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9.27 (수)

  • 흐림동두천 20.6℃
  • 흐림강릉 20.7℃
  • 서울 21.5℃
  • 흐림대전 21.3℃
  • 구름많음대구 25.5℃
  • 구름조금울산 26.5℃
  • 흐림광주 23.8℃
  • 구름조금부산 27.1℃
  • 흐림고창 23.3℃
  • 맑음제주 27.8℃
  • 흐림강화 21.6℃
  • 흐림보은 21.0℃
  • 흐림금산 23.0℃
  • 구름많음강진군 ℃
  • 구름많음경주시 27.2℃
  • 구름많음거제 24.8℃
기상청 제공

최재순 칼럼

【최재순 칼럼】 잭슨홀 연설의 파장 심각하지만 시장 이기는 중앙은행 없다

URL복사

파월 의장 연설의 파장

 

잭슨홀은 미국 와이오밍주의 티턴 국립공원에 있는 계곡이다. 티턴산과 빙하호수를 품고 있다. 지형이 움푹 파여 구멍같은 느낌을 준다해서 잭슨홀(hall이 아닌 hole이다)로 불린다. 휴양지로도 유명한 잭슨홀에서 1982년부터 Fed는 매년 8월 정례회의를 개최하여 왔으며, 그동안 비전통적 통화정책인 양적 완화(QE) 계획을 발표하는 등 주요 통화정책을 발표하며 그 유명세를 더함은 물론 글로벌 통화정책의 산실 역할을 톡톡히 해오고 있다. 특히 올해는 글로벌 거시경제 및 통화정책의 여건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열리고 있어 글로벌 통화정책 전문가 및 경제 전문가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며 주시하고 있다. 작년에는 테이퍼링( 양적완화 밸브 잠그기)으로 시중 유동성 공급 제한을 시사한 미 연준 파월 의장. 올해에는 “40년만에 최고치롤 근접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강력한 연준의 도구를 사용할 것(use our tools forecefully)”이라는 강한 매파성 연설을 했다. 지난 7월의 0.75% 금리인상(자이언트스텝)을 9월에도 계속하겠다고 천명한 것이다. 심지어 파월 의장은 고통의 감내까지 경고(warn of some pain)하였다. 그 결과 글로벌 금융시장 전체가 출렁거렸고 블랙 먼데이로 불리며 파월의장 폭탄 발언의 파장을 실감나게 하였다.

 

 

한국 중국 일본 미연준 금리인상 보는 시각과 대응 달라

 

EU에서 탈퇴하여 나홀로 길을 가고 있는 영국의 경우 지난 5월 이후 천연가스 가격의 급등, 국내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2022년 4/4분기부터 경기 침체기에 접어들 것으로 영란은행(BOE)은 전망하였으며, 인플레이션 상승압력을 낮추기 위해 정책금리의 추가 인상이 전망되고 있다.

 

유로지역의 경우 소비자물가는 이례적으로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7월의 소비자 물가상승율(전년동기 대비 8.9%)이 9%에 근접하면서 통계 작성이래 최고수준으로 확대되어 추가 금리인상을 검토 중이다.

 

한국, 일본, 중국 이 동북아 3국의 미연준 금리인상을 보는 관점이 각각 다른 것이 이채롭다.

 

한국은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중심이 되어 긴급 금융시장 점검을 하는 등 바삐 움직였다. 다행히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4회 연속 인상하는 등 신흥국 중 가장 선제적이고 안정적 대응을 보이고 있다.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3국 중 가장 발 빠르게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상하여 왔으나, 중국은 우크라이나 발 인플레이션보다 자국의 내수 경기에 방점을 두며 금리를 인하하고 있고, 30년 가까이 경기 침체에 시달려 온 일본은 기존의 저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인민은행이 2022년 8월 22일(월) 대출 우대 금리(LPR, Loan Prime Rate)를 5년물 4.3%, 1년물 3.65%로 각각 0.15%p 0.05%p 인하했다. 중국의 이번 LPR 인하는 경기부양 과정에서 부동산시장 수요진작과 중소기업의 금융비용 경감 등을 위해 취해진 조치이다.

 

만성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일본은 "잭슨홀 연설이후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가 27일(현지시간)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연준의 솔직한 속내는 시장 눈치 보기

 

작금의 인플레이션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유와 천연가스 가격인상이 보다 직접적 원인이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부터 2019 COVID19에 이르기 까지 천문학적 규모의 유동성이 풀려 있는 원인도 있다.

 

지난 20년간 미연준은 세계 경제가 일본과 같은 장기 불황의 늪에 빠질까봐 금리를 제로 금리에 붙잡아 놓고 중앙은행이 직접 시장에서 국채를 사들이며 시중에 유동성을 추가로 공급해 왔다. 즉, 경기침체가 우려되면 미연준은 시장에 신속히 유동성을 공급하여 예방조치를 취해 왔다.

 

지금은 40년 만에 찾아 온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인상한다고 올해 잭슨홀에서 협박에 가까운 발언을 쏟아 냈지만 경기침체(resession)의 징후가 나타나도 미연준이 지금과 같은 매파적 입장(금리인상 강행) 보일지는 미지수이다.

 

시장 이기는 중앙은행은 없기 때문이다.

 

 

 

 

 

 

 

 

 

 

 

 

 

 

 

 

최재순(자산리스크관리연구소 대표, 보험계리사 , 금융 IT 컨설턴트)

 

** 편집자 주 :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버르토크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국립심포니의 매력 재발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예술감독 다비트 라일란트, 대표이사 최정숙)는 ‘버르토크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을 10월 17일(화)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 올린다. ‘헌정’이란 주제 아래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이하 국립심포니)의 다채로운 면모를 확인하는 무대다. 스타 오보이스트 알브레히트 마이어(1965~)와의 협연은 국립심포니와 10년 만의 만남으로 이목을 끈다. 프로그래밍에 있어 예술감독 다비트 라일란트는 작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삶의 크고 작은 비극과 희생을 주목했다. 그는 이번 공연의 시작과 끝을 새뮤얼 바버(1910~1981)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와 벨러 버르토크(1881~1945)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으로 연결했다. 두 곡은 제2차 세계대전이란 비극을 거쳐 작곡됐다. 바버는 ‘절망’, 버르토크는 ‘희망’이란 서로 다른 음악적 메시지를 전하며 비극과 희생에 대한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선사한다. 바버의 ‘현을 위한 아다지오’는 역사적으로 케네디 대통령, 아인슈타인 등의 장례식뿐만 아니라 미국의 9.11 테러 희생자들의 추모곡으로 널리 연주되며 국민적 슬픔과 함께해 왔다. 장엄한 선율 미가 백미인 작품으로 국립심포니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5개월만에 또 다시 등장한 ‘엄석대’ 논란
지난 3월 국민의힘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준석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이문열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주인공인 독재자 엄석대로 빗댄데 이어 5개월만에 또 다시 국민의힘 의원들과 내각 일부장관들이 대통령을 엄석대로 만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김병준 한국경제인협회 상임고문은 지난달 28일 ‘2023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 특강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정부부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즉 ‘윤심(尹心)’만 따라가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 주니까 ‘대통령이 엄석대다, 아니다’라는 말이 나온다”며 “대통령의 철학이나 국정운영 기조를 제대로 알고 이심전심으로 당과 용산이 혼연일체가 되고 일심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강연의 요지는 윤 대통령은 엄석대를 쫓아내며 학급에 자유를 되찾게 한 김 선생님에 가까운데 일부 여당과 정부부처 장관들이 ‘윤심’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거나 맹목적으로 따르다보니 대통령이 엄석대 소리를 듣게 된다는 것이다. 김 상임고문의 지적은 요즘 일어나고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문제나 정율성 역사공원 논란, 잼버리대회 전후 여성가족부장관의 부적절한 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