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2.05 (수)

  • 구름많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6.4℃
  • 흐림서울 -9.5℃
  • 맑음대전 -6.4℃
  • 맑음대구 -4.8℃
  • 맑음울산 -3.5℃
  • 맑음광주 -4.9℃
  • 맑음부산 -2.7℃
  • 흐림고창 -7.1℃
  • 구름많음제주 3.5℃
  • 구름많음강화 -8.7℃
  • 맑음보은 -7.4℃
  • 맑음금산 -7.1℃
  • 구름조금강진군 -2.7℃
  • 맑음경주시 -4.2℃
  • 맑음거제 -2.0℃
기상청 제공

경제

[마감시황] 코스피, 기관 매수에 힘입어 소폭 상승 마감…2860선 회복

URL복사

코스피 장초반 등락세…삼성전자가 상승 이끌어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코스피가 기관의 매수세에 힘입어 소폭 상승 마감했다. 이날 장중 등락을 거듭한 코스피는 오후 들어 삼성전자가 상승 폭을 키우자 오름세로 방향을 틀었다.

15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857.00)보다 3.92포인트(0.14%) 오른 2860.92에 장을 마쳤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302억원, 799억원 순매도한 반면 기관은 1228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3.56%), 음식료업(1.48%), 비금속광물(1.40%) 등이 올랐고, 보험(-2.03%), 철강금속(-0.98%), 화학(-0.93%)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에서는 삼성전자(2.73%)와 삼성전자우(2.39%)가 상승했고, SK하이닉스(-1.29%), LG에너지솔루션(-3.89%), 삼성바이오로직스(-0.49%), 현대차(-1.10%), 셀트리온(-0.05%), 기아(-1.07%) 등이 하락했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물가 둔화에도 트럼프 피격 소식으로 경계감이 높아진 가운데 국내 증시는 소폭 상승 마감했다"며 "3% 가까이 오른 삼성전자와 제약·바이오주 강세가 증시를 견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정책 수혜주로 꼽히는 방산과 원전주가 강세를 보였고, 2차전지와 신재생 에너지주는 약세를 나타냈다"면서도 "오늘 밤 트럼프 이슈가 미 증시에 미치는 영향에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850.37)보다 2.51포인트(0.30%) 상승한 852.88에 거래를 종료했다. 외국인이 903억원을 사들였고, 개인과 기관이 각각 588억원, 158억원을 팔아치웠다.

시총 상위종목에서는 알테오젠(2.20%), 에코프로(1.58%), HLB(0.59%) 등이 상승했고, 에코프로비엠(-0.66%), 삼천당제약(-0.50%), 엔켐(-4.53%) 등이 하락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2024 국정감사 우수의원 평가회·시상식’ 성료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시사뉴스와 수도권일보가 주최한 ‘2024년 국정감사 우수의원 평가회 및 시상식’이 4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 12번째를 맞이한 ‘2024 국정감사 우수의원’은 지난해 ‘역대급 정쟁국감’이라는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를 모니터링하여 국정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시정을 촉구한 24명의 국정감사 우수의원을 선정해 시상한 자리였다. 강신한 시사뉴스·수도권일보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요즘 대한민국의 상황은 ‘불확실성’ 그 자체이다. 특히 ‘헌법’ ‘법치’를 강조하면서도 서로에게 유리한 부분만을 끌어다 써 오히려 혼란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타개할 곳은 국민의 대의기관이자 ‘헌법기관’인 국회와 국회의원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우리 정치는 항상 크고 작은 갈등과 대립이 있어 왔고, 그때마다 이를 조율하고 갈등을 해결한 것은 국회였다”며, “서로 얼굴을 붉힐지언정 국회의원 각자가 물밑에서 이를 조율하고, 합의하려는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고 부연했다. 이어 “국민과 민생을 위해서는 여야나 보수·진보가 나뉠 수가 없다”며, “국민이 살기 힘들다는데 어느 정치인이 이를 외면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철학부재(不在)가 빚은 참극…‘공정과 상식’ 빨리 되찾기를
지난 4일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중장·구속)과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중장·구속)이 본인들의 내란 혐의 형사재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탄핵심판 핵심 이슈인 ‘체포조 지시’관련 질문에 사실상 진술을 거부했다. 반면 증인으로 참석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정치인 체포와 관련해 직접 지시받았다고 증언했다. 이에 대해 직접 변론에 나선 윤대통령은 “계엄 당일 실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지시를 했니 받았니 하는 얘기들이 마치 호수 위에 떠 있는 달그림자 같은 걸 쫓는 느낌”이라고 했다. 또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는 “(대통령은) 간첩들을 싹 다 잡아들이라고 말한 것”이라며 홍 전 차장의 진술에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았는데 증인 혼자 그렇게 이해한 것 아니냐”며 변론했다. 5차례에 걸친 헌재 변론기일에 나온 증인들과 자신에 대한 탄핵심판 변론에 나선 윤 대통령의“계엄은 경고용”이라는 발언, 특히 지난 4차 변론기일에서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이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들을 끌어내라고 한 게 아니라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