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2.11 (화)

  • 맑음동두천 -8.8℃
  • 맑음강릉 -1.5℃
  • 맑음서울 -5.0℃
  • 박무대전 -6.3℃
  • 맑음대구 -5.8℃
  • 맑음울산 -3.1℃
  • 맑음광주 -4.2℃
  • 맑음부산 -1.2℃
  • 흐림고창 -8.8℃
  • 맑음제주 -0.1℃
  • 맑음강화 -7.6℃
  • 맑음보은 -9.7℃
  • 흐림금산 -8.8℃
  • 맑음강진군 -5.4℃
  • 맑음경주시 -4.8℃
  • 맑음거제 -2.0℃
기상청 제공

경제

[마감시황] 코스피, 개인·외인 동반 매도에 약보합 마감…코스닥 0.91% 상승

URL복사

코스피 0.03% 하락, 코스닥 0.9% 올라
장중 2500선 붕괴…오후 반발 매수세 유입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트럼프발 관세 전쟁 우려로 국내 증시가 장중 한때 출렁였으나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코스피는 장중 2500선이 붕괴됐지만 오후 들어 하락 폭을 축소고, 코스닥은 장 초반 하락세를 딛고 반등에 성공했다.

10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521.92)보다 0.65포인트(0.03%) 내린 2521.27에 장을 마쳤다. 이날 0.45% 하락 출발한 지수는 개장 직후 낙폭을 확대하며 장중 2499선까지 밀리기도 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717억원과 2771억원을 순매도 했고, 기관 홀로 2644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1.55%), 오락·문화(0.78%), 섬유.의류(0.73%) 등이 올랐고, 기계,장비(-1.94%), 운송장비.부품(-1.85%), 일반서비스(-1.42%)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에서는 삼성전자(3.54%), LG엔너지솔루션(3.13%), 삼성전자우(2.60%) 등이 상승했고, SK하이닉스(-2.41%), 삼성바이오로직스(-2.59%), 현대차(-0.55%) 등이 하락했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상호관세 우려에 약세 출발 후 국내 증시는 장 초반 낙폭을 키우기도 했으나, 오후 들어 환율 진정과 반발매수세 유입에 힘입어 반등했다"고 말했다.

이어 "관세 등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대형주보다 중소형주의 투심 개선이 뚜렸했다"며 "당분간 개별 종목장세의 연장이 예상되며, 모멘텀 확보한 업종으로 선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재 시장은 트럼프의 관세 부과에 대해 협상용일 뿐이라고 분석하며 관련 소식에 크게 반응을 보이고 있지 않다"면서도 "향후 실제 강경한 조치가 취해질 경우 변동성 확대 가능성은 항상 열어놓고 대응을 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42.90)보다 6.77포인트(0.91%) 상승한 749.67에 거래를 종료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69억원과 20억원을 순매도 했고, 개인 홀로 1332억원을 순매수했다. 

시총 상위종목에선 알테오젠(0.13%), 에코프로(0.33%), 리노공업(5.10%) 등이 올랐고, 에코프로비엠(-0.33%), HLB(-1.70%), 레인보우로보틱스(-8.16%) 등이 내렸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47.8원)보다 3.4원 오른 1451.2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특집】 트럼프發 관세 전쟁 서막…보복엔 재보복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세계 무역전쟁의 서막을 알렸지만,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 부과를 한 달 유예하기로 합의하면서 당장 ‘관세 폭탄’은 면하게 됐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무기화하겠다는 방침을 계속 강조하면서 트럼프발 세계 ‘무역 전쟁’ 리스크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세 발효 하루 전 30일 유예 합의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에는 캐나다, 멕시코, 중국의 적극적인 자세를 끌어내기 위해 이달 1일을 마감 시한으로 제시하며 압박 수위를 강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자택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오는 모든 수입품에 각각 25%,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3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관련국과의 무역전쟁은 불가피하면서 캐나다와 멕시코는 일찍부터 강경히 대응하겠다며 보복 방침을 밝힌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국경을 맞댄 캐나다와 멕시코를 압박했다. 불법 이민과 펜타닐 등 마약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었다. 미국은 보복 관세에 재보복으로

정치

더보기
이재명 "새로운 비전 '잘사니즘' 제시...주4일 근무국가로 나가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모두가 함께 잘 사는 '잘사니즘'을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새롭고 공정한 성장동력을 통해 양극화와 불평등을 완화해야 '함께 잘 사는 세상'으로 들어갈 수 있다"며 "성장해야 나눌 수 있다. 국민의 기본적 삶을 기본권으로 보장하는 나라, 두툼한 사회안전망이 지켜주는 나라여야 혁신의 용기도 새로운 성장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당력을 총동원해서 '회복과 성장'을 주도하겠다"며 "'기본사회를 위한 회복과 성장 위원회'를 설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AI와 첨단기술에 의한 생산성 향상은 '노동시간 단축'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창의와 자율이 핵심인 첨단과학기술 시대에 장시간의 억지노동은 어울리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동시간 연장과 노동착취로는 치열한 국제경쟁에서 생존조차 어렵다"며 "우리는 OECD 국가 중 장시간 노동 5위로 OECD평균(1752시간)보다 한달 이상(149시간) 더 일한다"고 했다. 그는 "창의와 자율의 첨단기술사회로 가려면 노동시간을 줄이고 주4.5일제를 거쳐 주4일 근무국가로 나아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철학부재(不在)가 빚은 참극…‘공정과 상식’ 빨리 되찾기를
지난 4일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중장·구속)과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중장·구속)이 본인들의 내란 혐의 형사재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탄핵심판 핵심 이슈인 ‘체포조 지시’관련 질문에 사실상 진술을 거부했다. 반면 증인으로 참석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정치인 체포와 관련해 직접 지시받았다고 증언했다. 이에 대해 직접 변론에 나선 윤대통령은 “계엄 당일 실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지시를 했니 받았니 하는 얘기들이 마치 호수 위에 떠 있는 달그림자 같은 걸 쫓는 느낌”이라고 했다. 또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는 “(대통령은) 간첩들을 싹 다 잡아들이라고 말한 것”이라며 홍 전 차장의 진술에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았는데 증인 혼자 그렇게 이해한 것 아니냐”며 변론했다. 5차례에 걸친 헌재 변론기일에 나온 증인들과 자신에 대한 탄핵심판 변론에 나선 윤 대통령의“계엄은 경고용”이라는 발언, 특히 지난 4차 변론기일에서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이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들을 끌어내라고 한 게 아니라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