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해 서울 아파트 입주전망 지수가 넉 달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서울 입주전망 지수는 70선까지 하락했다. 입주전망지수는 아파트를 분양받은 사람이 정상적으로 잔금을 내고 입주할 수 있을지를 예상하는 지표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2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 지수는 75.6으로 전월 대비 7.2포인트(p) 상승했다.
수도권은 전월 대비 2.2p 하락한 69.8을 기록했는데, 서울이 전월 대비 12.2p 하락하면서 75.8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입주전망 지수는 지난해 10월 111.4에서 넉 달 연속 하락하며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산연 관계자는 "지난 하반기 입주전망 지수가 기준치(100)를 상회하며 긍정적인 전망을 보여왔던 서울마저 70대를 보일 정도로 주택 사업자들의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전월 대비 6.2%p 하락한 63.5%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79.9%에서 74.1%로 5.8%p 하락, 5대 광역시는 67.8%에서 57.2%로 10.6%p 하락, 기타지역도 67.2%에서 64.2%로 3.0%p 하락했다.
미입주 원인은 기존 주택 매각 지연(42.1%), 잔금대출 미확보(26.3%), 세입자 미확보(21.1%), 분양권 매도 지연(5.3%) 순으로 조사됐다.
주산연 관계자는 "일부 시중은행에서 연간 단위로 관리하던 대출한도를 분기, 월별을 넘어 일별로도 관리하기 시작하며 여전히 대출 규제의 벽이 이어지고 있다"며 "정부의 대출 규제 기조 완화가 속히 이뤄져야 침체한 실수요자 시장이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