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2 (수)

  • 구름조금동두천 2.0℃
  • 맑음강릉 7.2℃
  • 구름많음서울 6.0℃
  • 박무대전 2.7℃
  • 맑음대구 2.9℃
  • 맑음울산 7.3℃
  • 맑음광주 5.7℃
  • 맑음부산 11.5℃
  • 맑음고창 2.4℃
  • 구름많음제주 14.0℃
  • 맑음강화 4.6℃
  • 맑음보은 -0.4℃
  • 맑음금산 -0.3℃
  • 맑음강진군 2.5℃
  • 맑음경주시 2.2℃
  • 맑음거제 6.1℃
기상청 제공

사회

2024 전국 교대·초등교육과 수시 경쟁률 5.11대 1...전년比 감소

URL복사

올해 교대·초등교육과 전국 13개 대학 수시 지원상황 분석-종로학원
13개 대학 총 경쟁률, 전년 5.19대 1서 5.11대 1, 지원자수도 411명 감소
전국 교대와 초등교육학과 13개 대학 중 8개 대학서 지원자 수 감소
이화여대, 제주대, 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운영 3개 대학 모두 경쟁률 크게 하락
전년 수시 미충원 서울교대 83명, 진주교대 71명, 전주교대 58명 등 13개 대학서 507명 발생
교대 선호 현상 하락... 미충원 발생 높을 수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2024학년도 수시모집 전국 교육대학과 초등교육과 경쟁률은 5.11대 1로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교대, 춘천교대, 진주교대 등 전국 10개 교대 중 5개 교대에서 수시 지원자수 전년대비 하락했다. 

 

3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전국 교육대학교 10곳과 초등교육과 3곳은 2024학년도 2,425명 인원에 1만2,400명이 지원해 총 5.11대 1의 경쟁률(재외국민·북한 이탈 전형 제외)을 보였다.

이는 2467명 모집에 1만2811명이 몰려 5.1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던 지난해 수시 모집보다 소폭 하락한 수치다.

 

전국 교대와 초등교육학과 13개 대학 중 8개 대학에서 지원자 수가 감소하는 등 올해 교대 수시모집 경쟁률은 전반적으로 하락한 모습이다.

 

한국교원대 초등교육학과의 경쟁률은 진주교대 6.48대 1(1,334명 지원)에서 4.93대 1(1,025명)로 지원자수 309명 감소했고, 춘천교대 7.30대 1(1,416명 지원)에서 5.77대 1(1,119명)을 기록했으며, 지원자수 297명 감소했다., 광주교대는 4.43대 1(1,089명)에서 4.09대 1(1,003명 지원)로 지원자수 86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교대는 3.98대 1(506명)에서 3.53대 1(448명)로 지원자수 58명 감소했고, 서울교대 3.09대 1(696명 지원)에서 3,64대 1(673명 지원)로 지원자수 23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교대 경쟁률 소폭 상승은 모집인원 40명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 


 초등교육과를 운영하는 제주대, 한국교원대, 이화여대 3개 대학 초등교육과 모두 경쟁률 하락한 것으로 기록됐다. 
지난해 9.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던 제주대 초등교육학과는 올해 5.82 대 1로 크게 하락했다. 이화여대 초등교육학과의 경쟁률도 지난해(8.78대 1)보다 떨어진 6.52대 1을 기록했다.

 

한편, 전국 10개교대, 초등교육과 3개대 13개 대학중 8개 대학에서 지원자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교대, 공주교대, 청주교대, 경인교대, 부산교대 등 5개 대학은 전년대비 경쟁률 상승 및 지원자 수가 증가했다.

 

전국 13개 대학 평균 경쟁률은 5.19대 1에서 5.11대 1로 감소, 지원자수도 1만 2,811명에서 12,400명으로 전년대비 411명 감소한 것으로 기록됐다. 

 

또한, 지난해 수시 복수 합격으로 인한 미충원인원 서울교대 83명, 진주교대 71명, 전주교대 58명 등 전국 13개 대학에서 507명 발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최근 교대 선호 현상 하락 등을 종합해 볼 때 금년도 수시에서도 수시 미충원 발생이 높게 나올 수도 있다"면서 "정시에서도 수시 미충원 인원 이월 등으로 인한 정시 추가 합격이 많이 발생할 수 있고, 추가 합격 발생에 따라 합격선에도 상당한 영향이 있을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