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업일반

3분기 시가총액 167조 감소…삼성전자·카카오·SK하이닉스 3곳만 77조 넘게 하락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국내 주식종목 10곳 중 7곳은 2분기 대비 3분기에 시가총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300곳이 넘는 주식종목은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167조 원 넘게 감소했는데, 이중 시총 TOP 100에서만 130조 원 넘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삼성전자 시총은 3분기에만 40조 원 가까이 가장 크게 줄었고, 카카오와 SK하이니스도 20조 원 정도 하락했지만 ‘에코프로비엠’은 3분기에 시총이 5조 원 넘게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한국CXO연구소는 ‘2021년 3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에서 도출됐다고 13일 밝혔다. 9월30일 기준 국내 전체 주식종목은 2584곳이다. 이중 올해 초부터 상장된 곳과 우선주 등을 제외한 2336곳이 이번 조사 대상이다. 조사는 올해 6월 30일과 9월 30일 시총 변동 현황 등을 비교해 살펴봤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300곳이 넘는 주식종목의 시가총액은 올 3월말 2411조 원에서 6월말 2604조 원으로 193조 원 증가했다. 그러던 것이 9월말에는 2437조 원으로 6월말보다 167조 원 감소했다.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6.4% 감소하며 올 3월말 수준으로 회귀했다.

조사 대상 주식종목 중 올 3분기(6월말 대비 9월말)에 시총이 감소한 곳은 2300여 곳 중 67.2%에 해당하는 1572곳이나 됐다. 주식종목 10곳 중 7곳 꼴로 최근 3개월 새 시총 덩치가 작아졌다는 것이다.

올 3분기(6월말 대비 9월말)에 시총 규모가 가장 크게 감소한 곳은 삼성전자다. 삼성전자의 올 1월초 시총 규모는 495조 원이다. 1월11일에는 543조 원까지 시총이 증가했다. 이후 3월말과 6월말에는 각각 485조 원, 481조 원으로 연초보다 소폭 감소했다.  9월말에는 442조 원으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3개월 새 시총은 39조 4000억 원(8.2%↓) 넘게 증발했다. 이는 올초 8만 3000원이던 삼성전자 종가가 9월말 7만 4100원으로 하락한 것이 시총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특히 지난 12일에는 삼성전자 종가 6만9000원까지 내려앉으며 시총 규모도 411조 원 수준으로 9월말 때보다 더 떨어졌다. 이를 올해 시가총액이 가장 높았던 지난 1월 11일(종가 9만1000원) 때와 비교하면 무려 130조 원 이상 시가총액 차이를 보였다. 향후 삼성전자 주가가 6만7000원 이하로 떨어질 경우 시총 400조 원대도 붕괴될 수 있는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올 2분기 때 시총 3위를 기록했던 카카오도 3분기에만 19조 8500억 원 넘는 시총이 사라졌다. 6월말 72조 3600억 원이던 것이 9월말에는 52조 5000억 원 수준으로 감소했다. 최근 3개월 새 27.4% 수준으로 시총이 급감했다. 국내 시총 2위 SK하이닉스도 6월말 92조 8200억 원에서 9월말 74조 9800억 원으로 3개월 새 17조 8300억 원(19.2%↓) 넘게 하락했다.

지난 2분기 때 국내 시총 TOP 3에 이름을 올렸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카카오 세 곳에서만 줄어든 시총 금액만 해도 77조 원을 넘어섰다. 여기에 현대차도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16.5% 수준인 8조 4300억 원(6월말 51조 1700억 원→9월말 42조 7300억 원)이나 증발했다.

LG계열사 3곳도 각 종목별로 시총이 5조 원 넘게 주저앉았다. LG생활건강 6조 6300억 원(27조 5100억 원→20조 8800억 원), LG전자 5조 8900억 원(26조 7500억 원→20조 8600억 원), LG화학 5조 2200억 원(60조 원→54조 7700억 원) 수준으로 시총이 하락했다.

올 3분기에만 시총이 1조 원 넘게 사라진 곳은 삼성전자 등을 포함해 모두 34곳이었다. 시총이 1조 원 넘게 증가한 곳은 18곳으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시총이 가장 크게 증가한 곳은 충북 청주에 법인 주소지를 두고 있는 2차 전지 관련주 에코프로비엠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주식종목의 올 6월말 시총은 4조 6400억 원대였는데, 9월말에는 10조 2300억 원으로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5조 5800억 원 넘게 퀀텀점프했다. 시총 10조 클럽에도 올해 처음으로 가입했다. 역시 같은 2차 전지 관련 종목인 엘앤에프도 2조 5700억 원에서 6조 1800억 원으로 3분기에만 시총이 3조 6100억 원 넘게 수직상승했다.

이외 시총이 2조 원 넘게 증가한 곳은 4곳 더 있었다. 포스코케미칼 2조 5562억 원(6월말 11조 1547억 원→9월말 13조 7100억 원), 에이치엘비 2조 4806억 원(3조 5427억 원→6조 234억 원), 삼성바이오로직스 2조 1834억 원(55조 6447억 원→57조 8282억 원), 한국비엔씨 2조 1071억 원(4101억 원→2조 5173억 원) 순으로 3개월 새 시총 덩치가 커졌다.

올 3분기 기준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267곳 중 최근 3개월 사이 시총 증가율이 배 이상 되는 곳은 6곳으로 조사됐다.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곳은 제약 관련 업종인 한국비엔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주식 종목은 3분기에만 시가총액이 513.7%나 상승하며 1조 클럽 중 시총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이런 영향으로 한국비엔씨 최대주주 최완규 대표이사의 주식재산도 6월말 1036억 원에서 9월말 기준 6363억 원으로 증가했다.

9월말 기준 국내 시총 TOP 100 중 92곳이 최근 3개월 사이 순위가 바꿔졌다. 이중 TOP 10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2분기 때와 마찬가지로 시총 1, 2위를 유지했고, LG화학(5위)·셀트리온(9위)·기아(10위) 세 곳도 2분기 때와 같은 시총 순위를 3분기에서도 지켜냈다.

시총 상위 10곳 중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두 계단(6위→4위), 네이버(4위→3위)와 삼성SDI(8위→7위)는 각 한 계단씩 전진했다. 이와 달리 카카오는 세 계단(3위→6위)이나 가장 많이 후퇴했고, 현대차도 3분기 시총 순위가 한 계단(7위→8위) 뒷걸음질 쳤다.

9월말 기준 시총 TOP 10 중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SDI 두 곳을 제외하면 8곳 모두 시총 규모가 2분기 대비 떨어졌다. 이들 8곳에서 최근 3개월 새 사라져버린 시총 금액만 해도 100조 원을 넘었다.

최근 3개월 새 TOP 100에 새로 가입한 곳은 10곳이나 됐다. 10곳 중 1곳 꼴로 시총 상위 100곳이 물갈이 된 셈이다. 6월말 대비 9월말 시총 순위가 크게 급등한 곳은 엘앤에프였다. 이 회사는 6월말 시총 순위가 137위였는데 9월말에는 54위로 껑충 뛰었다. 올 3분기에만 시총 순위가 83계단이나 앞섰다.

이외 ▲메리츠금융지주 51계단(6월말 126위→9월말 75위) ▲메리츠화재 47계단(141위→94위) ▲한솔케미칼 41계단(129위→88위) ▲OCI 36계단(128위→92위) ▲일진머티리얼즈 32계단(104위→72위) △KCC 26계단(119위→93위) △한국가스공사 26계단(103위→77위) △GS리테일 23계단(122위→99위) △두산퓨어셀 7계단(107위→100위) 순으로 올 3분기 시총 TOP 100에 신규 가입했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올 3분기에는 시총 상위 100곳 중 59곳이나 2분기 대비 시가총액이 감소하며 국내 주식시장은 다소 위기를 맞았다”며 “전반적으로 매출 등의 실적 지표는 나쁘지 않은 상황에서 주가는 실적과 반대로 움직이고 있는 것은 그만큼 국내외 투자자들이 포스트 코로나 이후에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 불안감 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민생회복지원금 추가 지급 계획 없어…재정 상황 녹록치 않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3일 민생회복 지원금의 추가 지급 가능성에 대해서 "또 할 것인지의 문제는 그때 가서 봐야 한다"며 "일단은 재정상황이 또 지급할 만큼 녹록치가 않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취임 30일을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민생지원회복금을 통한 기대효과가 부족하다고 생각될 때는 추가적으로 지급할 생각도 있느냐'는 질문에 "추가로 할 계획은 없다"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민생회복 지원금 지급은) 내수진작을 위한 조치가 분명하다"며 "코로나19 때 경기도에서 선제적으로 10만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한 경험이 있다. 그 후 정부에서도 이어서 한 번 했는데 정부 연구기관 조사에 의하면 자영업이 체감하는 지방 경제에서 상당히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험상으로 보면 지금 골목경제가 너무 안 좋다"며 "마치 저수지로 보면 아주 깊은 부분은 좀 가물어도 견딜 수 있지만 대부분 얕은 부분은 피해가 너무 크다. 회생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런 측면에서 지금 현재 재정상황, 부채상황, 경제상황 이런 것들을 다 고려해서 나름 (민생회복 지원금 지급을) 정한 것이고 효과는 일반적으로

경제

더보기
여경협, ‘여성CEO 오찬포럼’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여성경제인협회는 제4회 여성기업주간을 맞아 3일 강남구 삼정호텔 아도니스홀에서 여성CEO 및 여성임원 150명을 대상으로「여성CEO 오찬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제4회 여성기업주간’행사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참가자 모집 하루만에 참가 접수가 마감되어 열띤 반응을 얻었다. 포럼에서는 해피문데이 김도진 대표가 ‘펨테크 산업과 동향과 비즈니스 모델 전략’이라는 주제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펨테크 산업을 조명하고, 여성기업인에게 새로운 도약의 가능성을 전달하였다. 또한, 김도진 대표는 개인사업자로 시작하여 시리즈B 투자유치 110억원, 누적 다운로드 288만 슈퍼앱으로 성장, 글로벌 시장 진출 등 펨테크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한 스토리를 공유하고, 비즈니스 모델 전략을 심도 있게 강연하였다. 박창숙 여경협 회장은 “펨테크를 여성특화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은 단순한 여성 건강 증진 차원을 넘어, 국가에서 직면하고 있는 저성장·저출산 위기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타개책”이라며, “이번 포럼을 통해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펨테크와 같은 여성특화산업을 기반으로 한 위기 극복 아이디어와 전략을 모색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2025년 상반기 경마 결산 감동과 기록의 반년, 한국 경마에 새 역사를 쓰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2025년의 절반이 흘렀다. 겨울에서 봄으로, 봄에서 여름으로 계절이 바뀌는 동안 한국경마는 말과 사람의 숨 가쁜 레이스를 쉼 없이 이어왔다. 매주 수백 마리의 경주마들이 각자의 무대 위에서 최선을 다해 달렸고, 그 곁엔 묵묵히 말과 동고동락한 기수와 조교사, 관리사 그리고 마주들이 있었다. 누군가는 경마를 숫자의 세계라 말한다. 순위와 시간, 기록과 수익률이 얽혀 있는 데이터의 바다. 그러나 실상 그 안엔 숫자만으로는 측정할 수 없는 감정과 이야기가 함께 담겨 있다. 말과 사람이 만들어내는 우연과 전략, 땀과 직감이 만나야만 완성되는 승부는 그 자체로 스포츠를 넘어선 서사다. 2025년 상반기는 특히나 '전환점'이라는 표현이 아깝지 않을 만큼 굵직굵직한 성과들로 가득했다. 수치로도, 서사로도 기록될 만한 장면들이 곳곳에서 쏟아졌고, 어떤 순간은 팬들의 가슴에 오래 남을 감동으로 새겨졌다. 그 가운데, 특히 조명할 만한 네 가지 이슈를 통해 올 상반기 한국경마의 흐름을 되짚어본다. 글로벌히트와 김혜선 기수, 두바이에서 한국 경마의 자존심을 세우다 3월 1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메이단 경마장에서는 ‘두바이 월드컵’의 예선전 슈퍼 새터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