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

SG 엔터테인먼트, 첫 크리에이터 연습생 영상 공개

URL복사

 

 SG 엔터테인먼트의 첫 번째 타자로 이예린 연습생이 코난 그레이(Conan Grey)의 ‘매니악(Maniac)’ 곡을 커버한다. 영상은 8월 10일 오후 1시 티저 영상 공개를 시작으로 12일 오후 1시 공식 커버 영상이 유튜브 등 SNS 채널을 통해 공개된다.

 

이예린 연습생은 이번 곡을 통해 과거 미국의 배경을 1980년대 한국의 모습으로 재해석하며 서양과 동양의 문화를 결합한 뉴트로 감성 음악을 선보인다.

 

이예린 연습생은 작곡, 작사가 가능한 멤버로 매력적인 음색과 파워풀한 가창력을 뽐내며 자신만의 색깔로 연기하며 가사를 표현해내고자 했다.

 

다음 타자로 배이화 연습생이 위대한 쇼맨(The Greatest Showman) OST인 ‘어 밀리언 드림스(A Million Dreams)’ 곡을 안무 영상으로 커버하며 아티스트로서의 첫 발걸음을 춤을 통해 내디딘다.

 

배이화 연습생은 프리스타일 댄스와 안무창작 능력을 갖춘 댄스 실력자로 이번 댄스 커버 영상에서 서정적인 퍼포먼스의 안무를 통해 꿈을 향한 자신의 희망찬 포부를 표현해내고자 한다.

 

8월 17일 오후 1시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을 통해 티저 영상이 먼저 공개되며 19일 오후 1시에 유튜브 등 SNS 채널로 커버 영상 풀버전이 공개될 예정이다.

 

마지막 타자로 김지연 연습생이 직접 작사한 랩을 라이브 영상으로 담아내 자신의 삶에 관해 이야기하며 대중의 공감을 끌어낼 수 있는 희망과 사랑의 메시지를 전한다.

 

김지연 연습생은 멤버 중 가장 나이가 어리지만 랩 창작에 잠재력이 있는 멤버다. 8월 24일 티저 영상 공개를 시작으로 8월 26일 모두 오후 1시 영상 풀버전이 유튜브 등 SNS 채널을 통해 공개된다.

 

SG 엔터테인먼트는 세계 첫 크리에이터 연습생을 양성하고 있으며 유튜브 영상을 시작으로 SG 엔터테인먼트의 박준범 영상 디렉터와 김서연 비주얼 아트 디렉터의 지도 아래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연습생들이 자신만의 스타일대로 음악을 재해석하며 자기의 세계를 만들어가는, 신선하면서도 감각적인 케이팝 돌풍을 일으키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