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9.7℃
  • 구름많음강릉 12.4℃
  • 박무서울 11.3℃
  • 박무대전 11.8℃
  • 구름조금대구 10.4℃
  • 구름많음울산 12.4℃
  • 박무광주 12.3℃
  • 구름많음부산 14.2℃
  • 맑음고창 10.7℃
  • 구름많음제주 15.6℃
  • 맑음강화 7.3℃
  • 맑음보은 6.0℃
  • 맑음금산 10.3℃
  • 구름조금강진군 11.0℃
  • 구름많음경주시 8.3℃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포항시 힌남노 피해복구에 총력

URL복사

 

[시사뉴스 김대우 기자] 경북 포항시는 산업현장 태풍 피해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인한 기록적인 폭우로 포항제철소와 현대제철, 철강산업단지를 비롯해 대송면, 오천읍 등에  입지한 기업체가 막대한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번 태풍으로 인해 철강공단과 개별 기업체가 다수 위치한 오천읍과 대송면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오천읍 509.5㎜, 대송면 453.0㎜ 등 기록적인 비가 내렸다.

이 같은 집중 호우로 인해 철강공단 내 일부 지역 야산이 지반 약화로 산사태가 발생하면서 토사가 공장에 유입되는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생산설비, 제품, 원자재 등이 손상돼 공장조업이 중단되면서 큰 피해가 발생했다.

포항제철소의 경우 변전소 침수에 따른 제철소 전기 공급이 중단되면서 고로 등의 설비 휴풍, 쇳물 공급 중단에 따른 소재공급 불가로 제강공정이 중단됐다.

제품 생산을 위한 핵심설비 소손과 지하설비 침수에 따른 압연공장 조업 정지, 제철소 내 직원차량 600여 대 침수 등의 피해도 발생했다.

현대제철 포항공장은 형강소재와 철근소재, 형강공장, 철근, 특수강 공장, 변전실 등 침수로 인해 64개소가 침수되면서 126억 원 가량의 피해가 발생했다.

포항철강산업단지는 침수 78개사, 법면붕괴와 침수 13개사 등 104개사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대송면 제내리 소재 개별공장 침수피해 85개사와 영일만산업단지 강풍으로 인한 공장 건물과 시설물 파손 15개사도 확인됐다.

시는 현재 접수 중인 사유재산 피해조사가 완료되면 공장 피해규모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는 태풍피해 최소화와 신속한 조업 정상화를 위해 태풍의 영향이 잦아든 지난 6일 오후부터 철강공단과 영일만산단, 블루밸리, 대송면 일대 등을 찾아가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확인하고 긴급 조치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 즉각 응급조치했다.

 

철강공단 도로 침수와 토사 유입에 따른 기반시설 응급복구를 위해 굴삭기와 덤프트럭 등 장비를 투입해 철강공단 입주기업체의 정상 조업을 위한 지원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기업체별 태풍 피해상황과 복구 지원 등을 파악하기 위한 현황조사도 지난 6일부터 시작해 경북도와 소방청, 해병대, 인근 지자체 등으로부터 대형 방사포와 대형펌프, 살수차, 소방차 등 1040여 대를 지원 받아 피해공장에 투입하고 있다.

철강산단 내 82개사에 대한 응급복구 지원 요청사항을 조사하고 지원이 필요한 20여개 사에 장비 30여 대와 인력 120여 명을 지원해 토사 정비와 노면 청소 등의 작업도 하고 있다. 시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조사와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지난 11일 철강관리공단 내에 민관(포항시1, 경북도1, 포스코1) 합동으로 ‘기업피해합동상황실’과 투자기업지원과 내 ‘기업피해신고센터’를 설치해 입주업체 피해에도 신속 대응하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 8일 포항을 방문한 이창양 산업부 장관에 태풍피해를 입은 포스코, 현대제철, 포항철강산업단지를 포함한 지역 기업의 정상화를 위해 ‘산업 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을 건의한 바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조속한 일상으로의 회복과 관내 산업단지의 조업 정상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Pohang City, Gyeongsangbuk-do Province, announced on the 12th that it is making all-out efforts to recover from typhoon damage at industrial sites.

 

The record heavy rain caused by the 11th typhoon "Hinnamno" is estimated to have caused enormous damage to companies located in Pohang Steel Mill, Hyundai Steel, Steel Industrial Complex, Daesong-myeon and Ocheon-eup.

 

Due to the typhoon, Ocheon-eup and Daesong-myeon, where many steel corporations and individual companies are located, received record rain, including 509.5mm in Ocheon-eup and 453.0mm in Daesong-myeon, from the 5th to the 6th.

 

The torrential rain caused landslides in some hills in the steel industry to weaken the ground, causing soil to flow into the factory.

 

As a result, production facilities, products, and raw materials were damaged, causing great damage as factory operations were suspended.

 

In the case of Pohang Steel Mill, the steelmaking process was suspended due to the suspension of electricity supply to the steel mill due to the flooding of the substation, and the suspension of the supply of iron and other facilities.

 

Damage was also caused by the loss of key facilities for product production, the suspension of rolling plant operations due to flooding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the flooding of 600 employee vehicles in the steel mill.

Hyundai Steel's Pohang plant suffered about 12.6 billion won in damage as 64 places were flooded due to flooding such as steel materials, rebar materials, steel plants, rebars, special steel plants, and substation rooms.

 

The Pohang Iron and Steel Industrial Complex suffered damage from 104 companies, including 78 flooded companies and 13 flooded companies.

 

85 individual factories in Jenae-ri, Daesong-myeon, and 15 damaged factory buildings and facilities due to strong winds at Yeongil Bay Industrial Complex were also confirmed.

 

The city predicts that the amount of damage to the factory will increase further once the investigation into damage to private property is completed.  

 

In order to minimize typhoon damage and quickly normalize operations, the city visited the steel industrial complex, Yeongilman Industrial Complex, Blue Valley, and Daesong-myeon from the afternoon of the 6th to check the damage caused by the typhoon and immediately take emergency measures.

 

Equipment such as excavators and dump trucks is also being deployed to support the normal operation of companies operating in the steel industrial complex for emergency recovery of infrastructure caused by flooding roads and soil inflow.

 

The survey began on the 6th to find out about typhoon damage and recovery support by companies, and is being put into the affected factories with 1,040 large radiation guns, large pumps, sprinklers, and fire trucks from Gyeongbuk, the National Fire Agency, the Marine Corps, and nearby local governments.

 

It is also investigating requests for emergency recovery support for 82 companies in the steel industry and providing 30 equipment and 120 personnel to 20 companies in need of support to maintain soil and clean roads. The city plans to continue to investigate and support in the future. 

 

On the 11th, the city has set up a joint "corporate damage situation room" and a "corporate damage report center" in the Investment and Enterprise Support Division in cooperation wi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Pohang-si 1, Gyeongbuk-do 1, POSCO 1) to respond quickly to damage to tenants.

 

Earlier, the city proposed to Industry Minister Lee Chang-yang, who visited Pohang on the 8th, to designate an "industrial crisis preemptive response area" to normalize local companies including POSCO, Hyundai Steel and Pohang Steel Industrial Complex.     

 

Pohang Mayor Lee Kang-deok said, "We will make utmost efforts to recover to daily life as soon as possible and normalize the oper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in the jurisdiction."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더불어민주당 “내란전담재판부 설치와 내란 사범 사면 제한 추진”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내란전담재판부 설치와 내란으로 형이 확정된 사람의 사면을 제한하는 것을 추진한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24일 국회에서 개최된 최고위원회의에서 “내란전담재판부 설치를 포함한 사법개혁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며 “내란전담재판부 당연히 설치한다. 국민의 명령이다. 여기에 대해 더 이상 설왕설래하지 않기 바란다. 당은 내란전담재판부 설치 필요성이 제기될 때부터 치밀하게 준비해 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님께서 순방을 마치고 귀국하시면 차질 없이 처리하도록 하겠다”며 “이에 더해서 내란 사범이 시간이 조금 지나면 사면돼 거리를 활보하지 못하도록 내란 사범에 대한 사면권을 제한하는 법안도 적극 관철하도록 하겠다. 내란 사범을 사면하려면 국회 동의를 받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가 연이어 기각되고 지난 7월 19일 구속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기한이 오는 2026년 1월 18일까지라 내년 1월에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석방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것에 대한 대응으로 보인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92조(구속기간과 갱신)제1항은 “구속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올해 수능 난이도 상승…1등급컷 일제히 하락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수학 영역에서 1등급을 받는 인문계열 수험생 비율이 증가하여 자연 계열 수험생은 감소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수학 1등급 가운데 미적분·기하 비중은 감소하고 확률과 통계는 증가한 것이다. 더군다나, 대학 입학 논술전형 시험 응시율도 전년 대비 저조하게 나오자 올해 수능이 난이도 높게 출제돼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수시·사탐 고득점자 증가로 문과 합격선 ↑ 2026학년도 수능이 전년도보다 다소 어렵게 출제되었다는 평가가 나온 가운데 정시 합격선이 서울대 경영대학은 284점, 서울대 의예과는 294점으로 형성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수시 전형에서 문과 수험생이 증가하고 사회탐구 고득점자가 늘어난 점이 문과 상위권·중위권의 합격선을 끌어올려, 올해는 자연계보다 문과 경쟁이 더 치열해질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국어·수학에서 고난도 문항이 배치되고, 독해 난이도가 높아진 영어는 영어 1등급 비율이 역대 가장 낮은 3% 수준까지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제시됐다. 지난 16일 종로학원이 2026학년도 수능 수학 과목의 1등급 비

문화

더보기
판소리로 읽는 한국 근대소설 대표 작가 현진건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남산국악당의 상주단체 ‘판소리아지트 놀애박스’의 신작 ‘판소리 쑛스토리 III : 현진건 편’ 공연이 오는 12월 19일부터 20일까지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에서 펼쳐진다. 이 작품은 판소리아지트 놀애박스가 선보여온 단편시리즈의 세 번째 무대다. 앞선 두 번의 시리즈가 프랑스의 대문호 모파상의 단편을 1인극 판소리로 선보였다면, 이번 신작에서는 한국인이 사랑하는 소설가이자 한국 근대소설의 지평을 연 현진건의 작품을 판소리 언어로 풀어낸다. 소리꾼 박인혜가 작창·극본·연출을 맡아 최인환 음악감독과 함께 풍부한 이야기와 섬세한 음악으로 관객을 현진건의 작품 세계로 이끌 예정이다. 공연에서는 현진건의 대표작 △운수 좋은 날 △그립은 흘긴 눈 △정조와 약가 3편을 1인극과 다인극 형식으로 만나볼 수 있다. 박인혜, 이예린, 황지영, 이해원 등 네 명의 소리꾼이 홀로 혹은 함께 소설 속 각 인물의 삶과 비극, 욕망, 사회적 균열을 판소리로 읽어낸다. 현진건의 소설 속 인물들은 때론 비극적이면서도 한심하고, 때론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근대적 개인의 초상을 보여준다. ‘판소리 쑛스토리 III : 현진건 편’은 그들의 얼굴 속에서 ‘오늘을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또 만지작…전국을 부동산 투기장으로 만들 건가
또 다시 ‘규제 만능주의’의 유령이 나타나려 하고 있다. 지난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규제 지역에서 제외되었던 경기도 구리, 화성(동탄), 김포와 세종 등지에서 주택 가격이 급등하자, 정부는 이제 이들 지역을 다시 규제 지역으로 묶을 태세이다. 이는 과거 역대 정부 때 수 차례의 부동산 대책이 낳았던 ‘풍선효과’의 명백한 재현이며, 정부가 정책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땜질식 처방을 반복하겠다는 선언과 다름없다. 규제의 굴레, 풍선효과의 무한 반복 부동산 시장의 불패 신화는 오히려 정부의 규제가 만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 곳을 묶으면, 규제를 피해 간 옆 동네가 달아오르는 ‘풍선효과’는 이제 부동산 정책의 부작용을 설명하는 고전적인 공식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10.15 부동산대책에서 정부가 서울과 수도권 일부를 규제 지역으로 묶자, 바로 그 옆의 경기도 구리, 화성, 김포가 급등했다. 이들 지역은 서울 접근성이 뛰어나거나, 비교적 규제가 덜한 틈을 타 투기적 수요는 물론 실수요까지 몰리면서 시장 과열을 주도했다. 이들 지역의 아파트 값이 급등세를 보이자 정부는 불이 옮겨붙은 이 지역들마저 다시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만약 이들 지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