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

北, 우황청심원 등 활용한 코로나19 치료법 안내

URL복사

北 노동신문, 유열자 치료 방법 안내 기사
경증 황자 치료에 한방 치료 방법 도입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14일 북한은 주민들에게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복약법을 안내했다.

북한 노동신문은 이날 '유열자들에 대한 치료를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기사에서 "충분한 안정을 보장하고 물을 많이 마시며 소화되기 쉽고 영양가가 높은 식사를 해야 한다"며 "입안 위생을 잘 지키고 소금물로 자주 함수(입 헹구기)를 해야 하며 산유나 요구르트를 비롯한 비타민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고 소개했다.

노동신문은 "점액성 가래가 나타나고 백혈구 수 증가와 같은 2차 감염 소견이 나타나면 페니실린 200만 단위(어린이인 경우 몸무게 1kg당 5만~10만 단위)를 하루 3회에 나눠 근육 주사하거나 아목시실린 또는 에리트로마이신을 한번에 0.5g씩 1일 3회 먹는다"고 조언했다.

신문은 또 "처음부터 고열이 나거나 뼈마디 아픔, 머리 아픔, 근육 아픔과 같은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볼타렌을 한 번에 500㎎씩 또는 이부프로펜을 한 번에 400㎎씩 하루 2~3회 먹인다. 볼타렌 좌약을 한 번에 50~100㎎씩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신문은 "콧물 흘리기나 재채기가 있는 경우에는 디메드롤(디펜히드라민)을 한 번에 40㎎씩 하루 1~2회 또는 클로르페니라민을 한 번에 4㎎씩 하루 1~2회 먹이며 인후두 아픔이 심한 경우에는 3% 소금물 또는 2% 중조수로 함수한다"고 소개했다.

경환자 치료에는 고려의학(한의학) 치료 방법을 적극 도입하라고 노동신문은 권했다.

 

신문은 "패독산을 한 번에 4g씩 하루 세 번 식후 1~2시간 사이에 뜨거운 물에 타서 5일간 마신다"며 "안궁우황환을 한 번에 1~2알씩 더운물에 타서 3~5일간 먹거나 삼향우황청심환을 한 번에 한 알씩 하루 2~3번 더운물에 타서 먹는다"고 안내했다.

또 "민간요법으로는 금은화를 한번에 3~4g씩 또는 버드나무 잎을 한 번에 4~5g씩 더운물에 우려서 하루에 3번 먹는다"고 설명했다.

신문은 중환자 치료에 관해서는 "중환자들은 의료일꾼들의 지시하에 산소 요법, 순환 부전에 대한 대책, 스테로이드제 치료 등 전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