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주군,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개발사업 실시협약 체결

URL복사

총 사업비 664억원 투입, 내년 착공해 2025년 하반기 준공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 울주군이 5일 군청 8층 비둘기홀에서 영남알프스케이블카㈜와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개발사업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실시협약은 사업시행자인 영남알프스케이블카㈜와 향후 사업 시행에 필요한 업무협조 및 권리·의무사항 등을 규정하기 위해 추진됐다.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개발사업은 총 사업비 644억원을 들여 전액민자로 추진하며,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 따라 기부채납 후 무상사용허가 방식으로 시행한다.

 

사업 준공과 동시에 건축물, 시설물, 토지 등은 울주군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며, 사업시행자는 20년 동안 무상으로 사용하게 된다. 케이블카 이용요금은 운영 개시 전 협의해 확정한다.

 

노선은 복합웰컴센터에서 신불산 억새평원 일대 약 2.472㎞ 구간이며, 삭도유형은 1선 자동순환식이다. 시간당 최대 1천500명 탑승이 가능한 10인승 캐빈 50여대로 운영할 계획이다.

 

주요 시설은 케이블카를 비롯해 상·하부정류장, 주차장 및 편의시설이 포함되고, 구체적인 시설 규모는 실시설계 시 결정한다.

 

상부정류장과 케이블카 노선은 환경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낙동정맥을 벗어난 신불재 남서측 해발 약 850m에 위치하며 친환경적인 공법으로 추진한다.

 

향후 실시설계, 환경영향평가 등 행정절차를 거쳐 내년 하반기 착공, 2025년 하반기 준공할 예정이다.

 

영남알프스케이블카㈜ 손호태 대표이사는 “공식 사업시행자로 지정된 만큼, 본격적으로 사업 추진에 전력해서 최소한의 선택적 개발과 적극적 환경보전으로 자연생태환경에 적합한 친환경 케이블카를 조성하겠다”며 “기존 관광시설과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울주군 관광 활성화 및 체류형 관광지 발전에 기여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순걸 울주군수는 “울산을 대표하는 산악관광지인 영남알프스에 케이블카 사업을 추진해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객 유입, 민간투자 유치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며 “케이블카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민간사업자와 협력해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Ulju-gun, Ulsan, signed an "Yeongnam Alps Cable Car Development Project" with Yeongnam Alps Cable Car Co., Ltd. at the Pigeon Hall on the 8th floor of the county office on the 5th.

 

This implementation agreement was promoted to stipulate business cooperation, rights and obligations necessary for future project implementation with Yeongnam Alps Cable Car Co., Ltd.

 

The Yeongnam Alps cable car development project will be carried out with a total project cost of 64.4 billion won as a full-scale private capital, and will be implemented in a free use permit method after receiving don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ublic Property and Commodity Management Act.

 

Upon completion of the project, ownership of buildings, facilities, and land will be transferred to Ulju-gun, and the project operator will use them free of charge for 20 years. The cable car usage fee will be confirmed after consultation before the operation begins.

 

The route is about 2.472km from the complex Welcome Center to the Sinbulsan Mountain Eoksae Plain, and the cableway type is one-line automatic circulation. It plans to operate about 50 10-seater cabins that can accommodate up to 1,500 people per hour.

 

Major facilities include cable cars, upper and lower stops, parking lots, and convenience facilities, and the specific size of the facilities will be determined during the implementation design.

 

The upper stop and cable car route are located about 850m above sea level on the southwest side of Sinbuljae Pass outside the Nakdong vein to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 and are promoted with eco-friendly construction methods.

 

Construction will begin in the second half of next year and be completed in the second half of 2025 after administrative procedures such as implementation design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we have been designated as an official project operator, we will do our best to create eco-friendly cable cars suitable for the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by minimizing selective development and active environmental preservation," said Son Ho-tae, CEO of Yeongnam Alps Cable Car.

 

"We expect the cable car project to revitalize the sluggish local economy, attract tourists, and attract private investment by promoting the cable car project in Yeongnam Alps, Ulsan's leading mountain tourist destination," said Lee Soon-gul, head of Ulju County.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여야 대표에 "국정에 국민 모든 목소리 공평히 반영 노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대표와 오찬 회동을 갖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만나 "대통령은 국민을 통합하는 게 가장 큰 책무인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국정에 모든 국민의 목소리가 공평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 대표 오찬 회동에서 "우리 국민이 하나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을 모으면 참 좋겠다. 대외 협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앞선 한미·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일종의 통과의례 같은 것인데 무엇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필요해서 하는 과정이고 매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공개석상에서 '나라의 힘을 좀 길러야 되겠다'는 말씀을 드린 이유가 있다"며 "우리가 다투고 경쟁은 하되 국민 또는 국가 모두의 이익에 관한 것들은 한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 참 좋겠다"고 했다. 또 "저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쉽지는 않은 것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인천 한 반도체 제조공장서 가스 누출 22명 병원
사고가 발생한 반도체 제조공장 (사진=인천소방본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 한 공장에서 화학약품 작업 중 염산 탱크에 염소산을 잘못 주입하면서 화학 반응과 함께 가스가 누출돼 작업자 20여명이 호흡곤란 등 증세를 보여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9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35분경 미추홀구 도화동 한 반도체 제조공장에서 가스가 누출 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이 사고로 22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으며 이중 작업자 4명이 호흡곤란 등 증세를 보여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으며 다른 18명은 자력으로 병원으로 이동해 치료를 받았으며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현장에 도착했을 당시 탱크로리에서 화학반응이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하고 중화제를 뿌려 진화 했다. 사고 직후 공장 인근 근로자 등 120명은 자력으로 대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신고가 접수되자 인력 47명과 장비 29대를 동원해 진화에 나섰다. 관할 구청은 재난문자를 통해 "도화동 일대에서 가스 누출 사고 발생을 알리며 인근 주민들은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물러 달라"고 요청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염산

문화

더보기
이앤아이앙상블, 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앤아이앙상블이 오는 9월 27일(토) 오후 7시 30분 문아트그라운드 실버스크린홀에서 세 번째 정기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를 개최한다. 이앤아이앙상블은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 공연에서 500석 규모 객석을 전석 매진시키면서 주목받았으며, 올해는 한정된 50석 규모의 공간에서 더욱 밀도 높은 무대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의 소리’를 주제로 음악, 마임, 영상이 결합된 다층적 무대 형식으로 진행된다. 관객은 연주자들의 호흡과 움직임, 무언의 퍼포먼스, 대형 스크린의 영상미를 가까이에서 경험하며 공연의 완성에 직접 참여하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이앤아이앙상블은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경계를 넘나드는 동시에 자신들이 직접 작곡한 음악으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자작곡은 매 공연마다 높은 호응을 얻으며 ‘이앤아이앙상블만의 색깔’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전통과 현대를 잇는 창작 작업을 통해 모던 팝 클래식이라는 독창적 장르를 개척하며, 대중성과 예술성을 함께 아우르는 무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번 무대에서는 이앤아이앙상블 바이올린 박진희, 기타 김도윤, 첼로 김혜영, 건반 이유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