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장혁 기자] “우리은행은 1899년 자금흐름을 원활히 하여 국가 경제에 이바지한다는 목적으로 설립된 ‘국내 유일의 민족 정통 은행’입니다.”
우리은행은 국내 최초의 민족 정통 은행이라는 타이틀도 가져가고 싶었겠지만 안타깝게도 1897년 설립된 한성은행(조흥은행, 현 신한은행)이 국내 최초다. 당나귀를 담보로 첫 대출영업을 시작했다는 일화는 아직도 회자되고 있다.
민족 정통 은행이라는 말도 어폐가 있어 보인다. 순수 민족 자본으로 설립된 은행이라 보기에는 석연치 않다.
우리은행의 뿌리는 대한천일은행(大韓天一銀行)이다. ‘하늘 아래 첫째 은행’이라는 대한천일은행은 고종이 설립했다고 알려졌지만 사실 친일파 민병석이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초대행장을 맡았다.
당시 황실 특혜를 받았고 일본 다이이치은행도 지원사격에 나섰다. 민족 정통은커녕 태생부터 ‘친일’ 꼬리표를 달고 나온 것은 아닐까.
이후 대한천일은행은 경술국치 이듬해인 1911년 2월 조선상업은행으로 개편된다. 일제강점 직후 민족계 은행에 대한 일본 자본과 세력을 침투시키려는 조선총독부 정책의 일환으로 출범했다.
삼남은행, 북선상업은행, 대구상공은행 등 민족계 은행 흡수 합병
조선상업은행 출범 후 일본은 본격적으로 식민지 금융 찬탈에 나섰다. 조선총독부는 1928년 신은행령을 공포하고 민족계 은행 말살을 시작했다.
그 결과 1928년 건실하게 운영되던 삼남은행(三南銀行)이, 1933년 북선상업은행(北鮮商業銀行)이, 1941년 경일은행의 전신인 대구상공은행(大邱商工銀行)이 각각 흡수, 통합되었다.
조선상업은행의 자본 구성을 보면, 1917년에 자본금 57만5,000원이던 것이 군소은행의 흡수와 통합 과정을 거치면서 흡수, 통합되는 은행의 자본금이 가산되고 자체의 증자도 단행해 1929년 6월에는 공칭자본금 892만5,000원, 불입자본금 447만5,000원으로 증액되었다.
광복 후 조선상업은행은 한국상업은행으로 개편되었다가 1999년 한일은행과 합병해 한빛은행으로 통합되었고, 다시 2002년에 이르러 지금의 우리은행으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