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은행 메시지 카톡 채널로 일원화 검토
카톡 채널, 발신처 식별 용이해 스팸 가능성↓
이동통신사들 "빅테크 밀어주기" 강력 반발
카톡 일원화 없던 일로…정부, 추가 대책 검토 중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정부가 은행 광고 메시지를 카카오톡 알림서비스로 일원화하는 방안을 추진하다 철회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빅테크에 메신저 사업을 몰아준다며 이동통신사들이 강하게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동통신사들은 휴대폰 메신저 사업의 주도권을 카카오톡에 대부분 빼앗긴 상태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상반기부터 은행 사칭 불법 문자 대응책을 강구해왔다. 코로나19 환경으로 비대면 시대가 도래하자, 스팸 메시지도 갈수록 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휴대전화 문자 스팸은 ▲2018년 1192만9745건 ▲2019년 1287만4251건 ▲2020년 1255만3149건▲올해 6월 707만3857건 등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7월 정부는 카카오톡 알림서비스로 은행 광고 메시지를 일원화하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검토했다. 카카오 알림톡은 발신처의 메시지가 공식 채널을 통해서만 오기 때문에 정보 제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A회사의 공식 계정을 카카오톡 친구로 추가하면, A회사의 광고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서만 전달받을 수 있다.
반면 일반적인 휴대폰 문자메시지는 발신자 번호로만 표기돼 있어 정확하게 어디에서 보낸 것인지 알기 어렵다. 알 수 없는 번호로 보이스·메신저 피싱 사기가 발생하는 이유도 이러한 취약점 때문이다. 현재 은행들의 광고·알림 메시지는 대부분 이동통신사 문자메시지로 오고 있다.
한 정부 관계자는 "정부가 기술적으로 가장 안전한 문자 메시지 수단을 카카오톡으로 꼽았다"며 "카카오톡이 일반 문자 메시지보다 발신처 식별이 용이하다고 봤다"고 말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러한 논의는 없던 일이 됐다. 빅테크에 특혜를 준다는 비판이 제기돼서다. 특히 이동통신사들의 반발이 컸다. 10년 전 카카오톡 출현으로 휴대폰 메시지 주도권을 대부분 빼앗긴 상황에서 은행 광고 메시지마저 카카오톡으로 넘길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 기업과 공공기관의 정보 전달도 갈수록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무엇보다 정부 입장에서는 카카오·네이버 등 빅테크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는 상황에서 카카오톡에 은행 메시지를 몰아주는 것도 큰 부담이다. 결국 정부는 지난달 28일 카카오톡 일원화하는 방안을 제외한 채 '불법 스팸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은행 메시지를 카카오톡으로 일원화 하는 방안은 비판이 많아 실행하지 않기로 했다"며 "불법 스팸을 줄일 수 있는 다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