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문화

만추(晩秋)에 찾아온 해외 작가, 호세 팔라 VS 베이롤 히메네즈

URL복사

호세 팔라, 코로나19 투병 후 생동감 넘친 작품 발표
-가나아트센터, <브리딩 Breathing>전, 12월 4일까지
베이롤 히메네즈, 멕시코 역사·신화 녹인 회화
-페레스프로젝트, <분주한 거리의 들풀>전, 12월 2일까지

문화예술을 즐기기 딱 좋은 요즘 계절에 주목할만한 두 해외 작가 작품이 개막했다.

쿠바 이민 2세대인 미국 작가 호세 팔라(49)와 멕시코 작가 베이롤 히메네즈(38).

호세팔라 전시는 12월 4일까지 서울 평창동 가나아트센터에서 열리고, 갤러리 페레스프로젝트가 마련한 베이롤 히메네즈는 서울 신라호텔 지하 1층에서 12월 2일까지 계속된다.

 

 

 

호세 팔라, 병상에서 처절하게 깨달은 ‘숨쉬기’의 의미 작품에 담아

 

호세 팔라는 스트리트 아트(street art)와 캘리그래피 특성을 결합해 추상회화와 대형 벽화, 조각 등 다양한 작업을 해온 작가이다.

미국 뉴욕 맨해튼의 세계무역센터 로비에 설치된 대형 벽화 작품으 로도 유명한 호세 팔라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려 투병했던 체험을 작품에 녹여냈다.

 

 

가나아트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호세 팔라 개인전 <브리딩 Breathing>은 혼수상태 속에서 경험한 무의식 의 세계와 새롭게 깨달은 ‘숨쉬기’의 의미를 담은 신작들로 구성되 어 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3개월간 혼수상태로 투병했던 작가는, 투병 후에도 꿈과 현실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평소 에는 아무런 자각 없이 자연스럽게 하던 호흡에도 곤란 을 겪었다고 한다.

 

 

전시 제목과 같은 ‘브리딩’ 연작은 작가가 회복하던 시기에 작업한 것이다. 혼수상태 속에서 경험한 무의식의 세계를 반 영한 추상회화는 이전 작품들보다 색감의 생동감이 두드러진다.

그림 속 자유분방한 선은 들숨과 날숨의 리듬, 작가의 몸을 여행하 는 공기의 흐름, 그리고 이를 통해 생성되는 에너지 등을 표현한다.

 

 

쿠바 이민 2세대로 미국 마이애미에서 태어난 팔라는 많은 이민자 처럼 정체성에 혼란을 겪었다. 작가는 당대 유행하던 힙합 댄스, 언더 그라운드 음악 등의 서브컬처와 해당 활동을 함께 하는 커뮤니티와의 연대를 통해 돌파구를 찾았다.

 

불과 열살때부터 그는 ‘이즈(Ease)’라는 이름으로 마이애미 거리에 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댄서이자 거리의 아티스트로 활 동했던 그는, 선을 자유롭게 화면에 써내려가거나 두껍 게 칠한 물감을 손으로 펴바르는 등의 즉흥적인 신체적 행위를 자연스럽게 작업에 적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에 더불어 학교에서 접한 클리포드 스틸, 사이 톰블 리, 조안 미첼, 잭슨 폴록 등 미국 추상표현주의 작 가들의 작업에 큰 영향을 받았다.

 

 

포스터, 물감, 캘리그라피 등이 겹겹이 쌓여 만 들어낸 레이어로 이루어진 호세 팔라의 작업은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에서부터 그에게 영감을 준 각 도시의 역사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층위로 이루어져 있다.

전시에는 작업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스트리트 아트의 느낌을 담은 조각 작품도 한국에 첫선을 보인다.

팔라는 신체의 움직임이 남기는 독특한 필획을 통해 도시 생활과 그곳에 사는 사람 들의 삶을 투영하는 작업을 해왔다. 그의 작 업은 영국 박물관, 페레즈 미술관, 올브라이 트 녹스 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히메네즈, 멕시코의 고대 문명·신화 기반한 독특한 회화 선보여

 

갤러리 페레스프로젝트가 마련한 베이롤 히메네즈 개인전 <Grass on a Busy Street : 분주한 거리의 들풀>전은멕시코 자연과 역사와 신화, 문화로 가득찼다.

 

아시아 첫개인전인 이번 전시에서 히메네즈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멕시코 신화와 기원의 주제 및 서사에 대한 탐구를 한층 더 확장한다. 특유의 재치있는 상상력과 퇴폐적인 화면이 돋보이는 그의 작품은 유화와 아크릴을 기반으로 추상과 구상의 표현을 넘나든다. 생동감 넘치는 구도와 붓놀림, 밝고 경쾌한 색채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조지프 캠벨의 저서,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원제: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에서 영감을 받은 이번 전시에서 ‘The Hero of the Thousand Helmets’(2022)라는 작품은 그 영향을 잘 보여준다. 

작품 속 영웅의 모습은 신화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전사 또는 모험가들이 주로 남성으로 묘사되고 있는 점을 꼬집고 무너뜨린다.  화면에는 인간, 식물, 그리고 동물과도 같지만 전혀 다른, 모호한 합성 생명체들만이 존재한다. 그가 창조해내는 알 수 없는 생명체들은 ‘The Spirit of the Corn Seeds’(2022) 속 등장하는 생명을 불어넣는 수확의 신과 같은 수호신으로 묘사된다. 

 

 

신화가 문명이 미지의 그 어떤 곳, 창조와 죽음의 이상향으로의 길라잡이라면, 히메네즈는 이러한 신화적 상징들에 자신만의 어휘를 조합해낸다. 이는 다른 한편으로 예술가로서 외치는 세상에 대한 좌절의 표현이기도 하다.  국내 관객들에게 낯섦과 동시에 신선함을 선사하며, 과거를 통해 현재를 성찰하는 그의 작업은, 작품이 지닌 지역적 특성을 뛰어넘어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히메네즈는 독일 라이프치히 뒤캉갤러리, 영국 뉴캐슬의 노스쉴드역, 독일 페레스프로젝트 등 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SPC, ‘변화와 혁신 추진단’ 출범…”새 공장 조속히 건립 권고”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SPC그룹 ‘변화와 혁신 추진단’이 21일 출범했다. 이 조직은 그룹이 당면한 과제 해결에 방향성을 제시하고, 각 사 대표 협의체인 ‘SPC커미티’에 개선 방안을 권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추진단은 21일 서울 양재동 SPC1945 사옥에서 출범식과 함께 첫 회의를 갖고, 안전을 강화한 신규 공장 건립 권고안을 채택했다. 추진단 의장은 허진수 파리크라상 사장이 맡는다. 사내 위원은 SPC그룹 도세호 대표이사를 비롯해 파리크라상·SPC삼립·비알코리아·SPC GFS·섹타나인·SPL 등 계열사 대표이사와 임원 등 총 10명으로 구성된다. 노동조합의 남녀 대표가 위원으로 참여해 현장의 목소리들이 새로운 변화의 방향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했다. 사외위원으로는 장성현 대한항공 IT/마케팅부문 부사장(CMO)을 위촉했다. 글로벌 기업 오라클 출신의 장성현 부사장은 IT를 기반으로 기획∙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전문성을 갖췄다. 대한항공의 경영 시스템 혁신을 이끈 경험을 바탕으로 SPC그룹이 구조적 변화를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진단 출범과 함께 안전시스템·행복한 일터·준법 등 3개의 소위원회도 구성했다. ‘안전시스템 소위원회

사회

더보기
최호정 의장, 환경·디지털·안전 담아 새단장한 청량중학교 방문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최호정 서울특별시의회 의장은 21일(월) 환경‧디지털‧안전 등을 고려해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로 새단장한 청량중학교(동대문구 왕산로 301)를 방문했다. 그린스마트 미래학교는 40년 이상 경과한 학교 건물을 개축 또는 리모델링하는 노후학교시설 개선사업이다. 단순히 노후건물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환경을 생각하고 ▴교육의 디지털 전환과 교실혁명이 가능한 스마트함을 담고 ▴미래학교 교육과정 실현과 교육공동체의 요구를 담은 공간개선 ▴마을과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는 학습생태계를 지향하는 복합화 ▴유해환경으로부터 학생을 보호하고 학부모가 안심할 수 있는 안전까지 고려해 개선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청량중학교는 민간투자사업(BTL)으로 첫 완공했다. 이날 최 의장은 준공식에 참석하고 학교시설을 탐방했다. 준공식에는 정근식 교육감, 이필형 동대문구청장, 이병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동대문구 제1선거구), 이태인 동대문구의장 등이 참석했다. 최 의장은 “단순히 노후 건물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 디지털, 마을공동체에 열린 공간, 안전 등의 철학이 담긴 서울의 미래 교육의 장을 볼 수 있어서 반갑고 뿌듯하다”라며, “공간이 생각을

문화

더보기
제주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미디어아트 융복합 실감뮤지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제주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창작 뮤지컬을 만나기 힘든 제주에서 ‘제주 이야기 창작 뮤지컬’ 2편과 ‘어부와 바다 이야기’ 연극 1편이 한 극장에서 연이어 상설공연을 시작한다. 화이브행크가 2022년과 2023년 제주 지역특화콘텐츠지원작에 선정됐던 미디어아트 융복합 실감뮤지컬을 2년 동안의 업그레이드 작업을 통해 드디어 7월 25일 ‘제주이야기 힐링극장’(옛 제주관광대 컨벤션홀) 무대에 올린다. 첫 번째 작품 ‘뮤지컬 - 그림책 속 제주 이야기’는 우도를 배경으로 해녀 전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3총사의 이야기를 담은 ‘애기해녀학교’, 제주 돌담이 되어버린 흑룡의 전설을 담은 ‘흑룡만리’, 함덕에서 유년을 보낸 엄마가 들려주는 바다놀이 이야기 ‘청청 거러지라 둠비둠비 거러지라’ 등 그림책에서 뽑아낸 총 3편의 이야기를 옴니버스식으로 구성했다. 재미, 감동과 함께 제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2022년에 창작, 초연한 이 작품은 제주와 서울 공연에서 인터파크티켓 관객 평점 10점과 어린이/가족부문 전국 4위, 예스24 전국 가족뮤지컬 랭킹 5위까지 오른 작품이다. 매주 토·일요일 오전 11시, 오후 2시에 만날 수 있다. 두 번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