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제

日 코로나 신규환자 600명대로 다시 증대...도쿄도 270명

URL복사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일본에서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기승을 부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환자가 200명대까지 줄었다가 계속 늘어나 26일에는 600명 넘게 새로 발병했다.

NHK와 지지(時事) 통신 등은 각 지방자치단체와 후생노동성의 발표를 집계한 결과 이날 들어 오후 7시30분까지 634명이 코로나19에 걸렸다고 전했다. 누계 확진자는 8만2517명에 달했다.

일일 감염자는 23일 219명, 24일 484명, 25일에는 576명이었다.

도쿄도에서 270명, 가나가와현 91명, 오사카부 66명, 지바현 38명, 사이타마현 25명, 아이치현 24명, 효고현 22명, 오키나와현 20명, 교토부 11명 등이 추가로 감염했다.

수도 도쿄도에서 지난 19일 이래 1주일 만에 일일환자가 200명을 넘었다. 24일과 25일 이틀 연속 195명이던 신규 확진자는 100명 이상을 사흘째 이어갔다.

10세 미만에 90대에 이르는 새 발병자 270명 가운데 20대가 62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가 52명, 40대 51명, 50대 35명 순이다. 중증화 위험이 높은 60대 이상도 51명이나 된다. 중증환자는 전일보다 1명 줄어든 29명으로 집계됐다.

도쿄도는 코로나19 감염 상황 등을 분석·평가하는 '모니터링 회의'에서 가정 내에서 감염이 속출하고 있는 점을 들어 감염 상황에 대해 경계 4단계 가운데 두 번째로 심각한 단계인 "재확산에 경계가 필요"로 판단했다.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판정하려면 검사를 받은지 3일 정도 걸린다. 사흘 전인 23일 도쿄도에서 진행한 검사 건수는 22일보다 3배 많은 6400여건에 달했다.

이달 들어 제일 많았는데 그만큼 확진자가 더 많이 나올 가능성이 커졌으며 이날 실제로 환자가 크게 증대했다.

일본 국내 감염자 가운데 이날 도쿄도와 오사카부, 오키나와현에서 1명씩 모두 3명이 숨져 사망자는 1547명으로 증가했다.

크루즈선 승선 사망자 13명을 더하면 1560명이 지금까지 목숨을 잃었다.

일본 내 코로나19 환자는 전세기편으로 중국에서 귀국한 다음 감염이 확인된 14명과 공항 검역 과정에서 확진자로 드러난 사람을 포함해 8만1805명이 됐다.

여기에 집단발병으로 요코하마(橫浜)항에 격리 정박했던 대형 유람선(크루즈)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탔던 승객과 승조원 환자 712명을 합치면 총 확진자는 8만2517명이다.

일본에서 코로나19에 감염한 일본인과 중국인 여행객, 귀국 환자 등 8만1805명의 분포를 보면 도쿄도가 2만5113명으로 전체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어 오사카부가 1만399명, 가나가와현 6674명, 아이치현 5253명, 후쿠오카현 5023명, 사이타마현 4544명, 지바현 3770명, 효고현 2658명, 오키나와현 2407명, 홋카이도 2039명, 교토부 1726명, 이시카와현 773명, 군마현 698명, 이바라키현 637명, 기후현 616명, 구마모토현 572명, 나라현 562명, 시즈오카현 530명, 히로시마현 508명, 미에현 494명, 시가현 490명, 도치기현 426명, 도야마현 412명, 가고시마현 405명, 미야기현 389명, 미야자키현 365명, 나가노현 303명, 후쿠이현 244명, 사가현 244명, 후쿠시마현 242명, 와카야마현 238명, 나가사키현 236명, 야마구치현 196명, 야마나시현 181명, 니가타현 170명, 오이타현 158명, 오카야마현 152명, 도쿠시마 147명이다.

다음으로 시마네현 140명, 고치현 137명, 에히메현 114명, 가가와현 94명, 야마가타현 78명, 아키타현 53명, 돗토리현 36명, 아오모리현 35명, 이와테현 23명이다.

이밖에 공항 검역에서 감염이 드러난 928명, 중국에서 전세기로 귀국한 사람과 정부직원, 검역관 등 173명이 있다.

감염자 가운데 인공호흡기를 달거나 집중치료실에 있는 중증환자는 26일 시점에 일본 내에만 156명이다.

병세가 좋아져 퇴원한 환자는 26일까지 일본 안에서 걸린 확진자 중 7만4151명,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가 659명으로 총 7만4810명이다.

PCR 검사 시행 건수는 24일에는 속보치로 하루 동안 1만7507건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넷마블문화재단, ‘2025 전국장애학생 e페스티벌’ 성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넷마블문화재단(이사장 방준혁)은 국립특수교육원,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주최하고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는 ‘2025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1일 밝혔다. 9월 9일과 10일 양일간 펼쳐진 이번 ‘2025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은 지난 6월부터 7월까지 전국에서 약 2,500여 명이 참가한 지역예선을 거쳐 선발된 전국 특수학교(급) 학생, 지도교사, 학부모 등 1,600여 명의 참가자들이 출전해 선의의 경쟁을 펼쳤다. 대회는 e스포츠대회 10종목(마구마구 리마스터, 모두의마블 등), 정보경진대회 18종목 등 총 28종목으로 치러졌으며, 각 종목별 우승팀 총 28팀은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등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특히, ‘마구마구 리마스터’는 광주 은혜학교 이민범, 정현 학생이 우승했고 ‘모두의마블’은 경남 완월초등학교 성은서, 이하은 학생이 우승을 차지했다. ‘마구마구 리마스터’ 종목에 참가해 우승을 거둔 이민범, 정현 학생은 “열심히 연습한 만큼, 좋은 결과가 나와서 행복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이 걸려있는 정보경진대회 결과는 추후 대회 홈

문화

더보기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 ‘마이 디어, 헬렌’ 공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부산 극단 ‘배우, 관객 그리고 공간(배·관·공)’이 배리어프리 연극 ‘마이 디어, 헬렌’을 무료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의 장애인 문화예술 향유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장애인 관객이 차별 없이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다. 공연은 9월 11일부터 21일까지 부산 북구 창조문화활력센터 소극장 624에서 열리며, 러닝타임은 약 55분이다. 전 연령 관람이 가능하다. ‘마이 디어, 헬렌’은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으로, 언어를 최소화하고 움직임과 몸짓을 중심으로 구성해 청각, 시각, 언어적 제약이 있는 관객도 불편 없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작품은 어린 시절부터 성숙한 사회운동가로서의 삶까지 세 장면으로 펼쳐지며, 장애인 배우가 직접 무대에 올라 비장애인 배우와 호흡을 맞춘다. 자막과 현장 음성 해설을 통해 장애인 관객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장애인 관객에게도 새로운 연극적 체험을 선사한다. 공연 후에는 관객과의 대화가 이어져 창작 과정과 배우들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예술의 사회적 의미를 더욱 깊게 나눈다. 이 작품은 2025년 7월 프랑스 아비뇽 오프 페스티벌 공식 초청작으로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