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0.7℃
  • 구름조금강릉 17.2℃
  • 맑음서울 20.0℃
  • 맑음대전 21.5℃
  • 맑음대구 23.8℃
  • 맑음울산 23.8℃
  • 맑음광주 20.7℃
  • 맑음부산 21.2℃
  • 맑음고창 17.4℃
  • 맑음제주 18.1℃
  • 맑음강화 18.3℃
  • 맑음보은 20.3℃
  • 맑음금산 20.6℃
  • 맑음강진군 20.9℃
  • 맑음경주시 24.3℃
  • 맑음거제 19.3℃
기상청 제공

경제

수도권 거주자 절반 “2018년 이후 집 사겠다”

URL복사

[시사뉴스 이종근 기자]수도권 거주자들은 올해는 집값이 떨어지거나 변동이 없을 것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2명 중 1명은 "2018년 이후 집을 구매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25일 부동산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30세 이상~65세 이하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앞으로 주택을 살 계획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66.2%(662명)에 달했다.

구매 적정 시기를 묻는 질문에 51.96%(344명)가 "2018년 이후가 적정하다"고 답했다. 그 뒤를 이어 ▲2017년 하반기 15.11%(100명) ▲2017년 상반기 14.35%(95명) ▲2016년 하반기 12.39%(82명) ▲2016년 상반기 6.19%(41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구입하고 싶은 상품으로는 아파트가 51.51%(341명)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아파트에 이어 ▲단독주택 20.67%(137명) ▲아파트 분양권 11.18%(74명) ▲빌라(다세대주택) 7.55%(50명) ▲주거용 오피스텔 4.83%(32명) ▲다가구주택 3.02%(20명) ▲기타 1.21%(8명) 등의 순이었다.

선호하는 주택 구매 방법은 기존 아파트 매입이 37.61%(249명)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청약신청 22.81%(151명) ▲분양권 매입 12.39%(82명) ▲경매 12.09%(80명) ▲재건축·재개발 매입 11.63%(77명) ▲기타 3.47%(23명) 등으로 나타났다.

올해 집값 전망에 대해서는 ▲보합 40.6%(406명) ▲하락 32.8%(328명) ▲상승 26.6%(266명)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떨어질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전세 시장 전망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대부분 상승을 예상했다. 총 응답자의 77.1%(771명)가 전셋값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의 유망투자처로는 47.8%(478명)가 수도권 신도시를 먼저 꼽았다. 서울 강남권 13.4%(134명), 서울 강북권 10.9%(109명), 혁신도시 8.9%(89명), 인천경제자유구역 7.6%(76명), 세종시 6.6%(66명), 5대 광역시 4.8%(48명) 등의 순으로 나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최민규 서울시의원, “길거리 신상 공개는 과잉” 조례 개정 본회의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 공공시설 운영자에 대한 과도한 신상정보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가 마련됐다. 서울특별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소속 최민규 의원(국민의힘, 동작2)이 대표 발의한 「서울특별시 보도상영업시설물 관리 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제330회 임시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에 개정된 조례에서 운영자 정보는 시설물 내부에만 게시하도록 하고, 외부 게시 의무를 없애는 내용이 담겼다. 이는 시설물 관리의 효율성과 운영자 개인정보 보호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됐다. 특히, 외부 게시 조항과 함께 별지 서식(제7호)도 같이 삭제되어 행정 실무 간소화와 개인정보 보호 효과가 동시에 기대된다. 최민규 의원은 “시설물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는 내부 게시만으로도 충분하다”며, “이번 조례 개정은 불필요한 개인정보 노출을 줄이면서도 공공의 알 권리를 해치지 않는 방향”이라고 밝혔다. 또한 “운영자의 권리 보호도 행정이 책임져야 할 공공 영역”이라며, “서울시가 앞으로도 정보 공개의 기준을 더 정교하게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례 개정으로 보도상영업시설물 운영자는 더 이상 신상정보를 외부에 부착하지 않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