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3.20 (월)

  • 맑음동두천 8.1℃
  • 구름조금강릉 14.8℃
  • 맑음서울 9.5℃
  • 구름많음대전 10.9℃
  • 구름많음대구 14.2℃
  • 구름많음울산 12.3℃
  • 구름많음광주 12.3℃
  • 구름많음부산 12.7℃
  • 구름많음고창 6.8℃
  • 흐림제주 14.3℃
  • 맑음강화 3.9℃
  • 구름많음보은 10.9℃
  • 구름많음금산 8.8℃
  • 구름많음강진군 9.7℃
  • 구름많음경주시 13.0℃
  • 구름많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사회

과학기술원 이공계 특수 4개대학, 최근 5년간 중도탈락자 1006명 발생

URL복사

중도탈락생의 80~90%가 의학계열로 이동 추정
이공계 특성화 대학도 의학계열 상당수 이동 추정
종로학원 "의학 계열로 이동 추정,정확한 실태 파악 필요할 수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국가 차원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KAIST(한국과학기술원)의 중도탈락생 상당수가 의학계열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KAIST(한국과학기술원), GIST(광주과학기술원),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UNIST(울산과학기술원) 등 4개 대학에서 모두 1006명의 중도탈락이 발생했다.

 

대학별 중도탈락 규모는 카이스트가 499명으로 가장 많았고 유니스트(263명) 지스트(150명) 디지스트(94명) 순이었다. 대전 지역에 위치한 카이스트는 2018년 73명, 2019년 105명, 202년 76명, 2021년 145명, 2022년 100명의 중도탈락자가 나왔다.

 

 

2021년 공시기준으로 277명이 최근 5년 새 가장 중도탈락이 많았고, 2018년이 171명으로 가장 작은 인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5년간 연평균 201명 발생한 셈이다.

 

2022년 공시기준으로 카이스트의 신입생 출신 고교유형은 69.8%가 과학고, 영재학교 출신으로 나타났다. 4개 대학 전체 평균은 과학고가 36.5%, 영재학교 10.6%로 과학고, 영재학교 출신 비율이 47.1% 차지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카이스트 신입생 출신고교 과학고 50.8%, 영재학교 19.1%로 나왔으며, 광주과학기술원은 과고 40.8%, 영재학교 7.3%로 과고, 영재학교가 전체의 48.2%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과학고 20.3%, 영재학교 1.8%로 과학고, 영재학교가 전체의 22.1%로 나타났다.

 

울산과학기술원은 과학고 17.4%, 영재학교 1.8%로 과학고, 영재학교가 전체의 19.2% 차지했다.

 

종로학원은 이들이 학과에 적용하지 못해 이탈했기보다는 의학계열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더 클 것으로 추정했다.

 

이어 과학고 출신 학생은 조기졸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약학 계열 진학을 위해 재수, 삼수를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도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미 수학과 과학을 잘하는 학생들이기 때문에 수능에서는 국어와 영어만 준비하면 되는 상황도 반수와 재수를 수월하게 만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국가적 차원의 과학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는 과학고와 영재학교 출신들이 같은 목적의 대학에 진학한 후 의학 계열로 이동하는 것은 과학인재 육성정책과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재고 할 수 있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임 대표는 "이공계 특수대학 출신들이 실제로 의학 계열에 어느 정도 이동하는 지 실태 파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우려할만한 수준이라면 이공계 특수대학의 과학기술인재 육성 정책에 많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news@kakao.com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국가산단조성사업에 인재양성 계획은 없나…부처간 엇박자 눈에 보여
정부는 지난 15일 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전국에 15개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롭게 지정해 반도체·미래차·우주산업 등을 집중 육성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정부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5대 핵심분야 22개 신기술을 집중 육성키로 한 국정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이번 국가산단 지정은 역대 정부에서 지정한 산단 중 최대 규모다. 정부의 계획에 따르면 2026년까지 550조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유치해 총 1천200만평(4천76만㎡)규모 부지에 반도체(340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이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미래차(95조원), 로봇(1조7천억원) 등 6대 국가첨단산업벨트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경기권에서는 용인 일대, 충청권에서는 대전·천안·청주·홍성이, 호남권에선 광주, 고흥, 익산, 완주, 경남권에서는 창원, 대구·경북권은 대구, 안동, 경주, 울진, 강원권에서는 강릉에 각 분야별 국가산단을 조성키로 했다. 기존 국가산단은 중앙정부 주도로 입지를 선정하고 개발했지만, 이번에는 지역에서 특화산업과 연계해 후보지를 제안한 게 특징이다. 산단 지정을 발표한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방과 기업의 제안을 바탕으로 정부는 민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