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평범한 한 남성이 한 순간의 실수로 범죄조직원이라는 전혀 다른 삶을 살게 된다. 릭 로먼 워 감독이 각본을 쓰고 연출했다. 자신의 2008년작 <펠론>과 비슷한 플롯을 가지고 있다. <왕좌의 게임>의 제이미 라니스터 역을 맡았던 니콜라이 코스터-왈도가 주연을 맡았다.
생존을 위한 전투장
성공한 남자이자 자상한 가장이 음주운전 치사라는 순간의 실수로 감옥에 가고 갱의 우두머리인 ‘샷 콜러’가 된다는 이야기. 프리즌 무비와 범죄 액션물의 외형을 하고 있지만 본질은 부성애에 대한 영화라는 것이 특이점이다. <샷 콜러>에서의 ‘감옥’은 철저한 약육강식의 세계다. 강자가 되지 않으면 착취당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세상과는 격리된 이 곳은 집 밖 세상에 대한 은유에 가깝다. ‘감옥’은 주인공 제이콥에게 사랑하는 아내와 아들이 있는 가정과 반대 개념이다.
영화는 감옥에 가기 전의 제이콥과 감옥에서 갱스터로 거듭나는 이후의 제이콥을 외모에서부터 눈빛까지 전혀 다른 두 얼굴로 묘사한다. 감옥의 벽면에 가족 사진을 붙여놓고 아들에게 눈시울을 붉히며 편지를 쓰는 주인공이 조직에서 상대를 살해할 때는 잔인하고 냉정한 면모를 보인다.
<샷 콜러>가 관객의 감성을 파고드는 지점은 이 극적인 캐릭터가 가부장제 아버지의 전형이라는 것이다. 제이콥은 아들에게 ‘아버지의 삶을 닮지말고 자신의 삶을 살아라. 엄마를 보호해라’고 강조한다. 가족을 지키기 위해 강자가 되고, 손에 피 묻히기를 주저하지 않으며 자신의 인생을 더럽히고 포기한다. 그가 어둠의 세계에서의 싸움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족들은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었다. 하지만 그 가족의 행복에서 아이러니하게도 아버지는 부재한다. 감옥 속에서 가족을 위해 희생하지만 아버지의 세계는 가족과 분리돼 존재한다. 심지어 가족의 생존을 위한 전투장인 그의 세계는 범죄 조직인 만큼 가족으로부터 외면받거나 경멸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가족의 이해는 희생의 가장 큰 보상으로 작용한다. 가부장제 희생자로서의 아버지라는 전형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이다. ‘증권맨’이라는 그의 전직은 그저 성공한 자에 대한 상징만은 아닐지도 모른다.
감성적 액션, 일상의 은유
<샷 콜러>는 이처럼 관습적 이데올로기를 전면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관객에게 공감을 이끌어낸다. 범죄 액션물의 장르적 쾌감을 버리지 않으면서 이 장르의 주 관객층인 남성의 자기위안이라는 감성적 코드를 녹여낸 영리한 선택이다.
가부장제 판타지와 함께 타락한 사회가 어떻게 인간을 타락시키는가는 메시지도 직설적으로 담고 있다. 누구나 누구에게 천사로 태어나 아무도 범죄자가 되길 원하지 않았다. 주인공처럼 작은 실수와 선택의 불운들이 쌓여 인생의 다른 길을 가는 것이라고 영화는 말한다. 경범죄자가 중범죄자가 돼야만 생존할 수 있는 감옥의 룰은 그래서 음주운전이라는 주인공의 죄를 압도하는 악한 시스템이다. 전작 <펠론>과 마찬가지로 사법제도의 모순과 갱생시스템의 한계 등에 대한 비판이 깔려있다.
익숙한 메시지를 상업적 문법으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과장과 억지는 있다. 범죄조직이 지배하는 감옥의 세계 묘사는 지나치게 극단적이다. 인물의 선택도 자기 변명적인면이 있으며, 설득력을 얻기 힘든 부분이 많다. 하지만, 사실적 세밀함보다 이 영화가 우리 마음 속의 깊은 곳을 건드리는 감성적 액션, 일상의 은유라는 것을 생각하면 납득이 간다.
제이콥을 연기한 니콜라이 코스터-왈도의 두 세계를 오가는 변신과 표현을 감상하는 것 또한 이 영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