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이 사장은 24일 오전 11시께 분향소를 방문해 헌화 후 사과문을 발표했다. 김사장은 스토킹 보복살인 사건이 발생한 신당역의 분향소를 방문해 조문하고 "고인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더 안전한 지하철을 만들겠다"며 사과했다.
김 사장은 "서울교통공사 일터에서 불의의 사건으로 유명을 달리하신 고인의 명복을 빈다"며 " "고인의 희생이 헛되지 않게 직원들이 더욱 안전한 근무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현장의 사각지대를 촘촘하게 챙기고, 잘못된 관행과 시스템을 찾아 고치겠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사건 발생 후 열흘이 지나서야 사과문을 발표한 것에 대해 "일부러 늦은 건 아니다"며 "유족께 개별적으로 말씀을 나눴지만, 현장 대책 등을 나누느라 공식적인 일정이 늦어졌다"고 말했다.
한 시민단체가 지난 21일 김 사장을 직무유기 및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로 서울경찰청에 고발한 것과 관련해 김 사장은 "신중히 조사에 임하겠다. 저희 시스템이 이런 상황에 대처하지 못한 부분은 빠르게 고쳐나가겠다"고 밝혔다.
피의자 전주환(31)은 지난해 10월 불법촬영 등의 혐의로 서울교통공사 직위해제가 된 상태에서 공사 내부 인사망에 접속해 수시로 입사 동기인 피해자 A씨의 근무지를 알아냈다.
김 사장은 재발 방지 대책 마련과 관련해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우선 기본적인 방향을 말했고, 일부 오해가 있는 것도 있다"며 "전부 정리해서 빠르게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지난 20일 국회에서 재발방지 대책으로 "여성 역무원의 당직을 줄이고 역내 모든 업무에 현장 순찰이 아닌 CCTV를 이용한 가상순찰을 도입하겠다"고 밝혀 논란을 샀다.
이어 피해자가 예전부터 스토킹 피해를 입어온 것에 대해 "정말 애통한 일이지만 현장 직원 모두 그런 낌새를 알아채지 못했다. 앞으로 이런 것들을 찾아낼 수 있는 시스템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사과문에 공사의 잘못을 반성하는 내용이 빠졌다는 지적에 대해 "저희는 잘못했다는 전제하에 고인의 명예를 지키고 희생이 다시금 일어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기 위해 진심 어린 사과로 받아달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유족과의 협의 상황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는 "(공사에서 유족에게 제안한 내용은) 지금 말할 수 없다"며 "유족과 논의해 최선을 다해서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업재해 인정 여부에 대해서도 "절차대로 최대한 지원하고 있다"고 짧게 설명했다. 김 사장은 전날 피해자 유족을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전주환은 피해자를 스토킹한 혐의로 기소돼 불구속 상태로 재판을 받던 중 지난 14일 오후 9시께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당역 내부 화장실에서 피해자를 흉기로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전날 서울교통공사를 압수수색했으며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개인정보 관리 상황 등 위법성 소지가 있다고 판단 서울교통공사에 대한 1차 조사를 완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