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달이 궤도를 벗어나 지구로 떨어지는 초유의 재난 속 인류의 마지막 생존기를 다룬 롤랜드 에머리히 감독의 재난물이다. NASA 연구원 조 파울러 역에 할리 베리, 전직 우주비행사 브라이언 하퍼 역에 패트릭 윌슨, 숨겨진 우주 덕후 K.C. 하우스맨 역에 존 브래들리가 맡았다.
인류 멸망 D-30일
궤도를 이탈한 달이 지구를 향해 떨어지기 시작하자 지구의 중력과 모든 물리적인 법칙이 붕괴된다. 엄청난 폭설이 도심 위를 뒤덮는가 하면 거대한 해일로 인해 도시가 침수된다. 높은 빌딩이 가득한 도심 위로 떨어지는 거대한 달의 파편까지 이상기후가 전세계를 뒤덮는 사상 초유의 재난으로 인류 멸망은 카운트다운을 앞두게 된다. 해일과 지진, 화산폭발, 쓰나미 등 상상조차 불가능했던 재난이 휘몰아치자 전 세계는 완전히 패닉 상태가 된다.
위기의 순간이 닥치자 지구를 구하기 위해 평범한 영웅들이 모인다. 대학에서 청소부로 일하지만 우주에 대한 지식만은 웬만한 교수보다 뛰어난 은둔 고수 K.C. 하우스맨은 대학교에서 교수 행세를 하다 궤도를 벗어나 지구로 떨어지고 있는 달의 움직임을 가장 먼저 발견한다. 누구도 믿지 않지만 사람들을 설득해 인류의 멸망을 막기 위해 막무가내로 NASA 관계자들을 찾던 중 브라이언과 파울러를 만난다. 최고 실력의 화려한 경력을 묻어둔 채 천문대 가이드로 일하고 있는 전직 우주비행사 브라이언은 궤도를 이탈한 달의 소식을 접하지만 과거의 기억 때문에 선뜻 나서지 않는다. 10년 전 우주 비행 중 충격적인 경험으로 더 이상 우주 비행을 하지 않는 NASA의 연구원 파울러는 재난 속에서 조직이 무언가를 은폐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달과 충돌까지 남은 시간은 단 30일. 평범한 영웅들은 달을 막을 방법을 찾기 위해 마지막 우주선에 오른다.
음모론적 상상력
<2012>, <투모로우>, <미드웨이> 등 대작을 연출해온 로랜드 에머리히 감독의 신작이다. 마야 문명에서부터 회자돼 온 인류 멸망이라는 소재를 지구에 찾아온 대재난으로 풀어낸 <2012>와 급격한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로 뒤덮인 세상을 다룬 <투모로우>까지 전작들을 통해 멸망과 재난에 대한 인류의 원초적 공포를 다뤄온 감독 특유의 재난 비주얼로 완성시킨 블록버스터다.
미합중국 항공우주국 NASA가 제작 초기 단계부터 합류했다. NASA에서 제공한 초고화질 달의 이미지와 데이터, 나사의 로고는 영화 곳곳에 등장한다. 실제 우주비행사들이 사용한 우주선 장비들도 사용됐다. 은퇴한 베테랑 우주비행사 비야르니 트릭바숀의 자문을 통해 우주선 작동법, 무중력 상태에서의 움직임과 소통 방식 등에 대한 노하우를 얻었고, 배우들이 무중력 상태에서 스스로 방향을 바꾸고 회전할 수 있도록 만든 새로운 모션 시스템은 그 노하우를 실제 움직임으로 구현했다.
소재는 재난에 대한 상상력에서 출발했다. 감독은 베스트셀러 작가 크리스토퍼 나이트가 쓴 달의 비밀에 대한 책 <누가 달을 만들었는가>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달이 자연적으로 생긴 것이 아니라 인간이 지구에서 살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것이라는 주장을 과학적 분석과 함께 담은 이 책의 일견 황당해보이는 아이디어가 재난물 전문 감독을 자극한 것이다. 달은 영화에서 인류의 도전적 목표로 빈번히 등장해온 반면, 각종 음모론의 단골 소재기도 하다. 감독은 실제로 1969년 아폴로 11호가 달에 첫 발을 디딘 순간의 기록에 대해 꾸준하게 제기돼 온 ‘전파 침묵의 2분’도 영감을 얻게 했다고 말했다. 많은 음모론자들은 달 착륙이 실제로 일어났는지, 아폴로 11호가 전파를 차단한 2분이 부분적으로 진짜였는지 의문을 제기해왔다. 비주류적 상상력을 보편적 블록버스터로 탄생시키는 에머리히 감독 특유의 B급적 감성이 느껴지는 대목이기도 하다. <문폴>은 전작과 별다를 것 없는 구멍난 서사와 진부한 캐릭터를 메우는 파괴적 볼거리들의 나열로 만들어졌지만 변한 시대의 관객 눈높이를 만족시키기는 이전에 비해 쉽지 않아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