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업일반

국내 매출 1000대 상장사, 지난해 영업이익 역대 최고…한전 꼴찌

URL복사

CXO연구소, 2001~2021년 국내 1000대 상장사 분석
삼성전자, 1000대 기업 영업익 22% 차지
한전, 2020년 3위 → 2021년 최하위 추락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국내 매출 1000대 상장사의 지난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200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 1조 클럽에 가입한 곳은 28곳으로 1년 새 10곳 많아졌다.

 

반면 2020년 영업익과 순익 톱3에 이름을 올렸던 한국전력공사(한전)는 지난해 두 항목 모두 '꼴찌' 불명예를 안았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01~2021년 국내 매출 1000대 상장사 영업손익 및 당기손익 현황 분석'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1000대 상장사는 각 년도 매출, 개별(별도) 재무제표 기준이다.

 

지난해 국내 매출 1000대 기업의 영업이익 규모는 145조5249억원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93조9149억원보다 51조원 넘게 증가한 금액이다.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국내 1000대 기업 영업익 규모가 최근 1년 새 55% 껑충 뛰었다. 1000대 기업 매출 대비 영업이익 비중을 의미하는 영업이익률도 2019년 5.2%, 2020년 6.3%에서 작년에는 8.4%로 상승했다. 2001년 이후 역대 최고 영업이익률은 2018년 기록한 10.7%다.

 

1000대 기업 전체 영업이익은 2001년 당시만 해도 36조원 정도에 불과했다. 2004년에는 70조원대로 높아지고, 2010년에는 100조원에 근접했다. 이후 2017년(129조원)과 2018년(138조원)에는 100조원대에 안착했다. 그러다 2019년(78조원)과 2020년(93조원)에는 다시 100조원 미만으로 내려앉았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해 150조원에 근접하며 역대 최고 수준의 영업익을 올렸다.

 

연구소 측은 "일반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이 코로나19로 경영이 악화될 때 국내 1000대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장사를 잘했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영업내실이 크게 좋아진 데에는 영업적자를 본 기업도 줄고, 영업이익 1조(兆) 클럽에 가입한 곳도 많아진 영향 등이 작용했다.

 

작년 기준 1000대 기업에서 영업손실을 본 곳은 112곳이었다. 이는 2020년 147곳보다 적어짐은 물론 2018년(131곳)과 2019년(126곳) 때와 비교해도 줄어든 숫자다.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영업흑자를 본 곳이 상대적으로 많아진 셈이다.

 

이번 조사 대상 매출 1000대 상장사 기준 2020년 대비 2021년에 영업이익이 증가하거나 흑자로 전환된 곳은 643곳으로 절반을 훌쩍 넘긴 것도 한몫했다.

 

여기에 영업이익 덩치가 1조가 넘는 기업도 확 늘었다. 2020년 기준 영업이익이 1조원 넘는 회사는 18곳이었다. 그러던 것이 지난해 10곳 더 많아진 28곳으로 조사됐다. 영업익 1조 클럽에 가입한 곳 중에서도 2020년 대비 2021년에 영업이익 증가액이 1조원 넘게 많아진 기업만 해도 8곳으로 확인됐다.

 

이중에는 삼성전자가 가장 먼저 이름을 올렸다. 2021년 기준 삼성전자 영업이익 규모는 31조9931억원(연결기준 51조6338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보였다. 2020년 20조5189억원보다 1년 새 11조원 넘게 상승했다. 영업익 증가율만 해도 55.9%나 됐다.

 

지난해 삼성전자가 달성한 30조원이 넘는 영업이익 규모는 같은 기간 1000대 기업 전체 금액 중 22%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1000대 기업 내 삼성전자의 매출 비중 11.5%보다 10% 이상 높은 수치다. 2001~2021년 사이 1000대 기업 내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비중은 2008년 5.7%로 가장 낮았고, 2018년 31.6%로 영향력이 가장 컸다.


다음으로 SK하이닉스 7조6374억원(2020년 4조5458억원→2021년 12조1833억원), HMM 6조4008억원(9559억→7조3568억), 포스코홀딩스 5조5144억원(1조1351억→6조6495억), 현대제철 2조2581억원(416억→2조2997억), LG화학 1조9047억원(1조1144억→3조191억), 기아 1조6500억원(1조1691억→2조8192억), 대한항공 1조2261억원(2383억→1조4644억) 순으로 영업이익 덩치가 최근 1년 새 1조원 넘게 증가했다. 

 

현대제철의 2020년 대비 2021년 영업이익 증가율은 무려 5420.5%나 됐다. 1000억원 미만이던 영업내실이 1년 새 2조원 이상으로 비약적인 상승을 기록했다. HMM도 669.6%로 1조 미만에서 단숨에 영업이익 7조원대로 수직상승했다. 대한항공(514.4%), 포스코홀딩스(485.8%), LG화학(170.9%), SK하이닉스(168%), 기아(141.1%) 역시 최근 1년 새 영업이익 증가율이 100%를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영업이익이 좋아지면서 당기순이익 성적표도 크게 향상됐다. 조사 대상 1000곳의 작년 한해 순익 규모는 127조1461억원을 상회했다. 전년도 기록한 63조6871억원과 비교하면 1년 새 99.6%로 배 가까이 급증했다.

 

1000대 기업 당기순익률도 2020년 4.3%에서 지난해 7.3%로 3%포인트 높아졌다. 지난 2001년 당시만 해도 1000대 기업 전체 순익은 10조원에 못 미쳤다. 이후 2004년 60조원을 돌파했고, 2010년 70조원대로 진입했다. 2017년에는 106조원으로 순익 100조원대에 처음 진입했다. 

 

당기순익 1조 클럽도 2020년 13곳에서 2021년 21곳으로 8곳 많아졌다. 지난해 당기순익 1조원이 넘는 곳 중에서도 10곳은 1년 새 순익 규모가 1조원 넘게 상승했다.

 

개별 기업 중 순익 1위도 삼성전자가 차지했다. 2020년 15조6150억원에서 2021년 30조9709억원으로 1년 새 15조3559억원이 곳간에 더 채워졌다. 이어 SK하이닉스(5조 3493억원↑), HMM(5조2896억원↑), 포스코홀딩스(4조2153억원↑), 삼성물산(1조5966억원↑) 순으로 2020년 대비 2021년 당기순익 증가액이 1조원을 넘어섰다.

 

LG화학, 현대제철, 에쓰-오일은 2020년 당기순손실의 쓴 맛을 봤는데 지난해는 1조원 이상 흑자를 올려 주목 받았다. LG화학은 2020년 982억원 순손실에서 2021년 2조5142억원으로 증가했고, 현대제철은 4559억원 적자에서 1조3820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에쓰-오일 역시 2020년 7999억원 적자에서 지난해 1조 3783억원 넘게 순익을 냈다.


하지만 한전은 2020년 톱3에서 지난해 꼴찌로 곤두박질쳤다. 2020년 당시만 해도 영업이익 2조7851억원, 당기순익 1조9514억원으로 두 항목 금액 기준으로 모두 1000대 기업 중 랭킹 톱3를 꿰찼다. 하지만 1년 새 영업손실 규모액은 7조4255억원, 당기적자액은 5조6077억원으로 1000대 기업 중 가장 낮았다. 지난해 기록한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 금액은 2001년 이후 가장 컸다.

 

한전의 경영 체력 성적표가 저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01년부터 2021년 사이 중 1조원 넘는 영업적자를 기록한 횟수는 7번이나 됐다. 특히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5년 연속으로 영업손실에서 벗어나지 못한 적도 있었다. 2008년부터 5년 간 손실 본 누적 영업적자만 해도 11조5000억원을 넘었다.

 

오일선 연구소장은 "크게 보면 한전은 5년을 주기로 경영 내실은 롤러코스터를 타는 모양새"라며 "문제는 한전의 경영 내실을 개선하려면 전기세와 연동이 깊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매출원가 상승 등을 고려할 때 전기세를 적정 수준으로 올리는 것이 경영 개선을 가장 빠르게 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지만, 전기세가 상승하면 서민 물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카드를 꺼내들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오 소장은 "올해는 특히 유가를 비롯해 각종 원재료 비용 등이 상승해 이를 상품과 서비스 가격에 반영한 경우가 많아 매출 규모 자체는 증가하지만 실제 기업 곳간에 남는 내실 규모는 작년보다 다소 줄어들 공산이 커질 수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美 ICE 구금된 한국인들, 10일 오전 석방·오후 전세기 출발할 듯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미국 이민당국의 대규모 단속으로 구금돼 있는 한국인들이 10일(현지시간) 오후 현지에서 출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미 조지아주 포크스턴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에 구금된 한국인들은 현지시간으로 10일 오후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전세기로 오를 예정이다. 이륙시간은 현지시간 오후 2시반 전후가 검토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시각으로는 11일 오후 전세기가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금 시설에서 공항까지는 약 428㎞로, 차로 약 4시간 30분을 이동해야 한다. 구금된 한국인들의 귀국을 위한 대한항공 전세기는 한국시간으로 10일 출국한다. 정부 신속대응팀 소속 조기중 주미대사관 총영사는 9일 미 조지아주 포크스턴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을 방문한 뒤 취재진에 "행정적, 기술적인 사안들을 계속 미국 협조를 받아 준비 중에 있다"며 "우리 국민들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귀국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한국인들이 현지에서 사법처리되지 않는 조건 하에 석방 직후 자진출국하는 형식의 세부 협의를 진행 중으로 알려졌다. 앞서 ICE는 지난 4일 조지아주 엘러벨 현대차-LG에너지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서울시교육청 성진학교 후속 조치 하루도 늦추지 말아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의회 최호정 의장은 10일 서울 성동구에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학교인 성진학교가 설립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는 활발하게 의정활동을 하고 있으나, 정작 서울시교육청은 적극적인 후속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의장은 “지체 장애 학생을 둔 학부모들의 간절한 바람이 하루속히 이뤄지고 성동구 주민들이 바라는 지역사회 연계시설이 조속히 건립되기 위해서는 학교 신설 설계비가 조속히 예산에 반영되어야 하는데, 서울시교육청은 26년도 예산에 설계비를 계상하겠다는 안일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최 의장은 “약 11억 원으로 예상되는 성진학교 설계비는 내년도 사업으로 미룰 이유가 없다”며 “교육청은 오는 11월 제출이 예정된 25년도 서울시교육비특별회계 2차 추경안에 성진학교 설계 관련 예산안을 포함시켜 의회에 제출해 달라”고 촉구했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는 9일 성진학교 신설을 위해 관련된 ‘공유재산관리계획안’을 가결했다. 서울시의회는 12일 본회의에서 이 계획안을 최종 처리할 예정이다. 서울시의회는 성동구를 지역구로 둔 의원들을 중심으로 장애학생 보호자들의 염원과 지역주민들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옛 성수공고 부

문화

더보기
이앤아이앙상블, 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앤아이앙상블이 오는 9월 27일(토) 오후 7시 30분 문아트그라운드 실버스크린홀에서 세 번째 정기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를 개최한다. 이앤아이앙상블은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 공연에서 500석 규모 객석을 전석 매진시키면서 주목받았으며, 올해는 한정된 50석 규모의 공간에서 더욱 밀도 높은 무대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의 소리’를 주제로 음악, 마임, 영상이 결합된 다층적 무대 형식으로 진행된다. 관객은 연주자들의 호흡과 움직임, 무언의 퍼포먼스, 대형 스크린의 영상미를 가까이에서 경험하며 공연의 완성에 직접 참여하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이앤아이앙상블은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경계를 넘나드는 동시에 자신들이 직접 작곡한 음악으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자작곡은 매 공연마다 높은 호응을 얻으며 ‘이앤아이앙상블만의 색깔’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전통과 현대를 잇는 창작 작업을 통해 모던 팝 클래식이라는 독창적 장르를 개척하며, 대중성과 예술성을 함께 아우르는 무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번 무대에서는 이앤아이앙상블 바이올린 박진희, 기타 김도윤, 첼로 김혜영, 건반 이유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