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3 (목)

  • 맑음동두천 15.5℃
  • 구름조금강릉 19.3℃
  • 구름조금서울 16.3℃
  • 맑음대전 16.6℃
  • 맑음대구 17.6℃
  • 맑음울산 17.2℃
  • 연무광주 17.3℃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6.2℃
  • 맑음제주 19.3℃
  • 구름조금강화 14.8℃
  • 맑음보은 15.4℃
  • 구름조금금산 16.3℃
  • 맑음강진군 18.3℃
  • 맑음경주시 17.2℃
  • 맑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국제

일본 코로나19 신규 611명·엿새째 천명 미만...누적 171만2346명

URL복사

 

오사카 103명 도쿄 77명 효고 52명 46명 아이치 35명
일일 사망 도쿄 10명 지바 3명 오사카 2명 효고 1명 등 29명·총 1만8003명

 

[시사뉴스 신선 기자] 일본 정부가 코로나19 감염이 확연히 감소세를 보임에 따라 긴급사태 선언과 만연방지 등 중점조치를 전면 해제한 가운데 신규환자가 엿새째 1천명 미만으로 떨어졌지만 추가 사망자는 29명이나 나왔다.

NHK와 지지(時事) 통신 등은 각 지방자치단체와 후생노동성의 발표를 집계한 결과 12일 들어 오후 9시55분까지 전날보다 242명 늘어난 611명이 코로나19에 새로 걸렸다고 전했다.

오사카부에서 103명, 수도 도쿄도 77명, 효고현 52명, 가나가와현 46명, 아이치현 35명, 오키나와현 29명, 지바현 28명, 사이타마현 25명, 홋카이도 16명, 후쿠오카현 14명, 도치기현 13명, 교토부 12명, 군마현 5명, 오카야마현 8명, 나라현 6명, 히로시마현 7명, 미에현 3명, 시즈오카현 4명, 이바라키현 6명, 니가타현 6명, 가고시마현 5명, 나가노현 4명, 오이타현 2명, 구마모토현 3명, 시가현 3명 등 감염자가 발생해 누계 확진자는 171만2000명을 넘었다.

일일환자는 9월 1일 2만20명, 2일 1만8215명, 3일 1만6727명, 4일 1만6005명, 5일 1만2906명, 6일 8227명, 7일 1만602명, 8일 1만2384명, 9일 1만394명, 10일 8884명, 11일 8799명, 12일 7209명, 13일 4169명, 14일 6272명, 15일 6803명, 16일 5703명, 17일 5092명, 18일 4697명, 19일 3398명, 20일 2222명, 21일 1765명, 22일 3242명, 23일 3599명, 24일 2091명, 25일 2670명, 26일 2133명, 27일 1147명, 28일 1720명, 29일 1982명, 30일 1574명, 10월 1일 1444명, 2일 1242명, 3일 967명, 4일 599명, 5일 980명, 6일 1125명, 7일 972명, 8일 826명, 9일 776명, 10일 553명, 11일 369명을 기록했다.

일본 국내 감염자 중 도쿄도에서 10명, 지바현과 사이타마현, 아이치현 각 3명, 오사카부와 후쿠오카현 각 2명, 효고현과 시마네현, 이시카와현, 가나가와현, 후쿠시마현, 군마현 1명씩 합쳐서 29명이 목숨을 잃어 총 사망자가 1만7990명으로 늘어났다.

크루즈선 승선 사망자 13명을 더하면 1만8003명이 지금까지 숨졌다.

일본 내 코로나19 환자는 전세기편으로 중국에서 귀국한 다음 감염이 확인된 14명과 공항 검역 과정에서 확진자로 드러난 사람을 포함해 171만1634명이다.

여기에 집단발병으로 요코하마(橫浜)항에 격리 정박했던 대형 유람선(크루즈)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탔던 승객과 승조원 환자 712명을 합치면 총 확진자는 171만2346명이다.

일본에서 코로나19에 감염한 일본인과 중국인 여행객, 귀국 환자 등 171만1634명의 분포를 보면 도쿄도가 37만6902명으로 전체 4분의 1에 육박하고 있다.

이어 오사카부가 20만1307명, 가나가와현 16만8483명, 사이타마현 11만5282명, 아이치현 10만6184명, 지바현 10만73명, 효고현 7만8015명, 후쿠오카현 7만4205명, 홋카이도 6만453명, 오키나와현 4만9915명, 교토부 3만5742명, 시즈오카현 2만6697명, 이바라키현 2만4321명, 히로시마현 2만1828명, 기후현 1만8627명, 군마현 1만6665명, 미야기현 1만6246명, 나라현 1만5482명, 도치기현 1만5392명, 오카야마현 1만5192명, 미에현 1만4713명, 구마모토현 1만4333명, 시가현 1만2331명, 후쿠시마현 9465명 등이다.

공항 검역에서 감염이 확인된 4314명, 중국에서 전세기로 귀국한 사람과 정부직원, 검역관 등 173명이 있다.

감염자 가운데 인공호흡기를 달거나 집중치료실에 있는 중증환자는 12일까지 일본 내에만 전날보다 34명 줄어든 444명이 됐다.

병세가 좋아져 퇴원한 환자는 12일까지 일본 안에서 걸린 확진자 중 168만2452명,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가 659명으로 총 168만3111명이다.

PCR(유전자 증폭) 검사 시행 건수는 10일에 자가검사를 제외한 속보치로 1만997건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김병기 “국정조사 요구서 금주 제출...정치검사들의 기획수사·조작기소 공개하겠다”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가 정치 검사들의 기획수사·조작기소를 공개할 것이고 이번 주에 국정조사 요구서를 제출할 것임을 밝혔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13일 국회에서 개최된 정책조정회의에서 “법위에 군림하는 정치 검사들을 더 이상 용납하지 않겠다. 정치 검사들의 특권을 보장하는 제도부터 폐지시키거나 과감히 뜯어고치겠다”며 “민주당은 국민의 명령에 따라 행동하겠다. 오늘 의원총회에서 의원님들의 총의를 모아 진실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이번 주 내에 제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 검사들의 부끄러운 민낯, 기획 수사와 조작기소의 모든 과정을 국민께 투명하게 공개하겠다. 누가 지시했고 누가 기획했으며 누가 어떻게 실행했는지 그리고 그 결과까지 철저하게 밝히겠다”며 “자신의 무능과 부패를 숨기기 위해 거짓과 항명을 선동한 정치 검사들의 실체가 만천하에 드러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행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 제3조(국정조사)제1항은 “국회는 재적의원 4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는 때에는 특별위원회 또는 상임위원회로 하여금 국정의 특정사안에 관하여 국정조사(이하 ‘조사’라 한다)를 하게 한다”고, 제2항은 “제1항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평산신씨 일기 8점으로 본 조선의 일상과 역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오는 14일 장서각 1층 강의실에서 '2025년도 장서각 고문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올해 학술대회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역주한 광주 평산신씨 신대우(申大羽)·신현(申絢)·신식(申植)의 일기 4종 8점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지식인의 학문과 관직, 유람, 사행 등 양반 사회의 문화를 다각적으로 조명하는 자리다. 신대우의 『서정보(西程譜)』와 △신현의 『동유록(東遊錄)』은 각각 1769년 묘향산 및 1804년 금강산 유람 경험을 담고 있으며, △신현의 『실재일승(實齋日乘)』은 1784년부터 1807년까지의 관직 생활과 일상을 기록한 일기다. 또한 △신식의 『설류기행(雪柳紀行)』은 1840~1841년 자제군관으로 중국 연경에 다녀온 경험을 기록한 일기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고문헌학, 역사학, 한문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가 참여해 총 11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한다. 1부에서는 △이근호 충남대 교수 △이남옥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김정철 한국국학진흥원 전임연구원 △김지현 광운대 연구교수 △정영문 숭실대 교수가 평산신씨 가문의 학문적 전통과 일기 속

문화

더보기
국악합창 두레소리, 근대소설 재해석한 합창곡 공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1920~30년대 발표된 근대소설들은 오늘날 한국문학의 뿌리를 이루지만, 현대의 독자에게는 100년의 시간을 두고 다소 멀어진 존재가 됐다. 국악합창단 두레소리는 이러한 작품들을 ‘오늘의 민요’로 되살려 누구나 따라 부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문학 체험을 제안한다. 이번 무대에서 국악합창 두레소리는 누구나 읽어보았을 근대소설 ‘운수 좋은 날’, ‘날개’, ‘동백꽃’, ‘메밀꽃 필 무렵’,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오늘의 시각으로 재해석해 한국적인 합창곡에 담았다. 현진건의 1924년 단편 ‘운수 좋은 날’은 하루하루를 살아내야 하는 인물의 삶을 서로 다른 시각에서 그린 ‘김첨지는 오늘도 달린다’로,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은 달빛 아래 풍경의 서정적 감성을 살린 ‘봉평 팔십리 밤길’로 노래한다. 김유정의 ‘동백꽃’은 풋사랑의 미묘한 감정을 유머러스하게 담은 ‘봄감자’로, 박제가 된 천재가 외치는 ‘날개’는 ‘한 번만 더 날자꾸나’로 변주했다. 1930년대 경성을 묘사한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서울 지하철 2호선으로 옮겨와, 현재의 도시와 과거의 시간을 연결한다. 국악합창 두레소리는 전통 민요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