활용방안을 모색한 수원시는 2년 3개월 만에 ‘국내 최초 복제본 제작’이라는 결실을 거뒀다.

수원시는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소장한 채색본 1책과 프랑스 국립동양어대학 언어문명도서관이 소장한 12책의 복제를 최근 완료했다. 17일에는 시청 상황실에서 결과보고회를 열고, 완성품을 공개한다.

한글본 「정리의궤」(원이름은 ‘뎡니의궤’)는 ‘현륭원 의궤’, ‘원행을묘정리의궤’, ‘화성성역의궤’ 등을 한글로 종합 정리한 의궤로 국내에는 없는 판본(板本)이다. 현존 한글의궤 중 가장 이른 연대의 의궤로 추정된다. 총 48책 중 13책만 현존하고, 12책이 국립동양어대학 언어문명도서관에 있다.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소장한 채색본 「정리의궤(성역도) 39」는 화성행궁도 등 수원화성 주요 시설물과 행사 관련 채색 그림 43장, 한글로 적은 축성(築城) 주요일지 12장 등 총 55장으로 구성돼 있다.

「정리의궤(성역도) 39」에는 「화성성역의궤」에는 없는 봉수당도, 당낙당도, 복내당도, 유여택도, 낙남헌도, 동장대시열도 등이 수록돼 있어 가치가 크다. 왕실의 기록문화뿐 아니라 당시 한글 언어생활까지 알아볼 수 있는 활용도 높은 문헌이다.

프랑스가 소장한 한글본 「정리의궤」는 한국의 첫 번째 프랑스 외교관이었던 ‘빅토르 꼴랭 드 쁠랑시’(Victor Collin de Plancy, 1835~1922)의 수집품으로 12책은 국립동양어대학에 기증했지만, 채색본은 어느 시점에 경매상을 거쳐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구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글본 「정리의궤」 13책은 2016년 언론 보도로 세상에 알려졌다. 정조시대 연구와 수원화성 복원 기초자료로 「정리의궤」가 꼭 필요했던 수원시는 언론보도 직후 ‘정리의궤 활용 기본계획안’을 세우고 자료 확보에 공을 들였다.

「외규장각 의궤」 반환(2011년) 후 문화재 환수에 민감했던 프랑스 입장을 고려해 문화재청·국외소재문화재단과 긴밀한 협체제를 구축해 조심스럽게 접근했다.

2017년 2월에는 수원시 실무진과 전문가가 프랑스를 방문해 한글본 「정리의궤」 활용 방안을 협의했다. 수원시는 대여를 추진했지만 프랑스 측은 “해외 대여는 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대여 대신 사진 촬영을 허용하고, 복제본을 제작하는 것으로 협의했다.

한글본 「정리의궤」 복제가 외교 문제로 번질까 봐 우려하는 프랑스 측에 수원시는 “학술적으로 이용하고, 역사 연구 자료로만 활용할 것”이라며 설득했다. 방문 기간에 ‘복제본 제작’이라는 원칙적 협의는 이뤄졌지만, 복제본 제작 과정에 관한 상세한 협의는 하지 못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1년여 동안 프랑스 국립도서관·국립동양어대학 관계자와 수십 차례 전자우편을 주고받으며 세부 사항을 조율했다.

마침내 2018년 5월 13~20일 사진 촬영, 색 감수, 실측 등 작업을 위해 두 번째로 프랑스 현지에 방문했다. 200여 년의 시간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보존 상태는 완벽에 가까웠다.

종이·서지·염료·역사 등 분야별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정밀하게 실측을 하고, 복제 작업을 했다. 특히 채색본은 원본의 입체감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색 감수를 담당한 모사 작가가 보채(빛이 바래거나 지워진 것을 다시 칠함)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채색본은 원형복제본(원본이 처음 편찬된 당시 재현)과 현상복제본(변·퇴색한 유물 현 상태를 재현)을 제작해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 상태를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

수원시 관계자들은 실무진 협의를 거치며 프랑스 관계자들에게 한글본 「정리의궤」의 특징과 역사적 의미를 상세하게 알렸다. 국립동양어대학 언어문명도서관 관계자는 “한글본 「정리의궤」의 학술 가치를 자세히 알지 못했는데, 수원시 관계자 덕분에 가치를 알게 됐다”고 고마움을 전하기도 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정조 시대와 수원화성 연구에 큰 힘이 될 한글본 「정리의궤」가 우리 시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발견되고 복제돼 기쁘다”면서 “한글본 「정리의궤」가 문화콘텐츠로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글본 「정리의궤」 복제본은 18일부터 12월 16일까지 수원화성박물관 특별기획전 ‘수원의 궁궐, 화성행궁’에 전시된다. 수원화성박물관은 전시 개막에 앞서 18일 오후 2시 영상교육실에서 국립동양어대학 언어문명도서관 학술 총책임자 벤자민 기샤르(Benjamin Guichard)와 아시아학술담당 솔린느 러쉬세(Soline Lau-Suchet)를 초청 강연회를 연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