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서울 전역 84㎡ 아파트 10억원 돌파 …도봉구를 끝으로 25개구 모두 넘어

URL복사

전세 세입자 "차라리 집 사자" 로 집값 밀어올려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서울 도봉구에서 전용면적 84㎡ 아파트가 처음으로 10억원 넘는 가격에 거래됐다. 도봉구의 가세로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10억 클럽에 가입하게 됐다.

 

2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도봉구 창동 주공19단지 전용면적 84.9㎡는 지난달 22일 10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도봉구의 전용면적 84㎡가 10억원 선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직전 최고가는 지난달 19일 거래된 동아청솔 전용 84.97㎡ 9억9900만원이었다.

 

작년에 중랑구(6월)와 노원구(6월), 강북구(7월) 등에서 전용 84㎡ 아파트가 차례로 10억원을 넘어선 데 이어 서울에서 가장 저렴했던 도봉구가 25개 자치구 중 마지막으로 10억원 클럽에 가입한 것이다.

 

새해 들어서도 서울 집값이 멈추지 않고 계속 오르자 더 늦기 전에 집을 마련하려는 수요가 늘어나면서 서울의 중저가 아파트 가격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9.2로 전주 107.9보다 1.3포인트(p) 상승했다.

 

또 전세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자 매매로 돌아서며 서울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외곽 지역으로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최근 서울 외곽 지역의 매매 거래량 증가속도가 빠르다. 작년 12월 25개 자치구별 매매 거래량(1월27일 기준)을 보면 금천구(119%, 116→255건), 강북구(47%, 107→158건) 등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특히 불안한 것은 전세 시장이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이번 주까지 82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상승폭도 최근 4주 연속 0.13%를 기록하는 등 상승폭이 줄어들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오는 3월 봄 이사철이 시작되면 전세난이 더 심화할 가능성이 높아 중저가 집값 상승세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부동산114 임병철 수석연구원은 "전세난에 따른 매매 갈아타기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3월 봄 이사철 전세 수요가 늘어나면 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더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