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사회

감염취약시설 8480개소, 무증상 확진 36명 발견

URL복사

 

대상인원 기준 검사율 2주 전보다 20% 감소
"요양시설·중증장애인거주시설 평균 못미쳐"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방역당국이 올해 요양병원과 정신병원 등 코로나19 감염취약시설 대상 PCR(유전자증폭)선제검사를 받은 8480개소 41만4775명 중 중 13개소에서 무증상 확진자 36명이 발견됐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17일 오후 청주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열었다.

방역당국은 지난 1일부터 7일까지 1주간 전체 대상기관 종사자 1만2862개소 중 8480개소(65.93%), 전체 대상 인원 41만4775명 중 25만9640명(62.6%)가 검사를 받았다.

기관별로는 검사율 편차가 컸다. 양로시설 136.3%과 정신병원 88.4%, 요양병원 74.3%, 정신요양·재활시설 66.2%은 평균 이상 검사가 진행됐지만 요양시설은 51%,  중증장애인거주시설은 37.1%에 그쳤다.

그 결과 13개소에서 총 36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13개소 중 요양병원은 5개소, 정신병원 2개소, 요양시설은 6개소로 나타났다.
 

임 단장은 "대상인원 기준 검사율은 지난 2주간 82.8%보다 약 20% 정도 감소한 숫자"라며 "요양시설과 중증장애인거주시설은 평균에 못 미치는 검사량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임 단장은 "선제검사는 주기적 검사를 통해 무증상·경증 환자를 조기에 발견해 감염취약시설의 집단발병을 예방하고 노인, 장애인 등 고위험군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며 "관련 시설과 종사자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매우 중요한 만큼 적극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당국은 요양병원·시설, 정신병원 등 감염 취약시설에 대한 코로나19 주기적 선제검사를 의무화했다. 또 이달 4일부터는 선제검사를 한층 더 강화해 전국 주 1회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당국은 대상 시설도 당초 요양병원, 요양시설, 정신병원, 정신요양·재활시설에서 양로시설, 중증장애인거주시설까지 추가했다. 요양병원 종사자 PCR 선제검사 주기는 지난 11일부터 한시적으로 매주 2회로 확대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예술을 통해 배우고 연결되다...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은 오는 18일(화)부터 22일(토)까지 한 주간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5개 권역별 센터에서 ‘2025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예술, 또 다른 세상을 잇다’를 주제로 예술교육 전문가, 예술가, 시민이 한자리에 모여 예술을 통해 배우고 연결되는 다양한 경험을 나누는 자리다. 올해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은 권역별 문화예술교육 센터들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확산하고, 서울 전역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 행사 주간 동안에는 5개 권역별 센터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상설 체험 프로그램과 장르별 특성을 담은 총 37개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펼쳐질 예정이다. 특히 시설 개선 공사를 마치고 오는 18일(화)부터 운영을 재개하는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서초에서는 이번 행사 주간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그동안 5개 권역별 센터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던 21개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현우 교수의 ‘셰익스피어 이야기’ △서의철x박다울의 ‘거문고 이야기’ △김찬용 도슨트의 ‘한번쯤은 서양미술사: 입체주의부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스포트라이트 받는 주인공 뒤에 숨은 조력자를 기억하자
지난 14일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한국과 파라과이의 축구 평가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단연 오현규였다. 그는 후반 30분 승리에 쐐기를 박는 결정적인 골을 넣으며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그러나 그 골의 배후에는 수비수 두 명을 제치는 현란한 드리블 후 냉정히 경기의 흐름을 읽고 찬스를 만들어낸 또 다른 주인공이 있었다. 바로 이강인이다. 그는 전방으로 빠르게 침투한 오현규에게 정확한 타이밍의 패스를 연결해 골의 90%를 만들어 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경기가 끝난 후 조명은 오직 골을 넣은 선수에게만 쏟아졌고, 이강인의 이름은 짤막이 언급되었다. 지난 21일 한국프로야구 2025 플레이오프 한화 대 삼성의 3차전에서 한화가 5대4로 역전승을 거둔 뒤, 단연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구원투수로 나와 4이닝 무실점으로 역투한 문동주였다. 그런데 사실 한화가 역전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상대적으로 어린 문동주를 노련한 투수 리드로 이끌어간 최재훈 포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기가 끝난 후 역투한 문동주와 역전 투런 홈런을 친 노시환만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최재훈의 이름은 언급조차 없다. 이러한 장면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