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8 (토)

  • 흐림동두천 9.8℃
  • 흐림강릉 12.2℃
  • 구름많음서울 12.6℃
  • 맑음대전 9.5℃
  • 박무대구 8.4℃
  • 구름조금울산 14.8℃
  • 구름많음광주 12.3℃
  • 구름조금부산 16.6℃
  • 구름많음고창 10.3℃
  • 맑음제주 16.8℃
  • 흐림강화 11.6℃
  • 맑음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5.9℃
  • 구름조금강진군 9.6℃
  • 구름많음경주시 6.7℃
  • 구름많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사회

[단독] 코로나19 기초지자체별 인구대비 확진자 비율 최초 분석-② 충청권

URL복사

충청 코로나 1만9,255명…인구대비 0.35% 기록하며 ‘방역선방’

 

[시사뉴스 김정기 기자] 코로나19는 2019년 11월 17일 중국 우한 지역에서 최초 감염 보고된 이후 국내에서는 지난해 1월 20일 처음 발생했다. 최근 68일 연속으로(9월 11일 0시 기준) 확진자가 4자리수를 기록하고 8일과 9일 연이틀 또다시 2,000명대를 기록하는 등 좀처럼 기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본사 취재진은 국내 언론사상 최초로 9월 3일 0시 기준으로 전국 250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누적 확진자수, 인구대비 확진자 비율 등을 분석하여 서울 수도권, 충청권, 호남제주권, 영남권, 강원권 등 권역별 확진자 현황을 6회에 걸쳐 시리즈로 보도한다. [편집자 주]

 

2020년 1월 20일 최초 감염자가 발생한 이후 2021년 3월 25일 누적 확진자 수가 100,000명을, 2021년 8월 1일에는 200,000명을 초과하였다. 


2020년 12월 12일 일일 확진자 수가 최초로 1,000명을 돌파한 이후 현재까지 총 80회 1,000명 이상을 기록했고, 일일 최다 확진자 수는 2021년 8월 10일의 2,223명이다. 


그리고 2021년 7월부터 일일 최다 확진자 수를 갱신한 날이 8번이나 나왔고 7월 6일부터 일일 확진자 수가 1,000명 이상인 경우가 12일 0시 기준으로 68일 연속으로 나오는 등 4차 대유행이 진행 중이다.


12일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코로나 발생 이후 누적 검사수는 1,373만5,743건, 누적 검사완료수가 1,281만4명이며 누적 확진율은 2.1%로 총 누적 확진자수는 27만4,415명(전일대비 1,433명 증가)이며 이 중 사망자는 0.86%인 2,360명으로 집계 됐다. 


전체 확진자 비율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세종 0.40%, 대전 2.3%, 충남 2.87% 충북 2.09% 등 충청권이 총 7.67%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충청권은 현재 거리두기 3단계가 시행 중이다. 단, 충남 논산시는 거리두기 4단계를 시행하고 있다. 

 

 

대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서구
인구 대비로는 중구-유성구-대덕구-동구-서구 순

 

대전광역시
3일 0시 기준으로 대전에서 확진자수가 가장 적은 구는 대덕구로 총인구 17만4,851명의 0.38%인 667명이며 그다음 ▲동구 829명(인구대비 0.37%) ▲중구 1,353명(인구대비 0.58%)▲유성구 1,374명(인구대비 0.39%) ▲서구 1,561명(인구대비 0.33%)순이었다. 


인구대비 확진자 비율을 살펴보면 총 인구 23만2,309명 중 1,353명이 확진된 중구가 인구대비 0.58% 확진으로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인구가 많은 서구는 47만4,504명 중 1561명을 기록 인구대비 0.33%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유동 인구 많은 천안 서북구 · 아산시 순으로 확진자 가장 많아
53명 확진자 기록한 계룡시 인구대비 0.13% … 군부대 ‘방역효과?’


충청남도
3일 0시 기준으로 충청남도에서 확진자가 가장 적게 발생한 지역은 계룡시로 53명(인구대비 0.13%)를 기록 중이다. 군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도시 특성상 방역 자체가 다른 지역과는 남달랐다는 곳으로 평가된다.


확진자수 기준으로 계룡시 제외 가장 적은 곳은 ▲청양군 92명(인구대비 0.30%) ▲서천군 115명(인구대비 0.23%) ▲예산군 120명(인구대비 0.16%) ▲부여군 159명(인구대비 0.25%) ▲태안군 164명(인구대비 0.26%) ▲금산군 173명(인구대비 0.34%) ▲홍성군 178명(인구대비 0.18%) ▲보령시 228명(인구대비 0.23%) ▲공주시 273명(인구대비 0.26%) ▲논산시 511명(인구대비 0.44%) ▲서산시 615명(인구대비 0.35%) ▲당진시 708명(인구대비 0.42%) ▲천안시 동남구 920명(인구대비 0.36%) ▲아산시 1,227명(인구대비 0.38%) ▲천안시 서북구 1,658명(인구대비 0.41%)로 각 지자체별 1,000명 미만 지자체가 14개에 달했다. 


가장 많은 확진자가 발생한 지역은 총인구 40만1,718명중 0.41%인 1,658명이 확진된 천안시서북구로 나타났으며 이어 ▲아산시 1,227명(인구대비 0.38%) ▲천안시 동남구 920명(인구대비 0.36%) 등 2개 지자체에서 각각 1,0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인구대비 확진자 비율을 보면 계룡시가 0.13%(43,279명)로 가장 낮았고 ▲예산군 0.16%(120명) ▲홍성군 0.18%(178명) ▲서천군 0.23%(115명) ▲보령시 0.23%(228명) ▲부여군  0.25%(159명) ▲공주시 0.26%(273명) ▲태안군 0.26%(164명) ▲청양군 0.30%(92명) ▲금산군 0.34%(173명) ▲서산시 0.35%(615명) ▲천안시 동남구 0.36% (920명) ▲아산시 0.38%(1,227명) ▲천안시 서북구 0.41%(1,658명) ▲당진시 0.42%(708명) ▲논산시 0.44%(511명) 등을 기록했다. 

 

 

충북 인구대비 0.33% 확진으로 전국 평균 밑돌아 … 옥천 · 보은 · 단양 100명 미만

 

충청북도
3일 0시 기준 충청북도 확진자는 ▲보은군 47명(인구대비 0.15%) ▲단양군 66명(인구대비 0.23%) ▲옥천군 69명(인구대비 0.14%)로 100명 미만의 확진자가 발생해 방역 모범 지자체로 평가 받는다. 반면 충주시 764명(인구대비 0.36%) ▲청주시 서원구 718명(인구대비 0.37%) ▲청주시 흥덕구 699명(인구대비 0.26%) ▲음성군 592명(인구대비 0.64%)는 500명 이상이 발생, 닭가공 공장 등 집단감염의 여파로 보인다.


인구대비 확진자 비율을 보면 충북 전역에서 12개 지자체가 0.5% 미만의 확진자 비율을 보였다.

 

▲옥천군 0.14%(69명) ▲보은군 0.15%(47명) ▲단양군 0.23%(66명) ▲청주시 청원구 0.23%(453명) ▲청주시 상당구 0.24%(472명) ▲청주시 흥덕구 0.26%(699명) ▲영동군 0.28%(129명) ▲제천시 0.35%(459명) ▲충주시 0.36%(764명) ▲청주시 서원구 0.37%(718명) ▲증평군 0.38%(139명) ▲괴산군 0.46%(170명) ▲진천군 0.57%(481명) ▲음성군 0.64%(592명)의 확진자 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세종특별시는 총인구수 36만5,309명 대비 1,014명이 확진 0.28%의 확진자 비율을 보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2025 서울건축박람회’ 개막...건축주·인테리어 수요자 참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건축·인테리어·전원주택 전문 전시회 ‘2025 서울건축박람회’가 6일부터 오는 9일까지 학여울역 세텍(SETEC)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된다. ‘서울경향하우징페어’는 올해부터 ‘서울건축박람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인테리어 수요자와 건축주 모두를 위한 전시로 새롭게 개편됐다. 특히 이번 박람회에는 국내 유수의 인테리어 브랜드와 관련 업체가 대거 참가해, 주거 및 상업공간 인테리어에 관심 있는 참관객들의 높은 기대에 열렸다. 서울건축박람회는 전원주택과 인테리어를 중심으로 한 실수요자 맞춤형 건축전시회로서 주거 공간을 직접 설계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전시회이다. 특히, 옥외전시장을 활용한 계절별 기획 전시를 선보이며, 실내외를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전시회로 한층 진화됐고, 단열, 난방, 에너지 절감 등 현장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이 소개됐다. 전시 품목으로는 내외장재/구조재/단열재, 난방/보일러/펌핑/환기설비재, 도장/방수재, 조경/공공시설재, 조명/전기설비재, 체류형쉼터/이동식주택, 주택설계시공, 창호/하드웨어, 건축공구/관련기기, 홈네트워크시스템 등 건축과 인테리어 전반을

정치

더보기
북한, 미국 제재에 상응 조치 예고 하루 만에 탄도미사일 발사..일본 “EEZ 밖에 낙하 추정”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북한이 미국의 제재 조치에 대해 상응 조치를 예고한 지 하루 만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7일 “오늘 낮 12시 35분경 북한 평안북도 대관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한 발을 포착했다”며 “미사일은 약 700km 비행했으며 정확한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분석 중이다”라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한미 정보당국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 동향을 사전에 포착해 감시해 왔으며 발사 즉시 탐지 후 추적했다. 미국·일본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며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하에 북한의 다양한 동향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방위성도 이날 보도자료를 발표해 “북한은 오늘 12시 34분경 북한 서해안에서 1발의 탄도미사일을 동방향을 향해 발사했다”며 “자세한 내용은 현재 한미일에서 긴밀하게 연계해 분석 중이지만 발사된 탄도미사일은 최고 고도 약 50km 정도로 약 450km를 넘어 비상해 낙하한 곳은 한반도 동쪽의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Exclusive Economic Zo


사회

더보기
김민전 의원, 학교 먹는 물 수질 검사·결과 공개 의무화 법률안 대표발의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학교 먹는 물 수질 검사와 그 결과 공개를 의무화하는 법률안이 발의됐다.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비례대표, 교육위원회, 초선, 사진)은 7일 ‘학교보건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 학교보건법 제4조(학교의 환경위생 및 식품위생)제1항은 “학교의 장은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학교시설[교사대지(校舍垈地)ㆍ체육장, 교사ㆍ체육관ㆍ기숙사 및 급식시설, 교사대지 또는 체육장 안에 설치되는 강당 등을 말한다. 이하 같다]에서의 환기ㆍ채광ㆍ조명ㆍ온도ㆍ습도의 조절과 유해중금속 등 유해물질의 예방 및 관리, 상하수도ㆍ화장실의 설치 및 관리, 오염공기ㆍ석면ㆍ폐기물ㆍ소음ㆍ휘발성유기화합물ㆍ세균ㆍ먼지 등의 예방 및 처리 등 환경위생과 식기ㆍ식품ㆍ먹는 물의 관리 등 식품위생을 적절히 유지ㆍ관리하여야 한다”고, 제2항은 “학교의 장은 제1항에 따라 학교시설에서의 환경위생 및 식품위생을 적절히 유지ㆍ관리하기 위하여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연 2회 이상 점검하고, 그 결과를 기록ㆍ보존 및 보고하여야 한다. 이 경우 환경위생 점검을 위한 공기 질 점검 시 학교운영위원회 위원 또는 학부모가 참관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이를 허용하여야 한다”고 규정하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