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4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바이오ㆍ제약

프랑스 더모 코스메틱 브랜드 바이오더마, 걸그룹 아일릿(ILLIT) 모델 발탁

URL복사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프랑스 더모 코스메틱 브랜드 ‘바이오더마’는 하이브(HYBE) 산하 레이블인 빌리프랩의 라이징 걸그룹 ‘아일릿’(ILLIT)을 모델로 발탁했다고 2일 밝혔다.

 

아일릿(윤아, 민주, 모카, 원희, 이로하)은 지난 3월 25일 미니 1집 ‘SUPER REAL ME’로 데뷔하였으며, 5세대 걸그룹으로서 탄탄하게 입지를 다지고 있다.

 

바이오더마는 '처음'이라 모든 게 설레고 청량미 넘치는 '슈퍼 신인' 아일릿(ILLIT)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나의 '첫' 스킨케어를 고민하는 1020세대층의 마음을 사로잡고자 모델로 선정했다고 전했다.

 

이에 스킨케어의 시작, 센시비오 H2O 클렌징워터를 시작으로 바이오더마의 수분라인 하이드라비오를 메인으로 선보이는 캠페인을 진행한다. 

 

'수분에 빠지다. 아일릿'(ILLIT)의 수분 첫사랑 바이오더마 수분 캠페인 테마에 맞춰 온, 오프라인을 중심으로 MZ 세대를 겨냥한 여러 마케팅 활동을 선보일 예정이다.

 

전세계 1초에 1개씩 판매[1]되는 글로벌 베스트셀러 ‘센시비오 H2O 클렌징워터’는 강력한 세정력은 물론, 민감진정&장벽강화에 탁월한 클렌저이다. 

 

또한 하이드라비오 라인은 산뜻하고 청량한 사용감을 선사하며 더워지는 여름철 끈적임 없이 사용하기 좋은 수분 장벽 라인이다. 

 

메인 제품으로는 올해 2월 출시된 수분탄력 강화세럼 '하이드라비오 히알루+세럼'과 수분광채 부스터 '하이드라비오 에센스 로션'이 있다.

 

바이오더마 관계자는 "특유의 청량하고 깨끗한 이미지로 대중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아일릿(ILLIT)과 더모 스킨케어 전문 브랜드인 바이오더마가 함께 만들어갈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나아가 전 연령층에서 사랑받는 브랜드로 자리잡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아일릿(ILLIT) 멤버들의 다양한 모습을 담은 아코디언 포토와 비주얼 콘텐츠를 공개하는 등의 이벤트를 기획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바이오더마의 제품은 전국 헬스앤뷰티 스토어(올리브영, 시코르 온오프라인 매장)와 브랜드 공식몰, 종합몰 등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