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미국 국채금리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매파적 동결'에 2007년 이후 최고치 상승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되 연내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미국 국채금리 상승이 2007년 이후 최고치이다.
21일(현지시간) 미국 CNBC 등에 따르면 10년물 미국 국채 수익률은 이날 장중 약 15bp(1bp=0.01%포인) 상승한 4.492%까지 올라 2007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년물 국채 수익률은 2bp 오른 5.142%로, 2006년 최고치에 근접했다. 5년물 국채 수익률과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도 각 2007년과 2011년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앞서 미국 노동부는 지난주(9월10일~16일) 각 주정부에 처음으로 실업수당을 신청한 실직자 수가 직전주에 비해 2만 명 줄어든 20만1000명이라고 발표했다. 8개월 내 최저치로, 다우존스 예상치는 22만5000건이었다.
4주 간 평균 주간 신규신청자 수는 21만700명으로, 전주 대비 7750명 감소했다.
시장에선 이번 지표를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긴축 기조를 이어갈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준은 전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25~5.50%로 동결했다.
향후 금리 예상치를 종합한 점도표 중간값이 올해 연말까지 금리를 5.6%(5.5~5.75%)까지 올릴 것으로 예측되면서, 올해 말까지 최소 1회 베이비스텝(0.25%포인트)을 추가 단행할 가능성을 예고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금리 결정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적절하다면 금리를 더 인상할 준비가 돼 있다"며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이 우리가 추구하는 통화정책 기조에 도달했다는 걸 의미하지 않는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