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사회적 계층과 성장기 환경 등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계층적 요인과 수명, 질병과의 상관관계가 점차 중요하게 인식되는 상황이다. 부의 불평등은 건강의 불평등으로 이어진다.
건강 형평성 추이
소득이 높을수록 건강하게 오래 산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윤석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20년까지 건강보험 데이터를 통해 한국인의 소득수준과 건강수명 등 건강 형평성 추이를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건강수명이란 기대수명에서 질병 또는 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이다.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특별한 이상 없이 건강하게 생활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한국인의 건강수명은 2008년 68.89세에서 2020년 71.82세로 12년 동안 2.93년 늘었다. 2020년 기준 여성 건강수명은 73.98세로 남성 69.43세에 비해 4.55년 길었다. 또 소득이 많은 사람이 더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건강보험료 납부액에 따라 소득 구간을 1분위(최저)~5분위(최고)로 나눠 분석했다. 분석 결과, 5분위의 건강수명은 74.88세로 1분위 66.22세보다 8.66년 길었다. 2분위는 72.12세, 3분위 73.15세, 4분위 73.58세를 나타냈다. 연구팀은 “소득이 적을수록 건강을 돌볼 시간이 부족하고,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의료 기술 발달로 기대수명이 길어지면서 건강하지 않은 상태로 지내는 기간도 늘었다.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가 클수록 수명이 늘어도 건강하게 산 기간이 짧았다는 것을 뜻한다.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2008년 80.83살에서 2020년 84.55살로 3.72살 늘었다.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격차는 2008년 11.94년에서 2020년 12.73년으로 0.79년 더 벌어졌다. 30~44세 청년 남성 중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 대학교 졸업 이상인 사람에 비해 모든 조사 시기(1995~2020년)에서 자살률이 6.1~13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회·경제적 격차 자살률에 영향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기명 교수팀은 최근 자살의 계층적 불평등 양상 관련 연구 결과 사회·경제적 격차가 자살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30~44세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남성 집단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015년에 288.2, 2020년에는 251.4이다. 우리나라 평균 자살률(27.3)의 약 10배에 이른다.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했다고 알려진 캐나다 극지 누나부트(Nunavut) 부족 자살률의 2배 이상, 브라질 아마존의 과라니(Guarani Kaiowa) 부족의 자살률(232)보다 높다.
연구팀은 한국의 자살률이 계층 간 격차가 크고, 특히 교육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높게 나타난다고 결론냈다. 초등학교 졸업 이하의 남성 집단의 높은 자살률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앵거스디튼(Angus Deaton)의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는 ‘절망의 죽음’ 이론을 연상시키고 일상에서 경험하는 절망감이 자살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살이 단순한 개인의 문제를 넘어, 계층 간의 차이에 내포되는 사회적 격차와 정서적 전이가 반영된 결과임을 시사한다.
기명 교수는 자살을 개인의 정신적 문제로 보는 것을 넘어서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정신적 고통과 자살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임을 강조했다. 자살 문제를 사회적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 교수는 사회경제적 불리함이 실패의 낙인이 되고 정신적 고통으로 강하게 이어지지 않도록 사회적 완충 장치들이 마련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또 자살 예방 정책은 가난, 전세 사기 등 사회적 위기와 정신건강 문제를 분리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다뤄야 한다. 사회적 취약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자살의 격차를 줄이고, 전반적인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할 수 있다.
부모 간의 폭력 목격, 심혈관 질환 높여
어린 시절 부모 간 신체 폭력을 목격한 사람은 그런 경험이 없는 사람보다 중장년기에 심혈관 질환(CVD)에 걸릴 위험이 30%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의학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을 통해 미국 하버드대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즈위안 우 교수와 지린대 찬찬 추이 교수팀은 45세 이상 중국인 1만여 명의 청소년기 경험과 심혈관 질환 간 관계를 평균 9년간 추적, 연관성을 찾아냈다.
이들은 해당 연구에서 2011년 6월부터 2020년 말 45세 이상 중국인 1만424명(평균연령 58.1세)을 모집해 9년간 추적 관찰한 중국 건강 및 은퇴 종단 연구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에서는 17세 전에 ‘아버지 또는 어머니가 상대를 때린 적이 있냐’고 묻고, 이후 ‘심장마비, 협심증, 관상동맥 질환, 심부전, 또는 기타 심장 질환이나 뇌졸중 진단을 받은 적 있는지’를 추적 조사했다.
또 연구에서는 어렸을 때 부모 사이의 폭력에 노출된 것과 질환 위험 사이 연관성과 우울증 여부를 조사해 부모 간 폭력으로 인한 우울증이 심혈관 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참가자 중 부모 간 신체 폭력에 노출된 적이 있는 사람은 872명(8.4%)이었다.
이들은 우울증 유병률이 높고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적 기간에 심혈관 질환 진단을 받은 사람은 심장 질환 1,848명(17.7%)과 뇌졸중 822명(7.9%)을 포함해 모두 2,415명(23.2%)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어린 시절 부모 간 신체 폭력에 노출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심혈관 질환과 심장 질환 위험이 각각 36% 높았고, 뇌졸중 위험도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모 간 폭력에 노출된 참가자는 우울 증상 유병률이 더 높았으며, 이는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어린 시절 부모 간 폭력에 노출되면 성인 우울 증상으로 이어지고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부모 간 폭력 요인을 해결하고 가정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종합적인 전략과 정책적 노력의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