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에 이어 건강한 겨울을 보내기 위한 체질별 섭생법을 김진돈 한의학 박사(본디올 운제당 한의원장, 한국노동교육원 객원교수, 경희대 한의대 외래교수, 대한형상의학회 부회장 겸 교수)의 도움으로 알아보았다.
운동 전 과식 피하고 스트레칭 철저히
한의학의 바이블인 ‘내경’ 에 보면 겨울철 석달을 폐장(閉藏)이라 하는데 물이 얼고 땅이 갈라지고 양이 움직이지 못한다. 겨울은 해가 짧고 밤이 길다. 즉, 음기의 활동이 왕성하다. 마음을 숨기는 듯이 하라고 했다. 추운 곳보다는 따뜻한 곳에 가고 피부에서 기가 자주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것이 겨울의 기운에 적응법이자 양생법이다. 성인이 봄, 여름에는 양(陽)을 기르고, 가을이나 겨울에는 음(陰)을 길러 그 근본을 따라야 한다고 했다.
겨울철 건강에 도움이 되는 평소 생활 습관으로 준비운동이 중요하다. 겨울철 운동은 반드시 준비운동을 해야 한다. 왜냐하면 다른 때보다 근육과 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져서 운동시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통풍과 땀 흡수가 잘 되는 옷을 입는데 속옷은 여러 벌 겹쳐 입는 것이 좋다. 특히 운동 전에 과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따뜻한 식사를 하되 30분 정도는 지난 후에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가장 손쉬운 건강 관리법은 손을 자주 씻는 일이다. 손을 통해 감기가 감염 되는 경우가 많은데 손만 잘 씻어도 감기를 상당히 예방되기 때문이다.
또 겨울철이면 우울증 환자가 증가하는 것은 상당 부분이 햇빛을 보지 못하는데 기인한다. 고로 식사 후나 점심때 잠시 바깥을 산보하고 적당량 운동을 통해 햇볕을 쬐는 것이 권할 만 하다. 또 수영이나 자전거 타기, 빨리 걷기 등의 유산소 운동은 겨울철을 건강하게 지내도록 도와준다. 특히 겨울만 되면 손발이 차가워지는 사람은 목욕으로 풀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약 40도의 물에서 15분가량 하는 것이 좋다. 중요한 것은 충분한 수면과 긍정적인 사고를 갖고 많이 웃으며 적당한 운동이 겨울나기에 아주 좋은 생활의 법도다.
태음인 체질의 특징과 섭생법
태음인은 폐활량이 약해 다른 체질보다 숨이 차는 일이 많으므로 피부 호흡으로 땀을 많이 흘리며 근육이 견고하고 골격과 손발이 크며 피부가 거칠어서 겨울에는 손발이 잘 튼다. 심장질환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골격이 발달해서 겉보기에는 튼튼해 보이지만 의외로 겨울철에 약하고 감기에 잘 걸린다. 태음인은 체질적으로 폐와 기관지가 약한데 호흡기 계통이 약하기 때문이다.
태음인이 감기에 잘 걸리지 않고 겨울철을 건강하게 나려면 운동이나 반신욕 등으로 땀을 흠뻑 내주고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다. 운동이나 목욕으로 땀을 잘 배출시키면 능히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체질이다.
땀이 많고 대변이 묽으며 식욕과 소화력은 좋지만 호흡기와 피부 대장 등의 기능이 약한 체질인데 청국장과 신김치 등 발효된 음식이 겨울나기에 좋다.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차로는 생강차, 칡차 등이 이롭다.
소음인 체질의 특징
소음인은 입이 까다롭고 편식을 한다. 피부는 매우 부드럽고 땀이 적으며 한숨을 쉬는 일이 있고 세심하고 과민성이 있어 불안, 초조한 마음을 갖는다. 소아에게는 편도선염이 많고 심한 설사는 급하고도 무서운 병이 된다.
추위를 잘 타기 때문에 겨울철 건강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겨울철 조금만 과로를 하거나 신경이 예민해져도 감기에 걸리기 쉽다.
생강 파뿌리 대추를 넣고 달인 차를 마시고 땀을 흠뻑 내면 감기 예방과 치료에 좋다. 인삼차 생강차 유자차 등도 추천할 만하고 겨울철에 해조류와 매운 음식, 고단백질 발효음식 등을 많이 섭취해야 감기도 예방할 수 있다.
소음인의 겨울섭생법은 소화기능이 약하고 냉한 체질이므로 소화되기 쉽고 따뜻한 성질의 식품이 좋다. 조리할 때는 고추, 마늘, 파 등 자극성 있는 조미료를 사용해서 식욕을 돋워 주는 것이 좋다.
태음인에게 좋은 음식 나쁜 음식
어육류 : 소에게서 나온 것은 모두가 좋으며 육회, 곰탕, 설렁탕 등이 좋다. 우유, 버터는 아기에게 없어서는 안 될 식품이다.
생선류 : 조기, 명태, 민어, 오징어 등 담백한 것이 좋다.
과실류 : 배, 밤, 호두, 은행, 잣, 살구, 수박, 석류, 자두, 사과
곡물류 : 밀, 콩, 율무, 두부, 콩나물, 콩비지 등 단백질이 많은 것
채소류 : 무, 도라지, 연근, 마, 고사리, 토란, 호박, 버섯
차 류 : 오미자차, 율무차, 칡차, 커피, 오룡차, 수정과, 둥글레차, 매실주
해로운 음식으로는 비만 고혈압 변비 등이 우려되므로 자극성 있는 식품이나 지방질 많은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닭고기 개고기 돼지고기 삼계탕 인삼차 꿀 생강차 등은 좋지 않다.
소음인에게 좋은 음식 나쁜 음식
어육류 : 개고기, 닭고기, 노루고기, 토끼고기, 양젖, 참새 꿩, 염소고기, 양고기 벌꿀.
해 류 : 명태, 굴비, 뱀장어, 미꾸라지, 가자미, 민어, 미역, 김, 도미, 멸치
과실류 : 귤, 복숭아, 토마토, 대추, 사과
곡물류 : 찹쌀, 조, 차, 좁쌀
채소류 :당근, 쑥, 쑥갓, 시금치, 미나리, 양배추, 상치, 감자, 들깨, 엿, 생강, 후추, 파, 후추, 겨자, 마늘 등
차 류 : 인삼차, 꿀차, 생강차, 오룡차, 수정과, 매실주
피해야 할 음식은 소화하기 힘든 지방질 음식이나 찬 음식과 날 음식은 설사를 유발할 수 있어 절제하는 것이 좋다. 냉면, 참외 수박 냉우유 빙과류 생맥주 보리밥 돼지고기 오징어 밀가루 음식은 좋지 않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