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11.16 (토)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기자 수첩】 정부 ‘쌀값 안정 정책’ 논란... 쌀 보관·매입만 수조 원

URL복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정부가 지난 15일 올해 생산될 쌀 중 총 20만 톤을 매입해 시장으로부터 격리하기로 했다. 수확기 쌀값 안정을 위해서이다. 공공비축미 36만 톤을 포함하면 정부 매입 규모는 56만 톤으로 어마어마하다.


정부가 수확기 쌀값 안정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것에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쌀 매입에 사용되는 예산과 매입한 쌀을 보관하는데도 큰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정책이 일시적으로 쌀값을 안정시키더라도 근본적인 수요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농가의 경작 규모 축소 없이 동일한 문제가 반복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근본적인 구조개선 없이는 비슷한 문제들이 반복될 공산이 크다.
지난 1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가 양곡 관련 매입·보관비는 1조 3,855억 원(1조 375억 원, 3,480억 원)으로 2022년 1조 4,750억 원(1조1,000억 원, 3,750억 원) 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가 쌀값 안정을 위해 예산을 투입하자 농가는 쌀 경작을 지속하는 데 소비가 감소하다 보니 쌀 매입, 비축, 관리에 연간 1조 5,000억 원에 달하는 엄청난 혈세를 반복적으로 쏟아붓고 있는 현실이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 문제의 핵심이다.
올해의 경우 공공비축미 45만 톤을 매입한다는 계획인데 비축량 확대는 재정을 키우는 원인이 되고 있다. 공공비축제도는 양곡 부족으로 인한 수급 불안, 자연재해 등 식량 위기에 대비해 비축하는 제도이다.
올해 공공비축미 매입비는 1조 2,000억 원으로 예상된다. 매입한 쌀 보관비가 4,091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관비 문제는 쌀 매입 정책의 비효율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정부의 쌀 매입 정책은 농가의 경작 유지에 기여한다. 하지만 매년 필요 이상으로 생산된 쌀을 매입한 뒤 보관하다 사료용이나 주정용, 원조용으로 낮은 가격으로 처분하고 있다. 비싸게 매입하여 낮은 가격으로 처분하다 보니 해마다 사용되는 양곡 매입·보관비가 낭비되고 있다는 지적도 계속 나오고 있다.
문제는 이런 상황이 반복될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농가 입장에서는 기계화율이 100%에 근접한 데다 정부가 해마다 쌀 매입을 통해 쌀값 안정을 추진하고 있어 쌀 생산을 포기할 수가 없다고 말한다.

 

더불어민주당이 쌀 의무 매입을 확대·강화하는 양곡관리법 개정을 강행하려 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이다. 민주당 개정안이 통과되면 예산 부담이 많이 늘어날 전망이다. 오는 2030년에는 남아도는 쌀을 매입하고 보관하는 데 사용되는 예산이 3조 원에 육박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정부는 재정 안정화와 더불어 매입정책과 재정 부담 간의 균형을 찾는 것이 관건이다.
양곡법 개정안의 경우, 국내 쌀 소비량이 인구감소와 고령화, 식습관 변화 등으로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지난 2022년 1인당 고기 소비량(59.8kg)이 쌀 소비량(56.7kg)을 추월한 상황에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법안으로 보인다.

 

정부는 쌀 소비 촉진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추진 중이다. 문제의 악순환을 끊어내기 위해서는 쌀 의무 매입 물량 조정도 논의가 되고 있다. 이는 정책 변화의 일환으로 논의가 되고 있으며, 농가가 벼 재배 대신 다른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농가가 타 작목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쌀 생산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보다 강력히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양한 품종의 쌀로 즉석밥을 만들어 소비자의 선택을 넓히려 하고 있다. 정부가 비싸게 매입한 햅쌀을 사료용으로 방출하는 대신 즉석밥이나 막걸리 등으로 가공해 쌀 소비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 물가 안정에도 기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지역 특색을 담은 막걸리를 막걸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소비 촉진 대안으로 쌀을 활용한 대체식품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이재명 ‘선거법 위반’ 1심,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1심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대법원에서 확정될 경우 이 대표는 의원직을 잃고, 대선 출마도 불가능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4부(한성진 부장판사)는 15일 지난 대선 과정에서 허위사실을 유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 대표에게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벌금 100만원 이상의 형을 받으면 의원직을 상실하고, 향후 5년간 피선거권이 제한돼 대선에 출마할 수가 없다. 재판부는 "선거 과정에서 유권자에게 허위사실을 공표하는 경우 민의가 왜곡되고 훼손될 수 있다"며 "피고인을 향해 제기된 의혹이 국민의 관심사인 상황에서 방송 매체를 이용해 파급력과 전파력이 컸다"고 판결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죄책과 범죄가 상당히 무겁다"며 "선거 과정에서 표현의 자유를 인정해야 하지만 허위사실 공표로 인해 잘못된 정보를 수집해 민의가 왜곡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대선 후보 시절 한 방송에 출연해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을 알았느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재직 때 몰랐고 하위 직원이었다. 알게 된 것은 경기지사가 됐을 때 기소된 다음"이라


사회

더보기
젊은 대동맥 판막 환자에 자가 폐동맥 판막 이식하는 ‘로스(ROSS)’수술 성공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대동맥 판막이 좁아지는 협착증으로 어지럼증과 호흡곤란을 앓던 40대 남성 환자 박 모씨. 대동맥 판막 질환을 앓는 젊은 남성 환자의 경우 기계판막을 이식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박 씨는 기계판막 이식 후 혈전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 평생 항혈전제를 복용해야 하는 점을 극도로 꺼렸다. 약 복용에 대한 거부감으로 수술 자체를 고민할 정도였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해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호진 교수는 환자 본인의 폐동맥 판막을 이용한 ROSS수술을 제안했다. ROSS수술은 환자의 폐동맥 판막을 대동맥 판막 자리에 이식하고, 폐동맥 동종판막조직을 사용해 비어있는 자리를 대체하는 방식이다. 박 씨는 지난 8월 29일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호진 교수의 주도 아래 ROSS 수술을 성공적으로 받았다. 국내 성인심장외과 분야에서 약 20년 만에 시행된 ROSS 수술이었다. 수술 후 약 2개월이 지난 현재, 환자는 별다른 합병증이나 이상 증상 없이 건강을 회복 중이다. 환자는 항혈전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되며, 재수술 가능성도 낮아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호진 교수가 환자 본인의 폐동맥 판막으로 손상된 대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주 4일 근무가 아니라 주 6일, 밤샘근무도 모자란 반도체업계
임금 삭감 없이 전체 노동자의 51%가 주 4일제 근무를 하는데도 오히려 생산성이 향상된 아이슬란드 모델의 경제적 효과가 주목받으면서 국내에서도 주 4일제 근무가 관심을 끌고 있다. 아이슬란드에서는 지난 2015년과 2019년 두 차례에 걸쳐 공공 부문 근로자들의 노동시간을 기존 주 40시간에서 임금 삭감 없이 35~36시간으로 축소하는 대규모 근로시간 단축 실험을 실시했다. 해당 실험을 통해 대부분 사업장에서 생산성은 동일하거나 개선된 동시에 근로자들의 삶의 질이 비약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현재의 광범위한 근로시간 단축제가 산업 전반에 도입됐다. 아이슬란드를 제외하고도 세계 곳곳에서 주 4일제 실험이 진행 중이다. 국내에서도 포스코그룹이 격주로 주 4일 근무(임원 주 5일 근무)를 실험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모든 산업 분야에 획일적으로 적용한 ‘주 52시간’ 근로제가 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한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어 더 이상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특정 직군의 근로시간 규제를 면제하는 ‘화이트칼라 이그젬션’(고연봉 관리·전문직 근로시간 규제 적용 제외) 제도를 반도체 연구개발 분야에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