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정기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진행한 ‘시민공천배심원’를 두고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경기 광주시장 공천에 소송을 제기한 박해광 예비후보 측은 "10일 열린 '경선결과 집행정지 가처분소송' 민주당 답변서를 통해 배심원단 모집에 큰 문제점이 발견됐다" 주장했다.
박 후보 측은 "민주당 중앙당 측이 제출한 ▲오산시장후보(문영근)에 대한 답변자료에는 배심원 모집방식이 '이메일로 모집했다' 되어있는 반면 ▲광주시장후보(박해광)에 대한 답변자료에는 배심원을 '무작위 전화선정 했다'고 적혀있다" 밝혔다.
이어 "그럼에도 경선이 진행된 지난 1일 오산시장 배심원 경선(14:00부터)과 광주시장 배심원 경선(16:30부터) 유튜브에는 동일한 배심원들이 동일한 좌석에 앉아 있는 것이 확인됐다" 지적했다.
이에대해 중앙당 관계자들은 "사실확인 중"이라 답했으며, 배심원을 모집한 것으로 알려진 A 여론조사업체는 "담당 연구원이 답해줄 것"이라 말한 후 연락이 오지 않았다.
한편, 민주당 기초자치단체장 후보 경선은 대부분 지역에서 ▲권리당원 50% ▲일반시민 50% 투표 합산으로 진행됐으나 경기 광주시와 오산시 등 일부 지역은 ‘청년 전략선거구’로 지정되며 ▲시민공천배심원 40% ▲권리당원 30% ▲일반시민 30% 투표 합산 방식으로 후보를 뽑았다.
민주당은 그 동안 경선 참여 의사를 밝힌 유권자 46~47명과 각 분야 전문가 3~4명 등 총 50여명으로 시민공천배심원을 구성했다고 설명해왔다.
현재 경기 광주시장 민주당 경선에 참여했던 신동헌 현 시장과 박해광 후보 등은 "권리당원과 일반시민 투표에서 이겼으나 배심원 투표에서 특정후보에게 몰표가 나오며 당락이 갈린 만큼 배심원 선정에 투명성이 확인되어야 한다" 주장하며 경선결과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