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

이언주 “文 대통령, 노벨평화상 받으러 북유럽 갔나”

URL복사

“노르웨이, 천혜자원 보고… 국민 뒷전이고 오로지 北 외쳐”



[시사뉴스 오주한 기자] 이언주 무소속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의 북유럽 순방과 관련해 “노벨평화상 받으러 갔나”라고 신랄히 질타했다.


이 의원은 최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국민은 경제파탄으로 죽겠다고 아우성이고 미중(美中) 갈등이 첨예화되는 이 시점에 문 대통령은 굳이 왜 특별한 현안도 없이 북유럽을 갔는지 전혀 이해를 못 하겠다”며 “오슬로연설 내용을 살펴보니 노벨평화상 받으려면 뭐라도 해야겠다 싶었는지 별 생각이 다 든다”고 말했다.


그는 “연설내용도 완전히 엉터리로 가득 찼다. 국정을 책임지는 대통령이 자기 연설문을 읽으면서 그 내용이 실제와 다른 엉터리가 많다는 걸 전혀 모른단 말인가”라며 “씌여진 걸 읽는 것이겠지요”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노르웨이는 천혜의 자원과 값싼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곳이다. 적은 인구, 넓은 땅덩어리에 1인당 국민소득도 우리의 3배에 육박하는 8만2000불이다. 그러니 경쟁보단 삶의 질이 중요하다는 얘길 해도 괜찮은 상황”이라며 “대한민국은 정부가 경제의지 자체를 꺾어버려 경쟁 자체가 사리지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런 마당에 나라와 국민은 뒷전이고 오로지 북한만 외치다니요”라며 “북한 비핵화, 뭐 하나 제대로 진행된 게 있긴 한가”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