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들이 6일 중국 인공지능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대거 나선 가운데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사무실에서 공무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제공)](http://www.sisa-news.com/data/photos/20250206/art_173888332973_0b4cdd.jpg)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정부부처들이 중국의 인공지능(AI) 서비스인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나선 가운데, 교육부도 각급 학교를 비롯한 소속기관의 접속을 차단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6일 오후 입장문을 통해 "개인정보보호 등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교육부 본부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기로 결정했다"며 "각급 학교(유·초·중·고)와 교육부 소속기관의 접속을 차단하도록 안내했다"고 밝혔다.
다만 대학과 대학원은 연구 기관인 만큼 접속 차단까지는 하지 않기로 했다.
교육부는 "학술연구, 교육목적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활용시 보인 주의사항 안내'에 따라 보안에 유의해 활용하도록 안내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지난 3일 모든 정부부처와 광역 지방자치단체 17곳에 챗 GPT, 딥시크 등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 민감 정보를 입력하거나 인공지능 생산물을 충분한 검증 없이 활용하지 않도록 유의하라는 취지의 공문을 내려보냈다.
이후 딥시크가 이용자의 데이터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국방부는 사내 인터넷망을 통해 딥시크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조치했다.
현재까지 교육부를 비롯해 산자부, 외교부, 국방부, 환경부, 여성가족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금융위원회, 경찰청 등 중앙행정기관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PC)에서 딥시크에 접속할 수 없도록 차단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