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9.22 (금)

  • 맑음동두천 24.7℃
  • 맑음강릉 24.5℃
  • 맑음서울 26.4℃
  • 맑음대전 24.3℃
  • 구름조금대구 25.1℃
  • 구름많음울산 22.8℃
  • 구름조금광주 25.8℃
  • 구름많음부산 26.2℃
  • 맑음고창 24.7℃
  • 흐림제주 25.3℃
  • 맑음강화 24.8℃
  • 맑음보은 23.6℃
  • 맑음금산 24.2℃
  • 구름조금강진군 27.8℃
  • 구름많음경주시 24.8℃
  • 구름많음거제 24.2℃
기상청 제공

한창희 칼럼

【한창희 칼럼】 정권교체, 정당교체? 개념정리 명확히 해야

URL복사

[시사뉴스 한창희 주필] 우리 헌법이 1987년 대통령 5년 단임제를 왜, 채택했을까? 바로 5년마다 정권교체를 하자는 의미다.

 

박정희 장기집권 시대를 지나 전두환 정권이 7년 단임제를 시행했다. 6.29선언 이후 개헌하면서 정권이 7년도 길다며 5년 단임제를 헌법에 명시했다.

 

"헌법 제70조 대통령의 임기는 5년으로 하며, 중임할 수 없다."

 

우리나라는 대통령 중심제다. 대통령을 중심으로 권력이 집중돼 있다. 대통령의 교체는 곧 정권교체를 의미한다. 권력은 부자간에도 공유할 수가 없다. 영조가 왜, 아들인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였을까? 부자간에 왕위가 승계돼도 정치권력은 교체가 된다. 정권교체는 권력의 총수를 교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대통령의 임기가 5년 단임제라 헌법이 개정되지 않는 한 5년 마다 정권이 교체되게 돼 있다. 그런데 차기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야당인 국민의힘은 정권교체를 주창한다. 개념정리를 명확히 해야한다. 집권 정당교체, 여야교체가 정확한 표현이다.

 

우리나라는 정당정치를 한다. 선거를 통해 대통령을 선출한다. 정당이 후보자를 공천하고 선거운동도 한다. 집권당, 여당의 역할이 중요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기에 당의 정체성을 보고 많은 국민들이 묻지마 투표를 한다. 대통령이 실정을 하면 집권당도 싫어한다. 집권당이 싫은 유권자는 정권교체를 넘어 정당교체를 원한다. 그렇다고 개념없이 정권교체와 정당교체를 구분 못해서도 곤란하다.

 

문재인 정권은 내년 5월10일 차기 대통령에게로 무조건 교체된다. 야당은 정당교체를 정권교체라고 말하고 싶을 것이다. 하지만 정권교체의 개념정리도 없이 정권교체 용어를 야당의 전유물로 사용하는데 아무 생각없이 지켜보는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더 한심해 보인다.

 

마치 문재인 대통령이 선정을 펼쳐 문 대통령의 등에 엎혀 덕을 보려는 것처럼 보인다. 민주당이 공천한 새대통령으로 정권을 교체하여 문재인 대통령의 좋은 정책은 승계하고, 실정은 바로 잡겠다며 올바른 정권교체를 주창해야 마땅하다.

 

문재인에서 이재명으로 바뀌어도 정권교체고, 윤석열로 바뀌어도 정권교체다. 권력 담당자와 통치스타일이 바뀐다.

 

중요한 것은 차기 대통령 후보 검증을 소속 정당, 진영논리로 단순하게 평가할 것이 아니라 후보자와 공천정당을 분리하여 2단계로 검증해야 한다. 1단계는 후보자의 자질, 능력검증이다. 그 다음에 공천정당이 대통령직을 수행하는데 어느 정당이 올바르게 뒷받침해 줄 수 있는지 검증해봐야 한다.

 

개념없이 문재인 대통령의 실정을 부각하며 정당교체를 정권교체로 착각해서도 곤란하고, 문재인 대통령의 덕을 보려고 정권재창출을 주창하는 것도 어불성설이다. 정권재창출? 문재인 대통령이 재출마한단 말인가?

 

정치교체는 말장난에 불과하다. 이는 정권시스템을 바꾸겠다는 것이다. 차라리 헌법을 개정하겠다고 하라.

 

후보자와 정당은 집권에 눈이 어두워 개념없이 자기들에게 유리한 말을 끌어다 사용한다. 하지만 여기에 휩쓸려서 개념없이 그 용어를 따라쓰는 언론과 유권자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

 

과거 군사정권에서는 권력은 총구로 부터 나왔다. 완전민주시대에는 권력은 유권자의 표에서 나온다. 개념없이 투표하고 정치인 욕하지 말고 후보자의 능력을 정확히 검증하고 투표하여 올바르게 정권교체를 해야 한다.

 

5년마다 어김없이 정권교체가 되는데 군사정권 시대에 야당이 주로 사용하던 ‘정권교체’ 용어를 아무 생각없이 사용하고 받이들이는 우리 정치권과 언론, 유권자가 참 신기(?)하다. 정치 용어도 개념정리를 명확히 해볼 때가 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민주당, 26일 오후 2시 새 원내대표 선출…"추석 연휴 전 뽑아 공백 최소화"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앞서 박광온 원내대표 및 원내지도부가 이재명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에 따른 책임으로 사퇴하면서 당은 오는 26일 새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민주당은 22일 추석연휴 전 인원내 지도부 공백을 최소화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후임 원내대표는 가장 빠른 시일 안에 가급적 추석 연휴 전에 선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도부 공백은 최단 시간에 최소화하고 당의 정무직 당직자도 조속히 안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이재명 대표와 의논해 빨리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앞서 박광온 원내대표를 비롯한 원내지도부는 전날 밤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에 따른 책임을 지고자 사퇴한 바 있다. 이후 최고위는 '원내대표 선거관리위원회 설치 및 구성의 건'을 당무위원회에 부의했고, 이날 오후 2시 열린 당무위에서는 선관위 구성을 의결했다. 선관위원장에는 변재일 의원이 이름을 올렸다. 간사는 송옥주 의원이, 위원은 최기상·한준호·홍정민 의원 등이 맡는다. 같은 날 선관위는 회의를 열고 오는 26일 오후 2시에 선거를 진행하기로 확정했다. 곧 선거공고가 나오게 되며, 오는 24일 오후 6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호산대, 대구가톨릭대와 ‘청년고용정책 어드벤츠 퀴즈’ 협업 운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호산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는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와 협업으로 지난 18일 ‘청년고용정책 어드벤처 퀴즈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진행되었으며, 두 대학의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홍보함과 동시에 지역 청년층 취업지원을 위한 청년고용정책 퀴즈를 풀고 기념품도 받아가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청년고용정책 어드벤처 퀴즈에 참여한 대구가톨릭대 재학생은 “청년고용정책 퀴즈를 풀면서 좋은 취업지원 정책들을 많이 알 수 있었고, 기념까지 받아갈 수 있어 좋았다”며 주변 친구들에게도 적극적으로 청년고용정책에 대해서 알리겠다고 말했다. 두 대학의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는 앞으로도 청년고용정책 홍보와 관련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협업으로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호산대학교와 대구가톨릭대학교는 이미 지난 8월에도 ‘2023년 지역취업협의체’를 구성하여 고용노동부, 경산시, 지역특성화고등학교 4곳과‘꿈토링’이라는 지역 상생 특성화고교 수요 맞춤형 진로취업 지원프로그램을 협업사업으로 진행 중이다. 각 대학의 재학생뿐만 아니라 지역 고등학교와 유관기관의 협업을 통해 지역 청년들에게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를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5개월만에 또 다시 등장한 ‘엄석대’ 논란
지난 3월 국민의힘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준석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이문열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주인공인 독재자 엄석대로 빗댄데 이어 5개월만에 또 다시 국민의힘 의원들과 내각 일부장관들이 대통령을 엄석대로 만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김병준 한국경제인협회 상임고문은 지난달 28일 ‘2023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 특강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정부부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즉 ‘윤심(尹心)’만 따라가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 주니까 ‘대통령이 엄석대다, 아니다’라는 말이 나온다”며 “대통령의 철학이나 국정운영 기조를 제대로 알고 이심전심으로 당과 용산이 혼연일체가 되고 일심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강연의 요지는 윤 대통령은 엄석대를 쫓아내며 학급에 자유를 되찾게 한 김 선생님에 가까운데 일부 여당과 정부부처 장관들이 ‘윤심’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거나 맹목적으로 따르다보니 대통령이 엄석대 소리를 듣게 된다는 것이다. 김 상임고문의 지적은 요즘 일어나고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문제나 정율성 역사공원 논란, 잼버리대회 전후 여성가족부장관의 부적절한 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