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3.20 (월)

  • 맑음동두천 8.1℃
  • 구름조금강릉 14.8℃
  • 맑음서울 9.5℃
  • 구름많음대전 10.9℃
  • 구름많음대구 14.2℃
  • 구름많음울산 12.3℃
  • 구름많음광주 12.3℃
  • 구름많음부산 12.7℃
  • 구름많음고창 6.8℃
  • 흐림제주 14.3℃
  • 맑음강화 3.9℃
  • 구름많음보은 10.9℃
  • 구름많음금산 8.8℃
  • 구름많음강진군 9.7℃
  • 구름많음경주시 13.0℃
  • 구름많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사회

신규확진 9259명 사흘째 1만명↓...전주 대비 750명 감소

URL복사

전주대비 750명↓…토요일 기준 38주만 최소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지난 17일 하루 전국에서 코로나19 확진자 9259명이 집계됐다. 사흘 연속 1만 명 미만 규모이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18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9259명 늘어난 누적 3069만223명이다.

0시 기준 확진자 수는 전날(9065명)보다는 194명 늘었다. 1주 전 토요일(11일·1만9명)보다는 750명 줄어, 토요일 확진자 수로는 38주만에 최소였다.

최근 4주간 토요일 기준 확진자 발생 추이를 살펴보면 2월25일 1만52명→3월4일 1만1244명→3월11일 1만9명→3월18일 9259명으로, 신학기 개학 직후 일시적으로 늘었다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 양상이다.

시·도별 일일 확진자 수는 수도권이 5037명으로 경기 2637명, 서울 1927명, 인천 473명 순이다. 비수도권은 4216명(검역 제외)으로, 지역별로 경북 480명, 경남 416명, 대구 389명, 전북 379명, 부산 354명, 대전 325명, 충남 309명, 충북 303명, 광주 285명, 전남 284명, 강원 251명, 제주 222명, 울산 110명, 세종 109명 순으로 집계됐다.

신규 확진자 중 국내발생 사례는 9243명, 해외유입 확진자는 16명이다. 해외유입 중 6명은 공항·항만 등 검역 단계에서 확진됐다. 아시아가 7명(중국 1명 포함), 유럽 5명, 미주 3명, 호주 1명 순이었다.


사망자는 4명 늘어 누적 3만4159명이다. 전체 확진자 대비 사망자인 치명률은 0.11%를 유지했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140명)보다 11명 줄어든 129명이다. 16일 전인 지난 3월2일과 같다. 신규 입원 환자는 전날(39명)보다 12명 감소한 27명이었다.

전날 오후 5시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26.2%다. 보유병상 412개 중 304개가 남아있다. 감염병 전담병원 중등중 병상은 30개 중 2개만 쓰이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news@kakao.com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국가산단조성사업에 인재양성 계획은 없나…부처간 엇박자 눈에 보여
정부는 지난 15일 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전국에 15개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롭게 지정해 반도체·미래차·우주산업 등을 집중 육성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정부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5대 핵심분야 22개 신기술을 집중 육성키로 한 국정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이번 국가산단 지정은 역대 정부에서 지정한 산단 중 최대 규모다. 정부의 계획에 따르면 2026년까지 550조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유치해 총 1천200만평(4천76만㎡)규모 부지에 반도체(340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이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미래차(95조원), 로봇(1조7천억원) 등 6대 국가첨단산업벨트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경기권에서는 용인 일대, 충청권에서는 대전·천안·청주·홍성이, 호남권에선 광주, 고흥, 익산, 완주, 경남권에서는 창원, 대구·경북권은 대구, 안동, 경주, 울진, 강원권에서는 강릉에 각 분야별 국가산단을 조성키로 했다. 기존 국가산단은 중앙정부 주도로 입지를 선정하고 개발했지만, 이번에는 지역에서 특화산업과 연계해 후보지를 제안한 게 특징이다. 산단 지정을 발표한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방과 기업의 제안을 바탕으로 정부는 민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