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서울 가족·직장·병원·학원 등 'n차 감염' 확산...신규확진 105명

URL복사

 

[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 서울 지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100명을 넘어선 가운데 가족, 직장, 병원, 학원, 교회, 헬스장, 감염자 접촉 등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신규 확진자는 105명으로 강남구, 동작구, 서대문구에서는 확진자가 무더기로 나왔다.

 

노량진 학원가와 일상 공간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이어지면서 서울 지역 코로나19 상황은 악화일로다. 실제로 서울 지역 신규 확진자수는 지난 9일 35명을 기록한 이후 45명→53명→74명→69명→85명→80명→90명→92명→109명→132명으로 급증했다.

 

특히 이날 0시 기준 서울 지역 확진자는 156명으로 역대 최다 수치를 기록했다. 사랑제일교회와 도심집회 영향으로 확진자가 쏟아지던 8월26일 154명을 넘어서는 수치다. 또 신규 확진자가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에서 발생하면서 서울 전역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강남구에서는 12명(421~432번)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424·425·427·431번은 앞서 확진 받은 강남구민인 가족으로부터, 422번은 타 지역 확진자와 접촉으로 감염된 것으로 보인다. 421·423·426·428·429·430·432번 확진자는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동작구에서는 9명의 확진자가 쏟아졌다. 329·330·335·336번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기존 환자와의 접촉으로 추정된다. 331~334번 확진자는 모두 동거인이다. 337번 확진자는 해외방문으로 감염경로가 분류됐다.

 

서대문구는 8명(205~212번)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이들 확진자들의 감염경로와 역학조사 결과 등은 공개되지 읺았다.

 

양천구과 마포구에서는 각각 5명이 신규 확진자로 이름을 올렸다.

 

양천구 목4동에 거주하는 224·225번 확진자는 관내 220번 감염자의 동거인이다. 226·227번 확진자 역시 관내 221번 환자와 함께 신정1동에서 살고 있다. 228번 확진자(신월5동)는 기존 감염자와 접촉한 것으로 조사됐다.

 

마포구 229번 확진자는 해외유입, 230번 확진자는 타 구 환자 접촉, 231번 확진자는 홍대새교회 관련 감염으로 분석된다. 232번 확진자의 겸염경로는 방역당국이 확인 중이다. 233번 확진자는 관내 환자와 접촉한 후 양성 판정을 받았다.

 

강동구 238·239번 확진자는 관내 209번 감염자와, 240번 확진자는 관내 208번 감염자와 각각 접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모두 자가격리 해제전 검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다. 241번 확진자는 중랑구 환자와 접촉으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송정동에 혼자 거주하는 성동구 192번 확진자는 40대로 무증상이었다. 그는 타시도 확진자와 접촉했다. 주소지가 송정동인 20대 193번 확진자는 직장 내 집단감염 관련으로 분류됐다. 그는 음성 판정을 받고 자가격리를 이행했다. 이후 해제전 검사에서는 양성으로 나왔다. 194번 확진자(사근동 거주 20대)와 195번 확진자(왕십리도선동 거주 60대)의 감염경로는 조사 중이다.

 

서초구 351번 확진자(서초3동)는 타구 감염자와, 352번 확진자(서초3동)는 관내 감염자와 각각 접촉했다. 353번 확진자(반포3동)는 관내 휘트니스 관련으로 감염으로 분석된다. 354번 확진자(잠원동)는 타구 환자와 접촉해 감염된 것으로 보인다.

 

강서구 409번 확진자는 서울대병원 관련 감염자다. 410번 확진자는 관내 유림식당을 이용했으며 411번 확진자는 인천공항 검역소 감염자의 가족이다.

 

관악구 503·504번 확진자는 타 지역 학원 내 감염자와 접촉한 후 양성 판정을 받았다. 505번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밝혀지지 않았다.

 

강북구 174·175번 확진자는 타구 환자와 관련된 감염이다. 용산구 181번 확진자와 종로구 110·111·112번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파악 중이다.

 

추가 감염자가 발생함에 따라 서울 지역 확진자는 최소 7497명으로 늘어났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국회, 경제 대정부 질문…확장 재정·상법 개정안·노란봉투법·소비쿠폰 '부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오늘(17일)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을 실시한다. 정부의 경제 정책 기조 등을 놓고 여야 격돌이 예상된다. 국회는 이날 이재명 정부 첫 정기국회 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을 실시한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권칠승·정태호·이언주·주철현·허성무·김영환 의원이 질의자로 나선다. 민주당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이재명 정부 정책 성과를 조명하면서 윤석열 정부 당시 세수 결손 사태 등을 지적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이번 대정부 질문을 사실상 '청문회' 성격으로 규정하고 정부 정책을 송곳 검증할 계획이다. 4선인 김상훈·이헌승·조은희·조승환 의원이 질문자로 나서 정부의 확장 재정 기조와 상법 개정안·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 등의 문제점을 부각할 예정이다. 비교섭단체에서는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대정부질문에 참여한다. 정부 측에서는 국무총리, 기획재정부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국토교통부 장관, 해양수산부 장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공정거래위원장, 금융위원장 등이 출석한다. 여야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놓고도 공방을 벌일 전망이다. 여권은 "밭에 씨를 뿌려야 하

경제

더보기
이노비즈협회-조달청, 중기 공공조달 규제개선 간담회 개최... “현장 소통으로 조달 혁신”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노비즈협회는 17일 성남 판교 협회 대회의실에서 조달청과 함께 ‘현장 소통 간담회’를 개최하고,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조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이번 간담회는 중소기업들이 조달 참여 과정에서 겪는 불합리한 제도와 규제를 개선하고, 현장 중심의 정책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는 이노비즈협회 정광천 회장을 비롯해 △유니온씨티 임동욱 대표(이노비즈 전북지회 회장) △보광아이엔티 차순자 대표 △에니텍시스 홍사혁 대표 △하이테커 백성욱 대표 △아이지 김창일 대표 등 혁신·우수·G-PASS기업 및 공공조달 참여기업 5곳이 참석했다. 조달청에서는 백승보 청장과 주요 정책부서 과장 등 4명이 함께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간담회에서 이노비즈기업의 조달 참여 활성화와 공정한 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실질적 정책 개선 방안이 진행됐다. 정광천 이노비즈협회 회장은 △공공조달형 납품대금 연동제 확대, 임동욱 ㈜유니온씨티 대표이사는 △조달청 인증제품의 개별 매각 제도 도입을 제안했으며, 차순자 ㈜보광아이엔티 대표이사는 △다수공급자계약 진행 기간 단축과 기업 보호 제도 마련 △다수공급자계약 물품 등록 시 가격 조정의 투명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