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11.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13.1℃
  • 구름많음강릉 11.5℃
  • 구름많음서울 13.3℃
  • 구름많음대전 13.4℃
  • 구름많음대구 12.5℃
  • 구름많음울산 11.2℃
  • 흐림광주 14.2℃
  • 흐림부산 13.6℃
  • 흐림고창 14.1℃
  • 제주 15.9℃
  • 구름많음강화 11.9℃
  • 구름많음보은 12.3℃
  • 구름많음금산 13.0℃
  • 흐림강진군 14.6℃
  • 구름많음경주시 10.2℃
  • 구름많음거제 13.8℃
기상청 제공

문화

상형청자가 전해주는 고려 사람들의 이야기

URL복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고려시대 도자공예의 예술성을 대표하는‘상형청자象形靑磁’를 본격 조명하는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를 개최한다. 대상의 형상을 본떠 만든 고려 상형청자는 아름다운 비색翡色 유약과 빼어난 조형성으로 고려시대 공예의 높은 기술적 성취와 독자적 미감을 보여주고 있어 한국문화의 정수로 꼽힌다.

 

이번 특별전에는 고려 상형청자의 대표작과 발굴품 등 중요 자료를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았다. 국보 11건, 보물 9건, 등록문화유산 1건을 포함한 상형청자의 대표 작품을 비롯해 국내 25개 기관과 개인 소장자, 중국·미국·일본 3개국 4개 기관의 소장품 총 274건이 출품된다.

 

이 전시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이 2022, 2023년 컴퓨터 단층촬영(CT), 3차원 형상 데이터 분석 등 과학적 조사로 밝혀낸 상형청자의 제작기법을 인터렉티브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

 

영상에서는 총 10점의 상형청자의 내부 구조를 자유롭게 살펴보며 다양한 제작기법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자 귀룡모양 주자>와 <청자 석류모양 주자>와 같이 복잡한 모양을 본떠 만든 주자 중에는 안쪽에 상·하부를 이은 경계선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도14~15) 대상의 기본 형태를 만든 후, 적당한 곳을 잘라서 안에 있는 흙을 파내고 다시 이어 마무리한 것이다.

 

고려 인종(재위 1122~1146)의 무덤인 장릉에서 나온 것으로 전하는 <청자 참외모양 병>과 <청자 상감 국화·모란무늬 참외모양 병>은 물레성형으로 참외모양을 만든 점이 동일하다.(도16~17) 그런데 인종 장릉 출토 <청자 참외모양 병>은 외면뿐만 아니라 내면에도 참외모양의 굴곡진 형태가 잡혀있었다. 반면 <청자 상감 국화·모란무늬 참외모양 병>은 내면이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고 있어서 외형은 비슷하지만 내부 단면의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이는 도구사용 등 제작 방법의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음각, 양각, 투각, 상감 등 모든 장식기법을 망라하여 제작한 상형청자의 대표작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의 컴퓨터 단층촬영에서는 몸체에 꽃잎을 붙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몸체를 여러 층으로 감싸는 꽃잎은 균일한 형태를 보이는데, 이는 도범을 활용하여 정교하게 찍어낸 결과다.(도13)

 

이처럼 고려 사람들은 원하는 상형청자의 형태를 완벽하게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고안하였다. 상형청자 곳곳에서 당시 장인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창의력이 느껴진다.

 

고려청자가 여전히 낯설고 어려운 문화유산이라고 느끼는 관람객들을 위해 고려 상형청자를 만나러 가는 길을 새로운 디자인, 영상, 연계 프로그램으로 단장했다. 포스터를 비롯한 홍보 이미지 제작에는 디자이너 강문식과 사진가 김용호가 참여했다. 전시실에서 상영되는 인터뷰 영상에는 이솔찬 국가무형문화재 전수자, 백운기 충남대학교 연구교수, 신미경 작가, 정구호 디렉터가 참여하여 상형청자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들려준다.

 

어린이들을 위한 모바일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다. 상형청자의 주요 작품을 직접 보고 퀴즈를 풀면서 그 중요성과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과 한국미술사학회 공동 주최로 고려 상형청자를 주제로 한 학술대회가 2025년 1월 17일(금)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급성심장정지 환자 이송 중 목표체온치료 효과 있어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급성심장정지 회복 후 이차적 뇌손상을 예방하는 ‘목표체온치료’가 이송 중인 환자에게도 실행 가능하고 안전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 치료법을 이송 중인 구급차 내에서 빠르게 시작하면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예후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노영선·김기홍 교수팀이 서울중증환자공공이송센터(SMICU)를 통해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목표체온치료의 실행가능성과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급성심장정지는 국내 연간 약 3만명에게 발생하며, 생존해 퇴원하는 환자가 10명 중 1명도 되지 않는 치명적인 응급상황이다. 응급 소생술을 통해 정상 심장박동을 회복하더라도 이차적 뇌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체온을 낮춰 뇌세포의 대사속도를 지연시키는 ‘목표체온치료’가 필요하며, 가능한 일찍 제공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송 중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목표체온치료에 대한 타당성과 안전성은 제대로 평가되지 않았다. 구급차 이송 중에는 환자 상태 모니터링과 처치가 제한적이어서 이송 중 발생하는 변수에 대한 대응이 원활하지 않다고 알려졌다. 2016년 출범한 서울대병원 SMICU는 전문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