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3.21 (화)

  • 맑음동두천 2.2℃
  • 흐림강릉 15.0℃
  • 맑음서울 5.5℃
  • 구름조금대전 4.6℃
  • 흐림대구 9.6℃
  • 흐림울산 9.9℃
  • 흐림광주 10.6℃
  • 흐림부산 13.2℃
  • 흐림고창 6.7℃
  • 제주 13.9℃
  • 맑음강화 0.9℃
  • 구름조금보은 1.5℃
  • 구름많음금산 2.4℃
  • 흐림강진군 10.3℃
  • 흐림경주시 7.0℃
  • 흐림거제 10.3℃
기상청 제공

국제

중국, '정찰풍선' 美전투기가 격추한데 미국에 엄중 항의..."긴장격화 자제" 촉구

URL복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중국 정부는 6일 미국 전투기가 자국 정찰풍선을 격추한데 대해 재차 엄중 항의하면서도 양국 간에 긴장이 격화하지 않도록 자제하라고 촉구했다.
 
신화통신과 중앙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 셰펑(謝鋒) 부부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주중 미국대사관에게 정찰풍선 격추에 중국이 결단코 반대하며 강력히 항의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셰펑 부부장은 전날 미국대사관 책임 당국자에 이 같은 사실을 전하고 중국의 이익과 존엄을 확고히 지키겠다고 언명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 민간용 무인비행선이 미국 영공에 잘못 진입한 건 전적으로 불가항력에 의한 예기치 못한 우발적인 사건"이라며 "사실이 명백한 만큼 왜곡해 모략해서는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셰펑 부부장은 그런데도 미국은 영공 밖으로 나가는 민간 비행선에 대해 무력을 남용하는 등 국제법 정신과 국제관례에 크게 어긋하는 과잉반응을 보였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셰펑 부부장은 "미국의 행동이 발리 정상회담 이래 미중 관계를 안정시키기 위한 노력과 과정에 엄중 충격을 가하고 심각하게 손상했다"고 힐난했다.

셰펑 부부장은 이에 대해 단호히 반대하고 강력히 항의한다며 미국이 중국의 이익을 해치고 긴장을 고조시키거나 확대하는 행동을 더는 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셰펑 부부장은 "중국 정부가 사태 추이를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며 "중국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확고히 지키고 중국의 이익과 존엄을 단호히 수호하며 필요한 대응을 전개할 권리를 유보하겠다"고 부연했다.

앞서 전날 중국 외교부는 성명을 내고 민간 무인 비행선이라고 주장하는 정찰풍선을 미국 전투기가 미사일로 떨어트린 것에 강렬한 불만과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외교부는 정찰풍선으로 미국이 간주하는 비행선에 관해 철저한 검증한 끝에 민간 관측용이고 불가항력으로 미국 영공에 흘러 들어가는 예상치 않은 상황을 빚었다고 여러 차례 알렸지만 미국이 격추했다고 유감을 나타냈다.

또한 외교부는 미국 측에 냉정하고 전문적이며 자제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적절히 처리하도록 분명히 요청하고 미국 국방부도 비행선이 지상에 군사상, 안전상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했음에도 무력을 동원해 파괴한 건 명백한 과잉대응으로 국제관례를 심각하게 위반했다고 비판했다.

외교부는 중국이 관련기업의 정당한 권인을 단호히 보호하면서 필요한 대응조치를 취할 권리를 갖고 있다고 주장, 보복 가능성을 경고하기도 했다.

정찰풍선과 관련해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은 4일 "이날 오후 조 바이든 대통령의 지시로 전투기들이 미국 영공인 사우스캐롤라이나 해안 상공에서 중국의 고고도 정찰풍선을 성공적으로 격추했다"고 발표했다.

오스틴 장관은 "중국이 미국 대륙의 전략 시설을 감시하기 위해 사용한 정찰풍선이 미국 영해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방부가 분석한 결과 정찰풍선의 크기와 고도, 탑재한 정찰 장비 때문에 풍선을 격추하면 넓은 지역에 과도한 피해를 줄 위험이 있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news@kakao.com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국가산단조성사업에 인재양성 계획은 없나…부처간 엇박자 눈에 보여
정부는 지난 15일 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전국에 15개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롭게 지정해 반도체·미래차·우주산업 등을 집중 육성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정부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5대 핵심분야 22개 신기술을 집중 육성키로 한 국정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이번 국가산단 지정은 역대 정부에서 지정한 산단 중 최대 규모다. 정부의 계획에 따르면 2026년까지 550조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유치해 총 1천200만평(4천76만㎡)규모 부지에 반도체(340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이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미래차(95조원), 로봇(1조7천억원) 등 6대 국가첨단산업벨트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경기권에서는 용인 일대, 충청권에서는 대전·천안·청주·홍성이, 호남권에선 광주, 고흥, 익산, 완주, 경남권에서는 창원, 대구·경북권은 대구, 안동, 경주, 울진, 강원권에서는 강릉에 각 분야별 국가산단을 조성키로 했다. 기존 국가산단은 중앙정부 주도로 입지를 선정하고 개발했지만, 이번에는 지역에서 특화산업과 연계해 후보지를 제안한 게 특징이다. 산단 지정을 발표한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방과 기업의 제안을 바탕으로 정부는 민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