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자동차ㆍ교통

중국 수소차 시장 다국적기업 각축장

URL복사

도요타 등 일본 업체, 발빠르게 선점 나서
한국 기업도 진출 전략 세워야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중국의 수소차 시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중국 수소전기차 시장이 다국적 기업의 새로운 각축장으로 떠오른 만큼 우리 기업 역시 전략적으로 진출을 고려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28일 코트라(KOTRA) 해외시장뉴스에 따르면 중국은 연료전지 상용화에 가속을 당기고 있다. 지난 2016년 신에너지차 기술 로드맵을 발표한 뒤 상용차를 중심으로 연료전지차 시장이 급속 발전했고, 지난해 3월 정부업무보고에 처음으로 수소충전소 설립에 관한 내용이 언급됐다.

 

상하이, 장쑤성 루가오시, 후베이성 우한시 등 지방 정부에서는 관련 정책을 펼쳐 수소차 발전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6월 수소차가 보조금 지급 대상으로 선정 되면서 일부 차종의 보조금은 대당 50만위안(약 8543만원)에 달한다.

 

중국은 지난 4월 발표한 신에너지차 보급 재정 보조금 정책을 통해 4년 안에 수소에너지와 연료전지자동차 산업체인 형성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중국은 2020년 1만대, 2030년 200만대 등 수소연료전지차 대량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 수소차 판매량은 3000여대에 그쳤으나 2020~2025년에는 5만대, 2026~2035년에는 130만대, 2036~2050년에는 500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일본은 벌써 발빠르게 중국 수소연료전지 시장에 뛰어들었다. 세계 최초로 수소차를 연구개발했으나 협소한 국내시장 탓에 빛을 발하지 못했던 도요타가 선두다. 2017년 중국 장쑤성에 수소충전소를 설립한 도요타는 꾸준히 중국 기업과 협력해 시장 선점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

 

특히 세계 환경의 날인 지난달 5일에는 중국 디이자동차그룹(FAW), 둥펑자동차그룹, 광저우자동차그룹, 베이징자동차그룹, 이화퉁수소연료전지엔진그룹과 연합연료전지시스템 연구개발 유한공사 설립을 발표했다. 2022년부터 합자사를 구성하는 완성차업체의 상용차에 공급할 계획이다.

 

50억엔 규모의 프로젝트로 도요타는 65%, 이화퉁 수소연료전지엔진그룹은 15%, 4개 자동차 업체가 각각 5%씩 지분을 나눴다.

 

도요타 측 집행이사 겸 중국 본부 CEO 우에다 다쓰로는 계약식에서 "도요타가 해외에 설립한 유일한 연료전지 개발업체로 중요한 전략적 의의가 있다"고 봤다.

 

그러면서 "파트너사 발굴이 매우 중요하며, 중국 시장이 가장 빨리 발전하고 있다. 중국 시장에 필요한 일련의 수소연료전지 상용차 기술의 연구개발 방안을 지속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외에도 연료전지 선도기업 캐나다 발라드 파워 시스템사(BLDP)를 비롯해 독일 보쉬, 영국 세레스 파워, 독일 SFC 에너지, 네덜란드 네드스택 등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 수소연료전지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세계 수소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대자동차 역시 지난 1월 쓰촨현대의 중국 합작사 지분 변경을 완료하고 100% 지분을 확보했다. 중국 최초의 외상독자 상용차 기업이다.

 

현대차는 쓰촨공장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중국에 수소연료전지차 1000대를 투입할 계획이다. 쓰촨공장은 현대차가 중국 수소차 시장을 개척하는 주요 발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코트라에 따르면 중국의 한 전문가는 그러나 최근 한국이 수소연료전지 기술 수출을 허용했지만 여전히 대중국 수출을 승인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본 및 다국적 글로벌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중국 시장에서 개방, 협력하고 있는 모습과 달리 한국은 그렇지 않다고도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문화

더보기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등... '서귀포국가유산야행'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제주마을문화진흥원은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이 개막했다고 14일 밝혔다. 서귀포항 일대에서 개막 예정인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주최 기관 제주마을문화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2주간 사전 신청을 받은 결과 유람선을 탑승해 문화유산을 둘러보는 ‘해상 문화유산 투어’ 500명과 기간 동안 매일 저녁 열리는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에서 회차별 30명을 넘기는 신청이 접수됐다. 특히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은 사전 신청을 하지 못한 분들도 관객의 자격으로 진행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제주의 신화를 기반으로 유려한 자연경관과 역사 체험을 위해 기획된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은 사전 신청을 받은 프로그램 외에도 야경, 야로, 야설, 야사, 야화, 야시, 야식, 야숙 등 ‘8야’를 주제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신용구 작가가 구현한 ‘서천꽃밭’과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그리고 홀로그램을 통해 구현한 영등할망의 방문은 밤바다와 신화가 어우러지는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버스킹 무대와 어우러진 먹거리 장터도 열려 눈과 귀 그리고 미각까지 만족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