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9.5℃
  • 구름많음강릉 10.0℃
  • 박무서울 10.2℃
  • 안개대전 13.8℃
  • 흐림대구 17.3℃
  • 흐림울산 12.3℃
  • 광주 16.6℃
  • 부산 14.8℃
  • 구름많음고창 13.1℃
  • 구름조금제주 17.0℃
  • 맑음강화 8.4℃
  • 구름많음보은 14.8℃
  • 흐림금산 15.2℃
  • 흐림강진군 17.4℃
  • 구름많음경주시 11.9℃
  • 구름많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강영환 칼럼

[강영환 칼럼] 언택트 시대, 코로나19 보다 더 큰 중병에 대처하자.

URL복사

코로나19는 우리 세대 인류가 처음 접하는 ‘팬데믹’의 새로운 경험의 시대를 열었다. 그리고 삶의 도처에  ‘비대면(Un-tact)’이라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선사했다. 

 

역사를 볼 때 인류의 발전은 사실 ‘콘택트(Contact)’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즉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의 실질적 접촉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어쩌면 사회적 삶과 역사발전의 동인(動因)이었던 콘택트, 즉 접촉이 무력화되거나 재편되면서 점차 그 자리를 대체해 가는 언택트, 즉 비접촉 라이프 스타일에 우리는 스스로 동화되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교육, 경제, 문화, 생활 등 인류 모든 삶의 행위 속에서 언택트는 이제 필수적인 무언가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그 상황 앞에서 우리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적잖이 혼동스럽기도 하다. 처음 접하는 무언가이기에.

 

코로나19 때문에 일어난 일일까? 엄밀히 말하면 아니다. 코로나19는 새로운 경험에 불을 질렀을 뿐이다. 

 

이미 인류는 기술의 급격한 진화를 이루면서 현실 세계가 아닌 가상공간을 꿈꾸어왔고, 이젠 디지털 세상에서 더 자유롭게 누리는 경지에 이르렀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다양한 디지털 기기와 기술을 자유롭게 활용해 개인이 원하는 시간에 혼자 원하는 것을 누리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혼자만의 생활을 누리는 언택트 문화가 급속 확산 중이다. 

 

여기엔 사람들의 심리 변화도 크게 한몫했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는 초연결사회가 구축되다 보니 사람과의 접촉 자체에 피로감을 느끼는 이들이 많아진 것이다. 학교생활이나 직장생활을 잘하는 이들도 필수적인 인간관계 외엔 자신을 위해 시간을 쓰는 경향이 높고, 혼술(혼자 술 마시기), 혼영(혼자 영화 보기)에, 혼자 생활의 최고 경지라는 혼고(혼자 고기먹기)를 즐기곤 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1인 가구 수는 약 598만 명이다. 전체 가구 유형 중 30%로 가장 높은 비율이다. 게다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여기엔 스스로 선택한 1인 가구도 있지만 어쩔 수 없는 비자발적인 1인 가구도 많다. 이들은 사회적 연결망의 부재, 위급할 때 도움을 청할 곳이 없는 사회적 방임 속에 고통받기도 하며 때론 언론지상에 불의의 사고로 가슴을 아프게 한다. 컨택트를 하고 싶어도 어쩔 수 없이 언택트인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언택트로 인한 젊은 층의 외로움도 심각한 문제다. 2018년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20대를 대상으로 ‘고독지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10명 중 6명이 “고독감을 느낀다”고 답했다고 한다. 조사에 따르면 고독감을 겪는 이들은 자주 공허함을 느끼거나 외로움을 느끼고, 가능하면 혼자 있고 싶거나 사람 만나는 것이 불편하고 두렵다고 했다. 또한, 나만 불행한 것 같아 우울한 점, 아무도 나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느껴지는 점 등을 주요 증상으로 꼽았다고 한다.

 

이렇게 ’언택트‘는 코로나19에 따른 문제만이 아니다. 디지털 환경의 변화로 언택트화되어 가는 사회 추세 속에 코로나19는 인간의 가장 중요한 문제인 질병과 건강의 문제를 건들어 지금까지 사회와 역사발전의 동력이었던 컨택트에 심각한 제동을 건 것이다. 코로나19는 진행 중인 ’언택트‘추세에 마침 불을 활활 지른 것이다. 

 

이 지점에서 나는 코로나19보다 더 큰 병을 고민한다. 그렇지 않아도 디지털 환경변화에 의한 부작용인 ’외로움‘이라는 병을 코로나19가 더 큰 중병으로 만들어놓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다. 이 병은 백신이 나와도 쉽게 잡을 수 없는 병이다. 

 

코로나19 이전에 ‘외로움’을 국가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대처한 나라가 있다. 영국이다. 영국은 2018년 초, 내각에 ‘외로움 담당 장관(Minister for Loneliness)’ 직을 신설했다. 

 

영국은 많은 사람들이 외로움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은 중요한 시대적 과제이며 많은 국민들이 안고 있는 외로움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미 외로움을 개인적 불행이 아닌 일종의 ‘사회적 전염병’이라고 규정하고 공동체의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에 국가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전략을 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우리나라엔 더더욱 필요하다. 우리는 머지않아 1인 가구가 가장 주된 형태의 가구로 자리 잡을 저출산·고령화 국가다. 우리는 현실 공간보단 가상공간이 어마어마한 속도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최강의 디지털 국가다. 우리는 건강에 대한 최고의 관심으로 코로나19 방역에서 보듯 국민적 캠페인을 모범적으로 추진하는 국가다. 

 

그런데 이런 모습은 어쩌면 코로나19 보다 더 무서운 외로움이라는 사회적 전염병이 크게 번질 수도 있는 여건이기도 하다. 이 큰 중병을 우리는 미리미리 대비해야 한다.

 

<편집자 주 :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봄철 찾아오는 미세먼지와 큰 일교차, 심장 관리 필수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꽃샘추위가 지나가고 화창하고 따스한 햇살을 만끽할 수 있는 봄이 우리에게 성큼 찾아왔다. 봄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야외 나들이를 기대하는 동시에, 꽃가루와 미세먼지로 인한 알레르기 비염이나 기관지염,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걱정하곤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 있다. 바로 심혈관질환이다. 심혈관질환이란 심장과 주요 동맥에 이상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고지혈증, 부정맥,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이 있다. 심장 근육이 활발히 움직이기 위해서는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받아야 하는데, 이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혈관이 바로 심장의 관상동맥이다.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증이 발생해 해당 부위가 혈류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해 손상되게 되면 심혈관질환이 발생한다.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자 국내 사망원인 2위인 심혈관질환은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에 위험성이 높다고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심혈관질환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3월로, 총 346,778명이 병원을 방문했다. 가장 환자 수가 낮은 9월과 비교했을 때, 33,914명의 차이를 보인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