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1.5℃
  • 구름많음강릉 4.1℃
  • 구름많음서울 0.2℃
  • 흐림대전 3.4℃
  • 구름많음대구 4.1℃
  • 구름많음울산 4.4℃
  • 흐림광주 5.7℃
  • 구름많음부산 5.7℃
  • 흐림고창 6.2℃
  • 구름많음제주 9.8℃
  • 구름많음강화 0.3℃
  • 흐림보은 2.2℃
  • 구름많음금산 2.7℃
  • 흐림강진군 6.6℃
  • 구름많음경주시 4.0℃
  • 구름많음거제 7.3℃
기상청 제공

정승안의 풍수의 세계

[풍수인문학] '하도'와 '낙서'의 원리를 알아야 풍수의 세계에 들어갈 수 있다.

URL복사


[시사뉴스 정승안 교수] 복희(伏羲)황제는 용마에서 ‘하도(河圖)’를, 주문왕(周文王)은 신령스런 거북에게서 ‘낙서(洛書)’를, 공자(孔子)는 역 ‘계사전(繫辭傳)’을... 세 분의 성인이 지은 책이 ‘역(易)’이다.



복희‘씨’(伏羲氏)가 아니라 복희‘황제’(伏羲皇帝)라 칭해야


하도(河圖)는 중국 황하에서 나왔다는 신비한 그림을 지칭한다. 복희 황제가 수천 년 전에 황하를 정비하는 도중에 신령스러운 말 한 마리가 솟구쳐 나왔는데, 그 모습이 마치 머리는 ‘용(龍)’과 같고 몸통은 ‘말(馬)’의 모습이었다. 그 말의 등을 살펴보니 이상하게 생긴 점들이 있어서 그림으로 옮겼는데 이를 ‘하도(河圖)’라 칭하였다는 것이다. 이것을 연구하여 우주 순환의 원리와 삶의 철학을 발견하여 세상 사람들을 깨우친 이가 ‘복희(伏羲)’황제이다. 어떤 이들은 복희씨(伏羲氏)라 통칭한다. 그러나 ‘씨(氏)’는 격을 낮추어 부르는 말이다. 중국인이 자신의 직계조상이 아닌 동이족이었던 복희를 비하해서 부르는 호칭이 ‘복희씨’였다. 그러니 복희‘황제’라 부르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복희 황제는 하도를 연구해서 중국역사 최초의 제왕(帝王)이 되었다. 진(陳)에 도읍을 정하고 150년 동안 통치했다. 하도 그림을 활용해 우주의 원리와 8괘(八卦)를 처음으로 만들어 만물을 상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들의 전유물이라 여겨지던 문명의 상징인 ‘불(火)’을 다룰 수 있도록 하여 인류문명의 새로운 흐름을 개척할 수 있는 계기도 마련하였다. 사실 신들의 전유물이었던 불을 훔쳐냈던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롤 모델(Role Model)이었던 셈이다.






하도와 낙서의 그림은 이후 수천 년 동안 동아시아 사상가들의 지적인 유희의 대상으로 기능해왔다. 이 두 그림만으로 태극, 음양, 오행의 원리를 포함한 만물의 형상과 특성을 정리하고 물건을 제작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앞날을 예측할 수 있는 전지전능한 무기가 되었다.


현대 물리학자들이 주역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


하도에서는 양(陽)의 수(數) 1은 음(陰)의 수(數) 6과 짝을 이루고, 음의 수 2는 양의 수 7을, 양의 수 3은 음의 수 8을, 음의 수 4는 양의 수 9를, 양의 수 5는 음의 수 10을 각기 짝으로 맞물리며 음양으로 어울리고 있다. 1,2,3,4,5의 수는 천지만물의 기본수이자 태어나는 수인 생수(生數)가 되었고 6,7,8,9,10의 수는 조화의 수리이자 완성수인 성수(成數)가 되었다. 또 복희황제는 하도의 원리를 활용하여 우주의 기본원리와 상(象)을 선천팔괘(先天八卦)로 배치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건(乾)은 하늘(天)이요 1이며, 곤(坤)은 땅(地)이며 2가 되어 하늘땅이 제자리에 섰으며(天地定位), 간(艮)은 산(山)이며 7이요, 태(兌)는 연못(澤)이며 2가 되어 산과 연못의 기운이 서로 통하고(山澤通氣), 진(震)은 우레(雷)이며 4이며, 손(巽)은 바람(風)이며 5가 되어, 우레와 바람이 서로 부딪히며(雷風相搏), 감(坎)은 물(水)이며 6이며, 이(離)는 불(火)이며 2가 되어 물과 불은 서로 쏘지 않는다(水火不相射)”는 것이다.


이렇듯 복희황제는 우주만상은 기본적으로 상대성 원리에 의하여 순환하고 변화한다고 보았다. 태극과 음양의 분리지점인 진(震)과 손(巽)을 연결하면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음양이 서로 대칭되며 마주보면서 정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만물의 작동원리가 음양의 조화로 인함을 그림만으로도 충분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의 원리와 복희의 하도의 원리는 근본적으로 상통하고 있다. 현대 물리학의 대가들이 주역의 논리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당연하게 느껴지는 이유이다.


만물의 변화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후천팔괘(낙서), 마방진


낙서(洛書)도 마찬가지의 신화를 지니고 있다. 지금부터 3천여 년 전 낙수(洛水)에서 주나라를 건립했던 문왕(文王) 이 물난리를 다스리고 있을 때 거북이를 건져 올렸는데, 그 거북이의 등에 신기한 그림이 그려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고, 우주 만물의 변화의 이치들을 읽어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를 낙수강가에서 나온 그림이라 하여 낙서(洛書)라 불렀다.


복희황제의 하도가 만물‘생성’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데 반해, 낙서의 그림은 천지‘운행’의 원리를 담아내고 있음을 깨달은 문왕은 은(殷)을 멸하고 주(周)를 건국하는 데 이를 적극 활용하였다. 복희황제와 주문왕은 오늘날에도 요순과 더불어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성인(聖人)이자 왕으로 추앙받고 있다. 복희와 문왕의 하도낙서를 공자께서 계사전으로 이어받아 완성된 것이 이른바 ‘역(易)’이다. 세 성인이 함께 공저한 셈이다. 공자께서 시전(詩傳)을 편집하며 앞머리에 문왕의 공덕을 기리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은 일이다.


“천지 만물은 진(震)방향에서 나와 동남쪽 손(巽)에서 가지런히 정제하며, 이(離)에서 왕성한 기운을 얻고 서남쪽 곤(坤)에서 발전 성장한다. 태(兌)에서 성숙하며 서북쪽(乾)에서 성취하며, 감(坎)에서 쉬며, 간(艮)에서 다시 태어남을 준비한다”는 것이다.


                                 


하도를 선천팔괘, 낙서를 후천 팔괘라고 칭하는데, 낙서에서는 만물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순환의 이치를 밝혀내고 있다. 복희황제의 선천팔괘(先天八卦)가 우주와 만물의 생성원리를 설명하는 본체(體)에 해당한다면, 문왕의 후천팔괘(後天八卦)는 우주만물의 변화원리를 설명하는 용(用)에 해당한다. 하도가 하늘과 땅의 공간적 모습을 형상하고 있다면, 낙서는 하늘과 땅 사이의 변화의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내고 있다.


양수인 1, 3, 7, 9는 동서남북의 정방(正方)에 배치하였고, 음수인 2, 4, 6, 8은 대각선 방위인 간방(間方)에 배치하였다. 이것은 양수가 동서남북 사방의 주체가 되고, 음수가 간방에서 양수를 보좌하여 음양이 배합하며 천지만물을 움직이는데 조력하고 있는 모습을 형상하고 있다. 수리적으로 살펴보면 낙서는 이른바 ‘마방진(魔方陣)’이라 알려진 것과 마찬가지로 위아래나 옆 또는 대각선 어느 쪽에서도 세 자리 수의 합계는 ‘15’가 된다. 또 가운데 숫자를 빼면 모두가 ‘10’이 된다. 낙서의 원리를 활용한 대표적인 것이 구궁도이다.


구궁도(九宮圖)는 낙서에 기원한 천지변화의 이치와 질서를 그림으로 표시하고 있는데, 동양의 모든 ‘병법’과 ‘수리’철학, ‘기문둔갑’이나 ‘점복’에서 활용되고 있는 수리철학의 원형이자 마법의 문자로 활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술수사회학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구궁의 순서와 오행은 다음과 같다.
“일감백수(一坎白水) → 이곤흑토(二坤黑土) → 삼진벽목(三震碧木) → 사손녹목(四巽祿木) → 오중황토(五中黃土) → 육건백금(六乾白金) → 칠태적금(七兌赤金) → 팔간백토(八艮白土) → 구이자화(九離紫火)”
그러나 오늘날 풍수를 논하는 많은 사람들이 역의 철학과 원리를 배제한 채 인간사의 길흉이 마치 공식처럼 적용된다고 말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우주자연의 원리의 연장선상이 아니라 ‘공식’이라는 비결을 찾고 있는 것이다. 가소로운 일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이재명 정부 첫 남북회담 공식 제안...국방부 “군사분계선 기준선 논의하자”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국방부가 북한에 남북회담을 개최해 군사분계선 기준선에 대해 논의할 것을 공식 제안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남북회담 공식 제안이다. 국방부 김홍철 국방정책실 실장은 17일 국방부에서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 관련 회담 제안을 위한 담화’를 발표해 “우리 군은 남북의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고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남북 군사당국 회담을 개최해 군사분계선의 기준선 설정에 대해 논의할 것을 공식적으로 제안한다”며 “구체적인 회담 일정, 장소 등은 판문점을 통해 협의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반도 긴장 완화와 군사적 신뢰 회복을 위한 제안에 대해 북측의 긍정적이고 빠른 호응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담 제안에 대해 김홍철 국방정책실장은 “최근 북한군이 비무장지대 내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전술도로와 철책선을 설치하고 지뢰를 매설하는 과정에서 일부 인원들이 군사분계선을 넘어 우리 지역을 침범하는 상황이 지속 발생하고 있다”며 “이에 대해 우리 군은 작전 수행 절차에 따라 경고 방송, 경고 사격을 통해 북한군이 군사분계선 이북으로 퇴거토록 조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홍철 실장은 “북한군의 군사분계선 침범과 절차에 따

경제

더보기
김정관, 3500억불 한미 투자 양해각서에 “비준 의무 없고 받으면 우리 손발 묶어”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한미 관세협상 최종 합의와 ‘한미 전략적 투자 양해각서’ 서명이 이뤄진 가운데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한미 관세협상에 대한 국회 비준 동의는 법적인 의무가 없고 비준 동의를 받는 것이 오히려 자충수임을 강조했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17일 재단법인 CBS(Christian Broadcasting System, 기독교방송)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한미 관세협상 국회 비준 동의에 대해 “(조약이 아니라서) 법적 구속력이 없는 것이기 때문에 비준은 안 받아도 된다”며 “비준을 한다는 것은 권투 선수가 링에 올라가는데 저쪽은 자유롭게 하는데 우리 손발을 묶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비준을 받으면 저희가 반드시 지켜야 되는 국내 법적 효력을 갖는다”라며 “예를 들어 5대 5로 배분한다는 내용들이 제가 제일 아쉬워하는 부분들이다. 그런 부분들을 앞으로 협상을 하면서 우리가 논의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비준을 한다는 것은 5 대 5를 딱 지키라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김정관 장관은 “(한미 관세협상에 대해) 재정적인 부담은 저희가 특별법을 만들어 국회의 동의를 충분히 거칠 것이다”라며 “(관세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전쟁이 인간에게 남긴 상처와 희망의 잔향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임란, 삼백 감꽃’을 펴냈다. 역사의 한 페이지가 인간의 숨결로 되살아날 때, 우리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닌 오늘의 질문과 마주하게 된다. ‘임란, 삼백 감꽃’은 임진왜란의 작원관 전투를 배경으로, ‘삼백 용사’의 숨결을 따라 조선의 절박한 항전과 인간의 내면을 탐구한 역사 판타지 소설이다. 작가 이준영은 헤로도토스의 ‘역사’를 강의하며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고대 스파르타의 테르모필라이 전투와 조선의 작원관 전투를 한 축으로 잇는 상상력을 펼쳐 보인다. 작원관의 벼랑 끝에서 싸운 삼백 용사들의 이야기는 단순한 전쟁사가 아니다. 그것은 신념과 두려움, 희생과 연대가 교차하는 인간의 초상이며, 한 시대를 지탱한 마음의 기록이다. 작품 속 아몽 군관과 소년 민기의 여정은 전장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인간이 끝내 지키려 한 ‘꿈’과 ‘사랑’을 상징한다. 전투의 비명과 침묵 사이에서 울려 퍼지는 감꽃의 이미지는, 피와 흙, 그리고 희망이 어우러진 시대의 숨결을 떠올리게 한다. 이준영 작가는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상상력을 교차시키며, 현실과 꿈,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서사를 완성한다. 액자식 구조와 꿈의 장치를 통해, 독자는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