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정기 기자] 지난 9월 6일 대한민국을 강타한 태풍 ‘힌남노’ 피해복구가 계속되고 있다. 가장 피해가 컸던 경북 포항은 시 당국과 시민들이 하나되어 복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문제는 포스코 포항제철소. 창사 이래 49년 만에 최초로 고로가 꺼진 초대형 참사를 맞이한 포항제철 피해액은 눈더미처럼 불어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6일 새벽까지 철야를 하고, 김은혜 홍보수석이 “비상근무는 모든 비서관실, 필요 수석실 인원들이 24시간 교대로 대비태세를 유지할 것”이라며 “관계 부처, 지방자치단체와 상황을 공유하면서 필요한 지원을 챙기고 있다” 공언했음에도 포항제철은 역대 최대 피해를 입었다.
산자부 9월 14일 ‘철강 수해복구 및 수급점검TF’ 가동
포항제철 침수로 산업계 일각에서 ‘철강 수급에 대한 우려’를 쏟아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월 14일 ‘철강 수해복구 및 수급점검TF’ 가동 구성 ▲포항 철강국가산업단지 복구현황과 애로사항 ▲자동차, 조선 등 수요산업의 철강재 수요현황 및 전망 ▲철강재 수출입 동향 및 향후전망 등 논의에 들어갔다.
산자부 담당자는 9월 27일 본지와 통화에서 “매주 두번 철강수급 점검을 하고 있다”며 “포스코 이외에도 철강협회와 관련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밝혔다.
이 담당자는 “(정부가 원할히 대응하는 만큼) 포스코가 목표로 하는 복구일정 대로 진행이 된다면 수급에는 큰문제가 없을 것”이라 설명했다.
이어 “(포항제철이 철강산업에 차지하는 비중이 큰 것은 사실이나) 다른 데서 물량을 못 맞힐 정도라 보기는 어렵다” 강조한다. “(잘못된 정보로) 가수요가 생길 수 있어 보도에 신중을 기해달라” 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 선제대응 도로묵 만든 포항제철소 가동 중단
9월 6일 대한민국을 덮친 ‘힌남노’ 이전 ‘서울 강남 침수’라는 재난을 맞이했던 윤석열 대통령은 같은 달 “공직자들은 선 조치, 후 보고를 해 달라. 인명피해를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힐 정도로 ‘강력한 대응’을 지시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에) “사전에 상당한 규모 태풍이 예고되어 있어 포스코 차원에서 준비를 하고 우리도 연락을 계속했음에도 냉천 범람에 따라 피해를 입었다”라며 “당일 (산자부) 담당자들이 포항에 내려가 현장을 점검하는 등 노력했다”는 입장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산자부가 일반 기업에 일일히 지시를 내리기는 힘들다” 토로했다.
그럼에도 산자부가 공식적으로 포스코에 대해 입장을 밝힌 건 지난 9월 14일 ‘철강 수해복구 및 수급점검TF’가 유일하다. 이후 TF에서 포항제철 사고원인에 대한 규명과 이후 복구대책 일정에 대한 공식 입장은 나온 것이 없다.
익명을 요구한 중소기업 대표가 “포스코에서 돌아가는 상황을 대기업은 몰라도 우리 같은 구멍가게에는 알려주지 않는다”며 “포항복구가 6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문을 닫아야한다” 한탄했다. 사고 이전과 이후 산자부 대응에 대해 곳곳에서 비판이 나오는 까닭이다.
신조어 포스코플레이션(Posco+Inflation) 등장...업계 “6개월 이상 사태 지속시 문닫아야”
2021년 기준 포스코 매출은 76조원을 훌쩍 넘는다. 포항시 지역내 총생산(GRDP) 17조 중 45%가 포항제철과 협력업체가 차지하고 있다.
이번 포항제철소 침수로 포스코가 예상하는 매출액 감소는 2조원에 달한다. 국가기간산업으로 분류되는 철강산업에서 포스코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기준) 약 60%다. 지금도 포항제철소 내부가 사진촬영이 금지되고 외부에서 출입이 허가되지 않고 불가능한 이유다.
한 언론이 보도한 ‘포스코플레이션(Posco+Inflation)’이라는 신조어가 업계에 회자되는 까닭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결국 포항제철의 복구가 가뜩이나 ▲환율상승 ▲고금리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어려운 대한민국 경제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 분석하며 “심지어 윤석열 정부의 성패도 좌우할 수 있다”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