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오주한 기자] 문재인 정부가 한 청와대 고위인사 발언처럼 ‘글로벌호구’가 다 된 것으로 보인다. 세계 각지에서 대놓고 정부를 조롱·무시하는 분위기가 짙어지는 모양새다.
문 대통령이 최근 ‘평화경제 동반자’로 주장한 북한은 정부에 대한 조롱 수위를 급격히 높이고 있다.
북한 외무성은 11일 담화에서 한미훈련에 나선 문재인 정부를 비난하면서 ‘바보’, ‘똥’, ‘개’, ‘웃기는 것’ 등 비속어를 쏟아냈다. 청와대는 “겁먹은 개”로, 정경두 국방장관은 “웃기는 것”으로 지칭했다. 한미훈련은 ‘똥’으로 불렀다.
11일부터 시작된 ‘19-2 동맹’ 한미훈련에서 ‘동맹’ 단어를 삭제한 청와대는 이에 대해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한반도 운전자론을 주장한 문 대통령은 자신의 대북정책이 총체적 실패였음을 뼈아프게 반성하고 9.19남북군사합의 파기를 공식선언한 뒤 국민 앞에 석고대죄하라”고 촉구했다.
미국 행정부는 그들대로 문재인 정부 무시를 노골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9일 뉴욕주 햄프턴스에서의 모금행사에서 “(뉴욕) 브루클린 임대아파트에서 월세 114달러13센트를 받는 것보다 한국에서 (방위비 분담금) 10억 달러(1조2,000억원)를 받는 게 더 쉬웠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 방위비 협상과정을 설명하면서 문 대통령 억양을 따라하기도 했다고 <뉴욕포스트>는 전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초 ‘중국몽’ 동참을 선언한 중국도 행태는 비슷하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는 지난 1일 ‘한일 분쟁이 제3자에게 주는 교훈’ 제하 칼럼에서 “약한 병력으로 싸우기만을 고집하면 질 수밖에 없다”며 “약한 군대(한국)가 굳게 지키면 강한 적(일본)에게 포로로 잡힌다”고 주장했다. 3일 푸총 중국 외교부 군축사 사장(국장급)은 한국에 미국 중거리미사일 배치 시 “보복할 것”이라고 협박했다.
중국과 협력관계인 러시아는 8일 또다시 한국방공식별구역(카디즈)에 군용기를 무단침범시켰다.
우리 군은 이를 이례적으로 발표하지 않았지만 일본 측이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이번에도 지난달 23일 침범 때와 같이 러시아 군용기는 독도 인근 상공을 비행했다. 문재인 정부는 일본 수출규제 대항카드로 독도 훈련을 검토 중이지만 정작 러시아 침범에는 침묵하고 있다.
유럽도 무시에 가담하는 듯한 모양새다. 독일에서는 최근 10cm 크기의 작은 위안부소녀상이 베를린 소재 갤러리 ‘게독’에 전시됐다가 돌연 철거됐다. 작년에는 라벤스브뤼크 소재 나치 강제수용소 기념관에서도 똑같은 일이 벌어졌다.
정부도 ‘글로벌호구’를 인지하는 듯한 분위기다.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12일 오전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일본 수출규제 관련 미국 중재 요청 여부를 묻는 질문에 “하지 않았다”며 “제가 도와달라고 하는 순간 ‘글로벌호구’가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