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0.7℃
  • 구름조금강릉 17.2℃
  • 맑음서울 20.0℃
  • 맑음대전 21.5℃
  • 맑음대구 23.8℃
  • 맑음울산 23.8℃
  • 맑음광주 20.7℃
  • 맑음부산 21.2℃
  • 맑음고창 17.4℃
  • 맑음제주 18.1℃
  • 맑음강화 18.3℃
  • 맑음보은 20.3℃
  • 맑음금산 20.6℃
  • 맑음강진군 20.9℃
  • 맑음경주시 24.3℃
  • 맑음거제 19.3℃
기상청 제공

경제

코스닥기업 배당금 절반, 대주주들이 ‘꿀꺽’

URL복사

지난해 코스닥업체 배당…대주주·특수관계인 절반 가까이 ‘쌈짓돈’

[시사뉴스 이종근 기자] 코스닥기업 배당금의 절반은 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쌈짓돈.

코스닥 기업들이 지난해 '주주가치 제고'라는 명분 아래 배당 인심을 후하게 썼는데, 정작 일반 주주에게 돌아간 배당액은 전체 배당금의 3분의 1 수준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5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주요업체들을 대상으로 2015 회계연도 배당을 조사한 결과 골프존유원홀딩스, 골프존, 리노공업, 파트론, 케어젠 등 총 76곳이 총 1947억2600만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키로 했다.

배당정책이 현실화하면 주주(지난해 3분기말 등록 기준)별로는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 872억9300만원(44.83%) ▲일반주주 687억5800만원(35.31%)으로 추계된다.

특히 현금배당을 결정한 76개 코스닥 기업중 일반주주 비율이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 비율보다 높은 곳은 절반이 채 안 되는 37곳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별로는 양지사가 전체 배당액 6억8680만원에서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몫으로 5억1874억원(75.53%)을 책정했다.

또 SBI액시즈는 19억1283만원의 배당금 중 75.00%인 14억3462만원을, 케이디켐이 배당 20억1740만원 가운데 14억1460만원을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몫으로 배정했다.

총 500억원의 배당금을 책정한 골프존유원홀딩스 및 골프존의 경우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에게만 300억원의 배당금을 몰아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각사 최대주주별로는 리노공업 이채윤 대표가 41억8900만원으로 가장 많은 배당을 받게 됐다.

이밖에도 케어젠 정용지 대표(60.41%, 38억8200만원), 골프존유원홀딩스 김영찬 대표(10.65%, 26억7200만원), 슈피겐코리아 김대영 대표(59.20%, 21억9900만원), 파트론 김종구 회장(14.76%, 19억3400만원) 순으로 많은 배당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일반 주주들이 가져갈 배당액 비율은 와이솔(68.93%), 토비스(65.39%), 유니테스트(63.79%), 파트론(62.70%), 홈센타(57.89%) 등의 순으로 높았다.

배당액 기준 일반 주주들이 받게 될 배당액 총액은 파트론(82억1500만원), 골프존(50억8800만원), 리노공업(45억6900만원), 골프존유원홀딩스(45억2200만원), 메디톡스(32억1100만원) 순으로 많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최민규 서울시의원, “길거리 신상 공개는 과잉” 조례 개정 본회의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 공공시설 운영자에 대한 과도한 신상정보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가 마련됐다. 서울특별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소속 최민규 의원(국민의힘, 동작2)이 대표 발의한 「서울특별시 보도상영업시설물 관리 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제330회 임시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에 개정된 조례에서 운영자 정보는 시설물 내부에만 게시하도록 하고, 외부 게시 의무를 없애는 내용이 담겼다. 이는 시설물 관리의 효율성과 운영자 개인정보 보호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됐다. 특히, 외부 게시 조항과 함께 별지 서식(제7호)도 같이 삭제되어 행정 실무 간소화와 개인정보 보호 효과가 동시에 기대된다. 최민규 의원은 “시설물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는 내부 게시만으로도 충분하다”며, “이번 조례 개정은 불필요한 개인정보 노출을 줄이면서도 공공의 알 권리를 해치지 않는 방향”이라고 밝혔다. 또한 “운영자의 권리 보호도 행정이 책임져야 할 공공 영역”이라며, “서울시가 앞으로도 정보 공개의 기준을 더 정교하게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례 개정으로 보도상영업시설물 운영자는 더 이상 신상정보를 외부에 부착하지 않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