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강영환 칼럼

【강영환 칼럼】 5·60대는 지는 세대일까?

URL복사

[시사뉴스 강영환 칼럼니스트]  어느 날 한 선배가 뜬금없이 점을 보러 가고 싶다고 말한다. 딱 하나 물어보고 싶은 것이 있다고 한다. 도대체 본인이 몇 살까지 살 것 같은지 궁금하단다.

 

청년시절부터 사회는 60~65세 은퇴를 기정사실화했고 그렇기에 본인 또한 이 나잇대 되면 편히 쉬어야겠다고 마음먹었는데, 어느덧 그 시기가 코앞에 다가오니 아직도 기운은 넘쳐나는 상황에 도대체 어찌해야할지 모르겠다고 혼돈스럽다 말한다.

 

주변에서 말하는 100세 시대가 본인에게도 해당되는지 궁금하고, 만약 해당된다면 인생설계를 다시 해야겠다고 말한다. 60~65세부터 휴식기 돌입은 그 이후 살아야 할 2,30년 이상이 너무나 길고, 돈을 더 벌 구상을 하던지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지 않겠느냐 말한다.

 

선배랑 헤어지고 길을 걷다가 곰곰 생각한다. 나도 마찬가지다. 예전 같으면 자연스레 할아버지 소리도 들을 수 있는 나이겠지만 박사과정 논문을 준비하는 아직도 학생인 50대 중반이기에 선배의 이야기가 남 이야기로 들리진 않는다.

 

지금의 사회특징을 말하고 세대를 말할 때, 5·60대는 중심에서 벗어나 있는 느낌이다. 거시적으로 60대는 대략 70대와 묶어 산업화세대로, 50대는 40대 후반과 묶어 민주화세대로 불리어진다. 9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된 정보화의 물결로 40대와 그 이후세대는 대략 정보화세대로 묶인다. 그래서 정보화에서 벗어나 있는 50대 이상 세대의 모습을 보며 진중권 전 교수는 “산업화,민주화의 거대담론이 지고, 정보화가 헤게모니를 쥐었다”고 말한다.

 

정보화세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세분화된다. 지금의 40대, 즉 1970~1980년생들은 X세대로 불린다. 이들은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모두 경험한 세대로 서태지와 아이들로부터 촉발된 90년대 독창적 한국 문화 부흥의 주역이 된다.

 

그 뒤를 이어 2000년 밀레니엄을 청년기에 맞이한 1981~1996년생까지의 M세대가 형성된다. 이들은 대략 청년기엔 연예인들이 동경의 대상이 되고 점차 스티브 잡스의 기술에 빠지게 되고, PC를 거쳐 모바일 환경에 익숙해간 세대들이다.

 

그 다음은 1997년 이후 출생한 Z세대다. 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 환경에 노출된 디지털 네이티브다. 이들은 혼자만의 세상에 익숙하고 혼자 모바일로 무언가를 만드는 세대다.

 

최근엔 정보화 1기인 X세대를 배척한 채, 2기인 M세대와 3기인 Z세대를 함께 묶어 ‘MZ세대’라 말한다. MZ세대는 국내 인구의 30%를 넘게 구성하며, 향후 15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소비계층으로 꼽히기도 한다.

 

이렇게 정보화세대의 세분화가 진행되는 동안 5·60대는 산업화와 민주화라는 언론과 정치에 활용되는 추억의 세대명만 남았지 실생활에선 유명무실화된다. 경제·사회계에선 5·60대를 한편으로 부르는 베이비붐세대가 더 통용되고 어쩌면 X,M,Z처럼 영어를 따서 B세대라 불릴 수도 있겠다. 실제 60대는 베이비붐 1세대, 50대는 베이비붐 2세대라 불리기도 한다.

 

청년정치를 말하며 5·60대의 정치적 퇴장을 일각에선 주문하기도 한다. 최근 서울시의 개인파산·면책 신청 채무자 중 38.8%가 60대, 26.4%가 50대라는 서울시복지센터의 발표처럼 경제적 퇴장을 씁쓸하게 말하곤 한다.

 

그러나 5·60대는 우리나라 인구의 30%에 달하며 다른 세대에 비해 경제능력이 절대 허약하지 않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최근 50대 여성의 소비수준이 산업계에 핫한 뉴스이며, 40대여성과 함께 이들에겐 주식· 반려견·골프가 키워드라 한다.

 

담론형 세대명은 추억으로 남고, 아예 무명보다도 못할 수 있는 베이비붐세대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5·60대의 재해석이 필요하다. 5·60대는 100세 시대의 중간세대로 전 세대의 중심이다. 주역으로의 복귀를 모색해야 한다. 베이비붐이 아닌 그럴싸한 이름도 생각해봐야 한다.

 

5·60대는 방송과 학교에서 KS(Korean Industrial Standard)마크를 못이 박히게 듣고, 한국 표준 역군을 꿈꾸며 자라 실제 각자 영역에서 최선을 다한 세대다. 그래서 KS세대이면 어떨까? 최근 K-Pop에 이어 K-방역, 그 K의 본류를 먹고 자란 세대가 5·60대 아닐까? 더욱 당당해져야 한다.

 

[편집자 주 :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尹 대통령, 총선 불출마·낙천·낙선 국힘 의원 격려 오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4.10 총선 불출마·낙천·낙선한 국민의힘 의원들을 격려차 초청해 오찬을 함께 했다. 윤 대통령은 24일 22대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거나 낙선한 국민의힘 의원들을 초청해 비공개로 오찬을 함께하며 "우리는 민생과 나라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정치적 운명 공동체"라고 밝혔다. 김수경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윤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오찬을 함께 하며 당과 국민을 위해 헌신해온 의원들을 격려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오찬 모두발언을 통해 통해 "나라와 국민, 그리고 당을 위해 애쓰고 헌신한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우리는 민생과 이 나라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정치적 운명 공동체"라고 했다. 이어 "현장 최일선에서 온몸으로 민심을 느낀 의원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국정을 운영하는 것이 대통령으로서의 도리"라며 "국회와 민생 현장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아 온 여러분들의 지혜가 꼭 필요한 만큼, 여러분들의 고견을 많이 들려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참석 의원들의 선거 패인 분석, 제언이 이어졌는데, 쓴소리도 여과없이 나왔다. 윤 대통령은 말없이 참석자들의 발언을 경청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산림과학자의 집념과 끈기가 밝혀낸 아픈 역사의 민낯 <전나무 노거수는 일제의 신목이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우리 땅에 있는 전나무 노거수(老巨樹)들의 대부분이 일제에 의해 심어졌다고 주장하는 책이 출간됐다. 북랩은 국립산림과학원 출신의 산림과학자가 전국 곳곳에 있는 전나무 노거수들이 일제의 잔재임을 고찰한 ‘전나무 노거수는 일제의 신목이다’를 펴냈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환경은 전나무가 자생할 만한 생육조건과는 거리가 멀다. 1980년부터 약 40여 년간 산림과학을 연구하고 강의해온 저자는 우리 남부지방 곳곳의 사찰에 전나무 노거수들이 있는 것을 보고 호기심이 일었다. 이에 대한불교 조계종 24개 교구 본사와 조선 왕릉, 대관령 산신당, 이순신 장군의 사당인 통영 충렬사, 권율 장군의 묘소 및 각지의 공공시설을 답사하며 조사했다. 전나무가 가슴높이 직경 60~100cm 정도로 자라는 데는 80년에서 100년 이상이 걸린다. 저자가 답사한 각지의 전나무들 대다수의 크기가 이 가슴높이 직경에 해당했다. 즉, 이 전나무들이 사람에 의해 심어진 것이라면 1800년대 말에서 1900년대 중반까지 일제가 심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그중에서도 가슴높이 직경 60~69cm급의 나무가 월등히 많은 것으로 보아 일제강점기 중의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전나무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정한 리더는 용장 지장 아닌 소통 능력 갖춘 덕장이어야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오전 용산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여당인 국민의힘이 참패한 4·10 총선 결과에 대해 “취임 후 2년 동안 올바른 국정의 방향을 잡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음에도, 국민께서 체감하실 만큼의 변화를 만드는 데 모자랐다”며 열심히 했지만 결과가 미흡했다는 식으로 말했다. 총선 참패에 대한 사과나 유감 표명은 없었고, 192석을 차지한 야당을 향한 대화나 회담 제안 등이 없어 야당으로부터 대통령은 하나도 변한 게 없고 불통대통령이라는 이미지만 강화시켰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번 여당의 총선 참패는 한마디로 소통부재(疏通不在)와 용장 지장 스타일의 통치방식에서 비롯된 참사라고 평가할 수 있다. 돌이켜보면 윤석열정부는 출범 2개월만인 2022년 7월부터 각종 여론조사기관 조사결과 윤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가 40%이하였다. 대통령의 국정운영 긍정적 평가가 40%이하로 떨어진 시점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약 3개월, 박근혜 전 대통령이 1년 10개월, 문재인 전 대통령이 2년 5개월이었던데 비해 윤대통령은 2개월로 가장 짧았다. 윤정부 출범하자마자 특별히 이슈가 될 만한 대형사건들이 없는데도 역대 가장 빠른 민심 이탈의 이유는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