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윤상현(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민의힘 의원은 22일 전날 있었던 윤석열 대통령의 국무회의 모두발언과 관련해 “한일 미래위해 과거 넘어서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며 “공감한다” 밝혔다.
야당의 ‘굴종외교’ 공세에는 “김대중 정신을 다 잊고 이재명 대표의 사법적 리스크 방어를 위해서 그런 걸 끌어다가 한일관계로 눈을 돌리는 건지 너무나도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윤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최근에 강제징용 해법을 제시를 하고 또 한일 간에 정상회담을 한 게 미래와 또 국익을 위한 결단이다”는 윤 대통령의 발언을 되짚고 “대통령의 의지와 결단을 다시 한 번 강조하셨다”고 평가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의 반발에 대해서는 대안도 없이 연일 반일선동만 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윤 의원은 “민주당이 김대중 대통령의 정신을 잊고 있다”며 김대중-오부치 선언 당시 국민이 반대하는데도 일본 문화개방을 결단해 “지금은 한류가 일본에서 대단히 유행하지 않는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대중 정신의 결단을 이어간 게 윤석열 대통령이다라고 본다”고 했다.
이어 그는 “민주당이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는 사람들이다. 문재인 정부 때 대안 제시한 게 아무것도 없다”고 말해 한일 관계 악화의 책임을 문재인 정부에 돌렸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하고 손잡고 미래로 가는데 주저주저하는 이유는 문재인 정부가 하나도 한 게 없이 만날 죽창가나 부르고 반일선동만 했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윤 의원은 일제강제징용 피해자 대법원 판결과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청구권 협정간 괴리가 생겼다면서 “그럼 그 괴리에 대해서 그것을 해결하려고 하는 게 행정부의 노력이다. 그게 국가원수로서 할 문재인 대통령의 책무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